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전기 전공의 모집결과 총 3818명 정원에 4223명이 지원해 지원율 110.6을 보였으나, 외과계열은 정원을 채우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대한병원협회(회장 지훈상)는 2일, '2009년도 전기모집병원(기관) 지원현황을 발표했다. 이번에 모집한 과는 총 36개과이다. 병협이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36개과 중 14개과는 지원자가 정원을 초과한 반면, 12개과는 지원율이 미달로 마감됐다.각과별 지원현황을 살펴보면 정신과는 정원 144명에 254명이 지원율 176.4, 피부과는 정원 86명에 지원자 148명에 지원율 172.1, 성형외과 정원 95명에 154명이 지원해 지원율 162.1, 재활의학과는 116명 정원에 지원 181명으로 지원율 156, 정형외과는 231명 정원에 339명이 지원해 지원율 146.8, 안과 122명 정원에 171명 지원으로 140.2, 영상의학과 143명 정원에 198명 지원으로 138.5의 지원율을 보였다.가장 많은 전공의를 모집한 내과는 정원 653명에 888명이 지원해 지원율 136, 신경과 정원 98명에 지원 124명으로 경쟁율 126.5, 핵의학과는 22명 정원에 27명 지원으로 122.7의 지원율을 보였다. 신경외과는
심평원은 물리치료사 공휴일 근무현황 등을 포함한 총 129개의 청구소프트웨어 검사기준항목을 추가했다.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송재성)은 ‘의료급여수가의기준 및 일반기준’ 및 ‘건강보험요양급여비용청구방법, 심사청구서ㆍ명세서서식 및 작성요령’ 일부 개정사항을 반영한 청구소프트웨어 검사기준항목을 지난달 27일 청구소프트웨어검사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129개 항목을 추가했다고 밝혔다.주된 신설내용은 △의료급여 정신질환 정액수가 인상 및 인력확보 수준에 따른 수가차등제 도입에 따라 현행 정신과정액수가외에 행위별 진료내역을 기재해 청구하도록 하는 변경사항 △물리치료사 공휴일 근무현황, 만 1세미만 영아가 입원시 인공호흡시간, 생후 28일 이상 만1세 미만 영아가 입원당시 2500g 미만인 경우 등 특정내역의 기재사항 △임부정보 및 임부금기 의약품 처방(조제)시 처방(조제) 사유를 특정내역에 추가하는 사항 등이다.이에, 청구소프트웨어검사항목은 의원급 1404개, 병원급 1055개 항목, 종합병원 769개 항목, 종합전문병원 732개 항목이다. 심평원은 “청구소프트웨어검사를 조속히 실시해 요양기관에서 정신과진료비를 안정적으로 청구할 수 있도록 검사신청 관할 지역을 폐지하고
심평원이 요양급여장비의 관리효율화를 위해 오는 8일부터 의료장비 품질검사기관과 해당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기로 했다.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송재성)은 2일, “요양급여장비의 관리효율화를 위해 의료장비 품질검사기관이 부적합 판정 등 품질검사 정보를 심평원에 직접 통보할 수 있도록 품질검사기관과 ‘의료장비 품질검사결과 정보연계시스템’을 구축해 8일부터 가동한다”고 밝혔다. 검사기관은 품질검사 후 부적합장비 또는 재검사 적합장비는 발생시마다 즉시 인터넷 포탈 공인인증시스템을 통해 심평원에 통보하는 방식이다.의료장비 품질검사기관은 의료법 등 관련법령에 의해 품질검사를 실시하고 있는 한국의료영상품질관리원과 식품의약품안전청지정 품질검사기관 등 총 20개 기관이다. 그동안 심평원은 부적합장비를 시군구 보건소와 품질검사기관에서 서면으로 통보받아 등록관리하고 진료비 심사업무 등에 반영했으나, 해당기관이 부적합장비를 제때에 통보하지 않아 관련 진료비가 지급되는 경우 별도의 정산을 해야하는 등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심평원은 “품질검사기관과의 직접 정보연계 실시를 통해 장비 품질검사 결과를 보다 신속․정확하게 확보하고 업무에 신속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또
