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십자는 지난 1967년 창사 이래 혈액제제 및 각종 백신을 생산해 오면서 독일과 브라질을 비롯한 전세계 50여개 국가에 생물학적제제 완제품을 수출하는 등 이 분야에서 세계적인 수준의 기술과 경험을 축적하고 있는 전문기업이다.녹십자는 바이오의약품 전문기업답게 면역주사제 정주용 면역글로불린과 파상풍 면역글로불린, 혈우병 치료제인 혈액응고 제8인자, 일본뇌염백신과 수두백신 등 생물학적제제 완제품과 뇌졸중 치료제인 유로키나제를 수출하고 있으며 주요 수출지역으로는 미주, 유럽, 서남아시아, 동남아시아 및 중동 등 전세계에 망라되어 있다.이처럼 녹십자 수출제품의 특징은 상대적으로 개발이 어렵고 수입국의 까다로운 등록과정을 거치는 등 오랜 기간이 소요되는 생물학적제제 제품이라는 점에서 일반 의약품 수출과는 차별화된 평가를 받고 있다.이와 함께 혈액제제분야에서 국제적인 전문기업으로 평가받고 있는 녹십자는 지난 97년부터 태국 적십자에 연간 1만 리터 규모의 혈액제제를 임가공 수출하고 있으며 지난 2005년에는 인도, 베트남, 마카오 혈액원 등과도 혈액제제 임가공 수출계약을 체결하여 사업을 확대하였으며 신규 거대시장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러시아와도 임가공 계약 체결이 마무리
동성제약(사장 이양구)은 지난 30일 제10회 이선규약학상 수상자를 선정 발표했다. 올해 수상자는 국내의 정낙신 교수와 미국 로버트 G.L. 쇼 박사(Dr. ROBERT G.L. SHORR)로 선정되었다.정낙신 교수는 새로운 기전의 항바이러스제의 설계를 이용한 새로운 물질을 개발하여 미국에 기술수출을 하였으며 또한 사이크젠테논 유도체를 짧은 합성단계 및 높은 총수율로 합성하는 효율적인 합성법을 개발하는등 많은 논문을 국내의 주요학술지에 발표하였다. 정낙신 교수는 앞으로 약학계에 크게 기여 할 것으로 기대되는 학자다.로버트 G.L. 쇼 박사의 주 연구 분야 및 업적은 암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과 도구에 관한 것으로 200여편의 논문과 150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현재 정낙신 교수는 이화여대 약학대학에 재직 중이며 로버트 G.L. 쇼 박사(Dr. ROBERT G.L. SHORR)는 Enzon, Inc. 부사장을 거친 뒤 현재 Altira Capital and Consulting LLC 회장 및 Conerstone Pharmaceuticals 최고경영자(CEO)로 재직 중이다.동성제약의 창업자인 이선규회장이 기업이윤을 사회에 환원시키고자 1998년 제1회로 시작
녹십자가 오창 공장 완공으로 항암제, 관절염 치료제, 혈우병 치료제 등 다수의 바이오 의약품 생산 및 연구가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특히 녹십자의 바이오 의약품 R&D의 첫 성과라 할 수 있는 혈우병 A치료제 그린진이 내년 3월 출시 예정에 있어 기대를 모으고 있다.그린진은 유전자 재조합 혈우병 A치료제로 향후 국내 시장에서는 물론 해외 시장에서도 박스터사의 리콤비네이트와 경쟁할 수 있는 품목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혈우병 환자의 70%를 차지하고 있는 혈우병 A환자를 위한 치료제로는 그린노모와 같은 혈장 추출 제제와 리콤비네이트와 같은 유전자 재조합 제제가 있다.혈장추출 제제의 경우 혈액 오염에 따른 AIDS, C형 간염 등의 질병에 감염될 가능성에 노출돼 있는 반면, 유전자 재조합 제제는 혈액 오염에 따른 질병 감염에 우려가 없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특히 형루병 환자 가운데 48% 이상이 혈액만으로 감염되는 C형 간염을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향후 유전자 재조합 제제의 수요는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현재 국내에서 상용할 수 있는 유전자 재조합 혈우병 치료제로는 92년 출시 이후 세계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박스터사의 리콤비네이트가 유일하다.하지만 리콤
