2025.07.14 (월)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병원/의원

전남대병원, “광주·전남 육성 위해 서남권 바이오헬스 복합단지 조성 필수”

정 신 원장, 차별화된 전략으로 ‘도심집적형 AI+Bio 융합 메디컬 클러스터’ 제시
AI 기반 첨단의료기기 실증 및 재생의료 R&D 인프라 집중 투자 필요



전남대학교병원이 광주·전남 지역을 대한민국 바이오헬스 산업의 중심지로 육성하기 위해 서남권 바이오헬스 복합단지 조성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나섰다. 지난 9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서남권 첨단 바이오헬스 복합단지 조성을 위한 포럼'에서 정 신 전남대병원장은 "바이오헬스 산업이 인공지능, 정밀의료, 재생의료 기술의 혁신과 함께 전례 없는 변화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서남권에 연구, 임상, 산업화를 통합한 전략적 거점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번 포럼은 더불어민주당 안도걸·전진숙·신정훈·서미화 국회의원이 공동으로 주최하고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가 공동으로 주관했다. 또 강대희 한국미래의료혁신연구회장이 좌장을 맡았으며, 선경 K-헬스미래추진단장, 정 신 전남대병원장, 이제중 박셀바이오 대표, 최종일 조선대 교수, 김한숙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과장, 최윤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원이 패널로 참여해 급변하는 보건의료 환경과 초고령화, 저성장 국면 속에서 디지털·바이오 의료산업을 국가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제안했다. 

정 원장은 특히 AI 기반 첨단의료기기 실증과 재생의료 R&D 인프라에 지역적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연구 성과의 산업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병목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원스톱 플랫폼을 구축하고, 이를 국가 확산형 시범모델로 육성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정 원장은 광주와 전남의 차별화된 전략으로 '도심집적형 AI+Bio 융합 메디컬 클러스터'를 제시했다. 그는 "광주는 AI 기반 첨단의료기기 개발 기술을, 전남은 백신·원료의약 제조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두 기술의 결합이 가능하다"며, 광주 동구와 전남 화순의 지리적 근접성과 기능적 보완성을 강조했다. 이는 정부의 디지털 헬스케어 정책과도 일치하며, 대한민국 바이오벨트의 핵심 퍼즐로서 전략적 가치를 극대화한다고 설명했다.

광주·전남이 바이오헬스 산업의 중심지가 될 수 있는 이유는 우수한 의료·연구 인프라 때문이다. 전남대병원과 화순전남대병원은 정밀의료 및 암 치료 분야에서 국내 최고 수준의 성과를 지속적으로 내고 있으며, 광주과학기술원(GIST), 전남대학교, 조선대학교 등도 기초연구분야에서 우수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인프라를 기반으로 서남권 바이오헬스 복합단지 조성은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도 필수적이라는 의견이 제시됐다.

전남대병원은 서남권 유일 제1기 연구중심병원 인증을 획득하며, 디지털 바이오 스마트임상지원 플랫폼 구축 등을 통해 바이오헬스 산업화 기반을 선도하고 있다. 정 원장은 "이제는 광주·전남이 수도권을 보완하는 지역이 아니라, 글로벌 바이오헬스 산업의 미래를 이끄는 주도적 파트너로 자리매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신 전남대병원장은 "광주·전남은 글로벌 바이오헬스 산업의 미래를 이끄는 주도적 파트너로서 대한민국 바이오헬스의 미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의료기관이 연구, 산업, 치료, 데이터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의료 생태계를 실현하여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