동북아메디컬포럼(상임대표 경만호)이 일본의 동경보험의협회와 함께 의료규제 개선을 위한 한일 국제토론회를 오는 6일 개최한다. 한국 측에서는 경만호 동북아메디컬포럼 상임대표(전 서울시의사회장)가 ‘한국의 의료규제 현황 및 개선방안’을 주제로, 일본 측에서는 와다 동경보험의협회 부회장이 ‘일본의 보험의료제도의 현상과 문제점’을 주제로 각각 발제에 나선다.이영찬 보건복지가족부 건강보험정책관, 박은철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장, 사공진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 조남현 건강복지공동회의 공동대표, 이왕준 ‘청년의사’ 발행인 그리고 동경보험의협회 신위수 이사가 지정토론자로 참여하고, 좌장은 이규식 연세대 교수가 맡는다. 동북아메디컬포럼은 이번 토론회 개최에 대해 “한국과 일본이 의료제도에서 상호간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통상 정부의 규제가 강화된다고 보기 때문”이라며, “따라서 두 나라 의료계가 규제개혁을 위해 함께 고민하고 해법을 찾을 필요가 있다는 의미에서 최초로 한일 국제토론회를 갖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토론회에서 경만호 대표는 건강보험 강제지정제(당연지정제), 임의비급여에 대한 규제, 말 뿐인 수가협상 등 수가제도의 문제점, 국민
건세는 2일 성명서를 통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정영식 진료심사평가위원장의 임명을 철회할 것을 요구했다. 건강세상네트워크(이하 건세)는 “진료심사평가위원회는 심평원의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핵심 기구이다. 그런데 송재성 심평원장은 임기를 마친 조범구 진료심사평가위원장의 후임으로 정영식 대구효성병원 명예병원장을 임명했다”고 비판했다. 심평원은 이번 진료심사평가위원회 위원장을 공모를 통해 임명했으며, 후임 위원장이 리더십이 있고 전문지식을 겸비한 인물이라고 평가다. 그러나 건세는 정영식 위원장의 경력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고 나섰다. 건세는 “산부의과 의사, 생리학 전공의 의학박사가 그의 전문성의 전부”라며, “심평원의 심사위원을 지냈다고는 하지만 고작 2년여의 시간, 그것도 비상근으로 근무했다. 이 정도의 경력으로 전문성을 충분히 검증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뿐만 아니라 “의사회의 간부를 맡고 활동하는 등 의료공급자의 이해를 대변하는 인물이 객관적이고 공정한 위원회 운영을 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건세는 정영식 위원장과 이명박 대통령과의 친분을 문제삼았다. 이유는 정위원장의 고향이 포항이며, 이명박 대통령과 같은 학교를
산부인과의사회는 최근 논란이 됐던 산전진찰 바우처 제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는 뜻을 밝혔다.대한산부인과의사회(이하 산의회)는 “바우처 제도의 참여에 있어 국민 복지를 위한 근본 취지는 환영한다”며, “바우처 제도 시행에 앞서 신청서 접수가 12월 1일자로 시작됨에 따라 산의회는 12월 5일인 신청서 접수 기한까지 참여 의사를 밝힌 전 회원의 참여를 접수받기로 했다. 제도의 참여와 함께 그 간의 산의회 회원들의 의견고지 등을 통해 제시된 여러 가지 문제점들에 대해 지적 및 보완을 요구한다”고 말했다.고시에는 제5조 2항에 임신확인서 발급자의 자격 규정은 산부인과 전문의에 국한 한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산의회는 “부칙의 임신확인서 양식에는 이를 확인할 항목이 없으므로, 산전지원 바우처 수급을 악용하기 위한 부적절한 확인서의 남발을 막기 위해 이에 대한 개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다.또한, “임신확인서의 발급은 태아의 발생학적 근거 및 분만 후 생존가능 최소 임신주수를 참작하여, 임신 20주 이후 발급 및 24주 이후 사용이 가능하도록 제도화 해줄 것”을 요구했다. 산의회가 이 같은 입장을 보이는 것은 출산전 진료비 지원 바우처 제도의 근본 목적이 저하된
