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의학과, 외과, 산부인과 전문의들의 전문과목미표시 개원이 시간이 지날수록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윤구)은 전문과목미표시 의원 대표자 자격종별 현황을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현황에 의하면 기존과 크게 다르지 않았으며, 오히려 일부 과목을 중심으로 더욱 많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의원급 의료기관의 전문과목미표시 현황을 살펴보면 지난 2007년 4459개 기관에서, 2008년 4655개, 2009년 4835개, 2010년 4954개 기관으로 해마다 꾸준하게 증가했다.
전문과목미표시 의원의 대표자 자격종별 현황을 보면 가정의학과, 외과, 산부인과가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가정의학과 전문의의 경우는 미표시 개원이 더욱 심화되고 있는 모양새이다.
가정의학과 전문의의 미표시 개원은 지난 2007년 1412명에서, 2008년 1464명, 2009년 1538명, 2010년 1594명으로 계속해서 늘어났다. 외과 전문의 역시 가정의학과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외과 전문의의 미표시 개원은 2007년 1019명, 2008년 1008명, 2009년 1036명, 2010년 1035명 등이다.
산부인과 전문의의 미표시 개원은 저출산과 경영난 등을 반증하듯 2007년 435명이던 것이 2008년 508명, 2009년 555명, 2010년 592명으로 600명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특히, 산부인과의 경우 저출산과 낮은 분만수가로 인해 분만진료만으로는 더 이상의 병원을 유지하기 어려워 지원하는 전공의가 눈에 띄게 감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진료영역도 분만대신 비만클리닉, 피부미용 유방암검진 등의 여성질환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처럼 전문과목 포기 개원과 관련해 전문가들은 “과목을 표기하고 일정한 진료를 하기보다는 전문과목미표시 개원을 통해 비급여 진료를 하는 것이 경영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라고 판단했다.
또한, 이같은 현상은 소비자들의 소비트랜드에 맞춰 의원급 의료기관이 변화할 수밖에 없는 불가피성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반증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 대부분은 개원가의 전문과 미표시의 원인이 결국엔 무너진 의료전달체계에 있다고 보고 있어, 수가현실화와 정부의 일차의료 활성화 방안에 더욱 관심이 모아지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