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인플루엔자 거점병원의 지역별 분포가 해당지역의 인구 편차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양승조 의원(민주당)은 신종플루 거점병원(447개소)의 지역별 분포를 2008년 말 주민등록인구 수와 대조한 결과, 같은 지역 내에 지정된 거점병원의 수가 해당지역의 인구수와 비례관계를 갖지 못할 뿐 아니라 오히려 역전된 경우도 있다고 밝혔다.
서울특별시 노원구의 경우 2008년 말 주민등록인구수는 61만5981명이고 거점병원은 3개소였다. 대구 달서구는 인구 59만4616명이나 지정된 거점병원은 없다.
또, 서울 강남구(55만7832명)는 3곳, 충남 천안시(53만7698)는 1곳, 서울 관악구(53만4556명)는 5곳 등 인구비례와는 아무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은 인구 269만명에 거점병원 10개소, 대구는 249만명에 6개소다. 전북은 186만명에 거점병원 17개소, 충북은 전북보다 인구가 더 적은 152만명임에도 거점병원 수는 21개소. 대전은 148만명에 7개소인데 광주는 142만 명에 14개소로 대전의 2배에 달했다.
질병관리본부는 거점병원 지정 방향을 치료거점기준병원으로 잡고 △폐렴치료 가능병원 △병원급 이상 △지역사회접근성을 고려해 시군구별 1개 이상 선정 △원내 감염관리 책임자, 중환자실, 내과·소아과 전문의 상주 기관 △국공립 병원 및 지역의료원 포함 △정신병원, 요양병원, 산부인과 전문병원, 투석병원 등 제외와 같은 기준을 가지고 선정하기로 한 바 있다.
양승조 의원은 “거점병원 지정 기준 외에 지역별 인구편차를 고려함은 당연한 것”이라고 전제했다.
이어 “인구 54만명의 천안의 경우 천안의료원 1곳이 거점병원으로 지정됐는데, 천안에는 천안의료원과 함께 훌륭한 병원들이 여럿 있는 점에 비추어 볼 때, 이번 복지부의 거점병원 지정과정은 충분한 고려 없이 시간에 쫓겨 거점병원을 지정한 졸속행정임에 분명”하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천안시는 27일 천안의료원 외 순천향대학병원, 단국대병원, 천안충무병원, 천안고려의원, 조병석 내과의원을 추가로 지정했다.
양의원은 “거점병원에 환자가 몰리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어 호흡기 질환 진료가 가능한 모든 병의원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항바이러스 치료제의 품귀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므로 의료진이 안전하게 진료에 임할 수 있도록 먼저 의료진에게 항바이러스제를 보급하는 등 대유행에 대비한 대국민 의료서비스체계 보완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