가난과 열악한 의료환경 때문에 현지에서 치료가 불가능했던 베트남 어린이 두명이 구호단체와 서울대병원 의료진의 도움으로 새 삶을 살게 됐다. 선천성 심장병을 앓고 있던 13살의 아잉(Anh 남)과 12살 히에우(Hieu 남)가 그 주인공. 이들은 서울대병원 소아흉부외과 이정렬 교수가 집도한 심장수술을 받고 건강해진 상태다. 아잉은 심실중격결손과 심방중격결손이 있는 심장 기형이었다. 심장에 이상이 있다 보니 학교생활과 일상생활을 제대로 할 수 없을 정도로 졸도가 잦았다.히에우는 폐동맥 폐쇄가 동반된 활로우씨 사증후군으로 진단받은 선천성 심장병 환자. 두 아이 모두 수술을 받지 않으면 생활이 힘든 상황이었다. 이들은 최근 이정렬 교수가 집도한 심장수술을 받고 중환자실과 병동에서 건강을 회복해 합병증 없이 퇴원했다. 이정렬 소아흉부외과 교수는 “좀 더 어릴 때 고쳐야 하는 질병이라 수술이 쉽지 않은 상황이었지만, 경과가 좋아 건강한 모습으로 귀국하게 되어 기쁘다”고 말했다. 이번 외국인 환아 치료는 의사협회 100주념을 기념하는 행사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한 언론매체 부사장의 주선과 국제구호단체‘기아대책’의 도움으로 베트남 결연 아동 2명을 한국으로 데려왔으며 치
불우 어린이 환자를 돕기 위한 훈훈한 인간 바이러스가 서울대 연건캠퍼스에 출현했다.서울대의대(학장 임정기)는 방송인 강호동씨를 ‘1004(천사) 바이러스’로 삼아 불우한 어린이환자를 돕는 ‘내 생애 첫 기부 1004 바이러스 캠페인’을 2일, 의대 2학년 학생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었다. 이날 캠페인에서는 강호동씨와 의대생 대표 4명(조재소, 김도환, 허용, 이준희)을 천사 바이러스로 임명했다. 바이러스명은 강호바이러스, 조재바이러스, 김도바이러스, 허용바이러스, 이준바이러스. 이들 천사 바이러스들은 캠퍼스 내 동료 학생들과 서울대병원 의사 등을 시작으로 온 사회에 바이러스를 전파하는 활동에 나설 계획이다. 천사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매월 1004원씩 서울대 어린이병원 후원회에 기부하는 것으로, 모아진 성금은 암 등 중한 질병이나 희귀난치병을 앓고 있는 어린이환자, 외국인 노동자 자녀, 해외동포 환아 등의 치료비로 사용된다.2001년 설립된 서울대 어린이병원 후원회는 지금까지 500여명의 불우 어린이 환자에게 진료비를 지원해왔다.이 캠페인은 의대본과 2학년 학생들의 인성 함양을 위한 ‘환자-의사-사회 4’ 강좌의 일환으로 기부의 중요성을 일깨워주고자
전북대학교병원이 최근 호흡기전문질환센터 사업을 유치한 데 이어, 보건복지가족부가 지원하는 ‘병원 특성화 연구 센터’사업에도 선정됐다. 이로써 전북대병원은 호흡기질환 치료 및 연구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보건복지가족부는 2일 전북대병원이 ‘2008년 하반기 보건의료연구 개발 신규 추진 과제-병원 특성화 연구센터 사업’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전북대병원은 ‘난치성 폐 손상의 신개념 치료제 개발’이라는 과제명으로 호흡기 질환 치료제 개발에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신개념 치료제 개발을 위해 향후 5년 동안 연간 10억 원, 총 50억 원을 지원 받는다. ‘폐 손상 치료제 개발 특성화 센터’는 호흡기·알레르기 내과 이용철 교수를 센터장으로 박성주(호흡기·알레르기내과), 류완희(류마티스내과), 채한정(약리학교실) 교수 등 관련 분야의 최고 전문 연구 인력이 참여하게 된다. 향후에는 관련 산업계까지 참여시켜 난치성 폐손상에 대한 신약 개발에 전념할 계획이다. 천식, 만성 폐쇄성 폐질환, 폐 섬유화 질환 등 호흡기 질환은 우리나라를 비롯해 세계적으로 최근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기존 치료제로는 환자