‘2007 아시아ㆍ태평양 지역 혈액종양 심포지엄(Asia Pacific summit)’에서 글리벡(성분명 이매티닙)에 내성 및 불내약성을 보이는 소수의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 치료를 위한 차세대 백혈병 치료제 및 새로운 치료법이 소개됐다. 최초의 표적항암제 글리벡은 5년 생존율 90%로 전세계 20만명(국내 2천명) 환자에서 만성골수성백혈병의 표준치료제로 복용되고 있으나 일부 소수의 환자들은 글리벡 치료에 내성 및 불내약성을 나타내 그 동안 별다른 치료법이 없었다.글리벡 개발 경험을 기반으로 노바티스에서 개발하여 승인을 앞두고 있는 태시그나(성분명 닐로티닙)는 글리벡과 마찬가지로 만성골수성백혈병의 주요 원인인 Bcr-Abl 단백질의 특정 부분에 결합하여 암세포가 증식하고 분화하는데 필요한 신호전달을 차단하는 약물이다. 그러나 태시그나는 글리벡보다 더 선택적으로 작용하고, 글리벡 내성의 원인이 되는 Bcr-Abl의 다양한 변이체에 영향을 받지 않아 글리벡의 30~40배에 달하는 종양 억제 효과가 있으면서 부작용은 최소화되었다. 태시그나는 탁월한 효능에 힘입어 최근 스위스에서 처음으로 승인을 받았으며, 전세계에서 출시를 앞두고 있다.글리벡에 내성 또는 불내약성을
일동제약은 1분기 영업이익이 76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8.93% 감소했다고 31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620억원으로 1.33% 늘었다. 당기순이익은 43억으로 15.73% 줄었다.
대웅제약은 31일 2분기 매출액이 전년동기대비 25.64% 증가한 1133억1600만원이라고 공시했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11.86%, 28.8% 증가한 170억1600만원, 125억3700만원으로 잠정집계됐다.
안국약품은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동기대비 45.3% 감소한 20억9500만원이라고 31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9.3% 감소한 149억5200만원이었으며 당기순이익은 21.5% 증가한 28억4400만원이라고 밝혔다. 안국약품은 레포텐션 판매 중지 등으로 매출액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초등학교 5학년 김민수 군은 초등학교 입학 무렵부터 키가 제일 컸던 우량 어린이였다. 큰 키만큼이나 살집 또한 두둑했던 김군의 모습에 나이드신 어른들은 덩치 좋다며 흐뭇해 했지만 학년이 올라갈수록 배까지 동그랗게 나오는 등 점차 비만형 체형으로 변해가고 있었다. 아이가 커갈수록 젖살도 자연스럽게 빠질 거라 생각했던 김군의 어머니 서순정 씨는 어린이 비만이 성인으로까지 이어진다는 이야기를 듣고 올 여름방학을 이용, 민수 군의 다이어트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위해 소아 비만 클리닉을 찾았다. 주로 생활 습관으로부터 비롯되는 소아 및 아동비만은 성인비만에 비해 치료하기 힘들어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또래 아이들의 평균체중에 비해 체지방이 20%이상 많다면 소아비만에 해당하며, 둥글둥글한 얼굴에 배가 나온 것이 옷 위로도 확연히 확인 된다면 비만일 확률이 높다. 비만전문병원 영클리닉 조영신 원장은 “부족한 활동량과 운동량, 가공식품 위주의 식습관이 비만의 주범으로 특히나 과식이 큰 원인으로 주로 부모의 잘못된 습관으로 인한 생활습관에서 비롯하는 경우가 많다.”라며 “비만아동은 표준체중의 아동보다 지방세포수가 많고 줄어들지 않기 때문에 성인비만으로까지 이어질 확률이 높
녹십자(대표 허재회)는 31일 실적발표를 통해 분기 매출로는 처음으로 1,000억원을 돌파한 사상최고치인 1106억원의 2분기 매출을 달성했다고 밝혔다.이와 함께 녹십자는 2007년 2분기 영업이익 165억원, 경상이익 185억원, 당기순이익 137억원의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19.67%, 영업이익 22.10%, 경상이익 73.57%, 당기순이익은 무려 97.27% 증가한 것이다. 지난해 상반기에 비해서도 매출 2,091억원(18.26%↑), 영업이익 295억원(26.44%↑), 경상이익 325억원(37.17%↑), 당기순이익 238억원(48.39%↑)의 실적을 올려 고른 성장세를 나타냈다.이에 대해 녹십자는 “전통적으로 강점을 가지고 있는 전문의약품의 안정적 성장과 함께 일명 ‘마늘주사’로 불리우는 비타민 B1주사제 등 지속적인 신제품의 출시와 더불어 적극적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는 일반의약품 부문이 호조를 보이고 있는 것이 주요한 요인”이라고 분석했다.또한, “전체 매출에서 혈액제제와 백신 등이 차지하는 비중이 62%에 달해 안정적인 매출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지속적인 R&D투자를 통한 신제품 계획과 단기 매출확대를 위한 전략
