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아스트라제네카(대표이사 전세환)는 자사의 중증 호산구성 천식 유지요법 치료제 ‘파센라(성분명 벤라리주맙)’의 다발혈관염 동반 호산구육아종증(Eosinophilic granulomatosis with polyangiitis, 이하 EGPA) 적응증 추가를 기념해, 지난 3월 28일 국내외 의료진과 함께 주요 연구 데이터를 공유하고 해당 질환영역에서 생물학적제제 치료의 미래를 논의하는 심포지엄을 성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FASENRA experience sharing in Asia를 주제로 온∙오프라인으로 동시에 진행됐으며, 조유숙 교수(서울아산병원 알레르기내과)가 좌장을 맡았다. 심포지엄에는 파센라의 주요 임상연구에 주저자로 참여한 데이비드 잭슨 교수(David Jackson, 영국 킹스칼리지병원)를 비롯해 태국, 대만, 한국 등 여러 아시아 국가의 저명한 의료진이 참여해 중증 호산구성 천식 및 EGPA의 치료 전략과 국내외 트렌드를 조망했다.
중증 천식 환자의 약 84%를 차지하는 것이 중증 호산구성 천식이며,[※ International Severe Asthma Registry에 등록된 11개국 성인 중증 천식 환자 1716명을 호산구 표현형의 가능성에 따라 분류한 후향적 레지스트리 연구, 83.8%의 환자가 호산구성 표현형을 가질 가능성이 가장 높은3등급으로 분류됐다.
중증 천식은 잦은 질환 악화와 고용량 흡입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잘 관리되지 않아 환자 삶의 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질병 조절제의 사용에도 증상 조절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경구 스테로이드의 사용이 필요한데, 경구 스테로이드의 장기간 사용은 골다공증, 고혈압, 당뇨 등의 전신 부작용과 관련이 있어 이러한 기존 치료제 용량 감소를 위해서는 생물학적 제제의 사용이 권장되고 있다.
관련해 데이비드 잭슨 교수는 “호산구성 염증은 점액 폐색(mucus plugging)과 연관이 있기 때문에 호산구 수치를 빠르게 감소시키는 파센라가 중증 호산구성 천식 환자의 폐 기능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파센라는 호산구 표면에 발현되어 있는 인터루킨-5 수용체(IL-5Rα)와 직접적으로 결합하여 세포 자멸을 유도하는 유일한[2025년 4월 기준] 항 IL-5R 제제로, 차별화된 기전을 통해 임상 2상 12주 시험에서 투여 1일 차에 혈중 호산구 수치를 급격하게 감소시키는 것이 확인된 생물학적 제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