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전공의협의회는 검찰의 수사와 전공의들의 진술이 이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남대학교가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교수를 파면시키지 않고 있자 이에 유감을 표명하고 나섰다.
이어 대전협은 징계절차가 답보되는 것에 대해 유감을 표하며 재차 문제 교수의 파면을 요구했다.
대전협은 “전남대학교는 지난 8월 사건이 불거지며 비난의 여론의 질타를 받자 교수에게 병원진료를 할 수 없도록 조치하면서도 대학의 교수직은 유지하는 것으로 문제를 덮으려고 한다”며 ”겨우 한두 차례 열린 징계위원회도 지극히 형식적이라 전남대학교가 사회에 대한 책임의식을 갖고 있는지 의구심이 들게 한다”며 학교측을 강하게 비난했다.
또한, 대전협은 전남대학교 총장에게 면담을 요청했으나 이 역시 교무처장과의 면담으로 대체한 것도 문제가 있다는 입장이다.
대전협은 “28일 검찰에서 교수를 입건해서 수사하고 있으며, 경찰의 조사를 통해 대부분의 혐의가 사실일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이라며 “여전히 반성없이 발뺌하는 교수의 혐의가 사실로 밝혀진 뒤에야 교수직을 파면하겠다는 안이한 자세라면 제2, 제3의 유사행위를 방조하게 될 뿐”이라면서 시급히 파면할 것을 요구했다.
이어 대전협은 검찰의 결과에 따라 학교의 판단이 좌우될 수도 있으나 대학이 자체적으로 파렴치한 교수를 파면함으로써 스스로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를 갈망한다고 밝혔다.
대전협은 “대학의 인사(징계)위원회는 교육공무원법에서 명시한 임용의 자격을 스스로 관리하기 위한 위원회이다. 제자와 환자에게 심각한 물질적 정신적 피해를 주면서도 반성하지 않는 교수가 학교에 남아 있다는 것 자체가 부끄러운 일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마지막으로 대전협은 “검찰의 엄정한 수사를 통해 교수의 시비가 명백히 가려지기를 바라며 전남대학교가 하루 빨리 파면시킬 것을 강력하게 요구한다”면서 “우리는 총장과의 면담을 재차 요구할 것이며 이 사건의 해결을 끝까지 지켜볼 것이다. 전남대학교가 파면이 아닌 미온적인 징계에 그친다면 이를 규탄하며 해당 교수의 파면을 위해 노력할 것”을 분명히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