황반변성 환자의 손상된 시력을 회복 시켜주는 치료제가 국내에 시판된다.한국노바티스(사장 안드린 오스왈드)는 31일 식약청이 습성 황반변성 환자의 시력을 회복시켜주는 치료주사 ‘루센티스(성분명 라니비주맙)’의 국내 시판을 허가했다고 밝혔다. 황반변성은 녹내장, 당뇨병성 망막증과 함께 3대 실명질환이다. 황반변성은 비정상적으로 자라난 신생혈관에 의해 시력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황반(카메라의 필름에 해당)이 손상돼 수개월 혹은 2년 내에 실명에 이르게 되는 중증 안질환이다. 노바티스에 따르면 루센티스는 신생혈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안구 내 VEGF-A(혈관 내피세포 성장인자)라는 단백질에 선택적으로 결합해 새로운 혈관이 자라지 못하게 하고 삼출물 누출을 차단해 습성 황반변성 환자의 시력을 유지하거나 회복시키도록 고안됐다.루센티스는 0.5mg을 안구내 주사하며 첫 3개월은 한 달에 한번씩 투여한 후 유지기를 갖고, 유지기 동안 매달 시력을 모니터링해 시력 저하가 있을 경우 추가 투여한다.출시는 9월경으로 예정돼 있으며, 현재는 망막전문의의 처방을 받아 한국희귀약품 센터를 통해 구입이 가능하다.
사노피-아벤티스는 혈전색전성 사건 (Thromboembolic Event, TE) 발생 위험군인 심방 세동(Atrial Fibrillation, AF) 환자들에게서 뇌졸중 및 기타 전신성 색전증을 예방하는데 이드라파리눅스(Idraparinux)의 주 1회 피하 투여가 비타민 K 길항제(Vitamin K Antagonist, VKA)인 와파린(warfarin) 만큼 효과적이었다고 발표했다. AMADEUS 연구 결과는 제네바에서 열린 제 21회 ISTH(International Society on Thrombosis and Haemostasis) 학회에서 발표되었다. 총 4576명의 심방세동 환자들이 참여한 AMADEUS 연구는 1차 결과 변수를 충족시켰다. 모든 뇌졸중(허혈성, 출혈성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과 기타 전신성 색전증으로 구성된 복합 결과 변수 발생률은 이드라파리눅스 군에서 0.9%, 와파린 군에서 1.3% (p= 0.007)로 나타나, 비열등성에 대한 기준을 충족시켰다.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률은 와파린군과 이드라파리눅스군 간에 전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1차 안전성 결과변수인 임상적으로 연관성이 있는 출혈의 발생률은 이드라파리눅스 군에서
바이오 신약개발 전문기업 포휴먼텍(이승규 대표)은 세계적인 자가면역질환분야 연구그룹인 미국 예일의대(Yale Medical School) 케빈 헤롤드(Kevan Herold) 교수팀과 ‘자가면역질환치료제 공동연구’를 체결했다고 밝혔다.이번 공동연구는 포휴먼텍의 신약후보물질이자 자가면역억제 단백질 ‘FHT(ForHumanTech 이하 FHT)-CT4’의 치료 메카니즘을 규명하는 것으로, 인체 유래 물질 전달 펩타이드와 몸 속 면역신호를 관장하는 T 세포, 그리고 FHT-CT4 의 기능을 연구하게 된다.‘FHT-CT4’은 포휴먼텍이 물질전달펩타이드 PTD(Protain Transduction Domain, 단백질 전달체)를 T세포에 특이적인 단백질과 결합해 만든 자가면역치료 단백질 신약으로, 천식이나 아토피, 장기이식, 류마티스 관절염 등의 면역질환에 적용 가능하며, 2006년 5월 ‘네이처 메디슨(Nature Medicine)’에 게재된바 있다.또한 질환에 따라 피부, 기도, 눈 등의 질환부위에 바로 투약이 가능하여, 적은 양으로도 부작용 없이 치료가 가능하다는 것이 특징으로, 많은 다국적제약회사가 관심을 갖고 있는 물질이다.포휴먼텍의 이승규 대표는 “약물의
한-미 FTA 의약품분야 협상 후속으로 과학기술부 과학기술혁신본부, 보건복지부, 등 관계부처가 7월 초 “한-미 FTA대응을 위한 범부처 신약개발 R&D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부처별 지원 역할분담을 확정했다. 아울러 최근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이 주최한 “보건복지부 신약개발지원 설명회 및 간담회”에서 보건복지부는 제약산업경쟁력 강화 방안 발표를 통해 2008년도 510억원 지원을 시작으로 향후 10년간 약 8100억원을 신약개발에 투자하기로 발표함으로써 신약개발 업계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신약개발관련 부처들의 이같은 지원 대책발표로 향후 혁신형 제약기업의 연구개발사업추진이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어 매우 환영할 만 하지만 각 부처가 발표한 R&D지원 규모가 업계의 R&D투자 부족분에 턱없이 모자라는 상황임에 따라 업계의 현실을 제대로 고려하지 않았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최근 국내 신약, 개량신약개발을 주도하고 있는 혁신형제약기업 단체인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의 분석에 따르면 국내 주요 혁신형제약기업의 개량신약을 제외한 순수신약개발 투자 부족분만 2007년 한해동안 2400여억원에 이르고 2008년도에도 2,500여억원에 이를 것으로 나타났고 2009
최근 정부가 발표한 ‘국내 신약개발 육성지원정책’에 대해 업계가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가운데 구체적 실행 로드맵이 어떻게 발표될 것인가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지난 26일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주최로 열린 ‘복지부 신약개발 육성지원정책 설명회 및 간담회’에 많은 제약사 연구소 관계자들이 참석해 정부의 구체적 추진 방향을 문의하는가 하면 반영돼야 할 사안도 적극 주문하는 열띤 토론의 장이 마련됐다.이날 복지부 보건산업기술팀 임숙영 팀장의 ‘복지부 신약개발 육성지원정책’ 주제 발표 후 가진 업계 관계자들과의 간담회 자리에서 한림제약 이광호 이사는 “복지부 신약개발 육성지원정책은 제네릭 의약품에 비중을 두고 있는 것 같다”고 지적하고 “신약개발 지원 중 특히 특허에 초점을 맞추어줬으면 한다”고 주문했다.그는 또 “혁신형제약기업보단 연구자에 중점을 두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조언하기도 했다.동화약품 연구소 관계자는 “현재 발표된 정부 지원 방안을 보면 과기부, 산자부, 복지부가 특정 분야를 나눠 진해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 후보물질 도출→전임상→임상으로 넘어가는 단계가 원활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부처간 협의가 무엇보다 중요할 수 있다”며 “구체적 로드맵 발표 전
최초의 표적항암제 글리벡 이후 노바티스가 개발한 차세대 백혈병 치료제 ‘태시그나(성분명: 닐로티닙)’가 전세계에서 처음으로 스위스 보건당국의 허가를 받았다.태시그나는 글리벡 개발 경험을 기반으로, 글리벡(성분명 이매티닙)에 내성(Resistance) 및 불내약성(Intolerance)을 보이는 소수의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들을 위해 개발되었다. 이번 승인은 438명을 대상으로 한 태시그나 제2상 임상연구결과 탁월한 효과와 우수한 내약성 및 안전성이 입증되어 스위스 보건당국인 스위스메딕(Swissmedic)의 신속심사를 거쳐 이뤄졌다. 태시그나 2상 임상 연구 결과에 따르면, 태시그나 복용 결과 글리벡에 내성을 보이는 필라델피아 양성 만성골수성백혈병 만성기 환자의 42%, 가속기 환자의 31%에서 필라델피아 염색체가 감소되거나 없어졌다. 또한, 만성기 환자의 71%, 가속기 환자의 44%에서 백혈구 수가 정상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필라델피아 염색체는 만성골수성백혈병에서 발견되는 변이염색체로, 만성골수성백혈병의 결정적인 원인이 되는 Bcr-Abl 단백질을 만들어 낸다. 태시그나는 글리벡과 마찬가지로 이 Bcr-Abl단백질의 특정 부분에 결합하여 암세포가 증식,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