의사협회가 건정심이 결정한 한방물리치료 급여화 결정에 유감을 표명하며, 당장 철회할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대한의사협회(회장 주수호)는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가 지난달 27일, 이해당사자인 본회의 반대에도 불구,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라는 미명아래 한방물리치료 급여화를 전격적으로 결정한 것에 대해 심각한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또한, “이는 수적 논리에만 의존하는 건정심의 불합리한 의사 결정구조의 문제점을 다시 한 번 드러낸 폭거이므로 즉각 철회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의학과 한의학은 그 기본개념과, 치료방법이 상이한(의학은 진단명과 신경해부학에 근거해 치료, 한의학은 변증과 경락학설에 근거해 치료) 것이 사실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현대의학이 도입된 후 117년 동안 범국민적인 일원화 요청이 지속적으로 제기됐으나, 줄곧 이원화의 길을 걸어왔고 서로 다른 면허를 교부받아 환자를 치료해 왔다. 그러나 실상 의사면허 소지자가 행하는 의료행위와 한의사 면허 소지자가 행하는 한방 의료행위의 경우 구체적인 범위 및 정의에 관한 규정이 의료법상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대한 판례나 보건복지가족부의 유권해석도 모호해, 실제 의료현실에 있어서는 어떤 것이 의료행위이고 어떤 것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이정애 교수(예방의학교실)가 최근 열린 대한노인병학회 창립 4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및 제 42차 추계학술대회 정기총회에서 대한노인병학회 회장으로 선출됐다. 임기는 1년이다. 이정애 교수는 대한노인병학회 호남지회 초대 이사장을 역임하는 등 노인건강증진 종합대책의 테스크포스팀(Task Force Team)의 주요업무를 담당하여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한편, 대한노인병학회는 1968년 창립되어 노인병과 노인의학 학술연구단체로, 회원이 5,500명이 넘는 대규모 학회이다.
전남대학교병원 호흡기내과 김영철 교수가 최근 열린 2008년 대한폐암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3B 또는 4병기 비소세포 폐암에서의 docetaxel, cisplatin 용량 비교 연구’(A Randomized trial of 1st line Docetaxel and Cisplatin in 75/60 vs 60/60 mg/m2 for patients with stage Ⅲ B or Ⅳ Non-Small Cell Lung Cancer - an Interim Analysis) 주제 논문으로 우수 연제상을 수상했다.김영철 교수는 대한내과학회, 대한 결핵 및 호흡기 학회, 미국 호흡기학회 등 활발한 학회활동을 하고 있으며, 전남대병원에서 폐암, 호흡기 질환 등을 전문치료하고 있다.
전남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 박형욱 교수가 최근 싱가포르에서 열린 2008년 아태 심장율동학회 및 심방세동 심포지엄에서 ‘심방세동에서 내피세포 기능저하는 혈전색전의 위험인자’(Endothelial dysfunction is a risk factor for thromboembolism in atrial fibrillation) 주제 논문으로 ‘젊은 연구자상’을 수상했다. 박형욱 교수는 대한내과학회, 대한순환기학회, 대한고혈압학회, 대한심초음파학회 등 활발한 학회활동을 하고 있으며, 전남대병원에서 부정맥, 돌연사, 실신, 심전기생리학 등을 전문치료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정형근)은 공공기관 콜센터 중 최초로 콜센터 서비스 분야에 대한 KS 인증을 획득했다. 인증서 전달식은 지난 1일 공단 임직원 4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공단 강당에서 있었으며 한국표준협회장(회장 최갑홍)으로부터 인증서를 전달받았다. KS 인증 심사는 10월 30일부터 11월 3일까지 현장 실사를 거쳐 이루어졌으며 11월 19일 최종적으로 KS 인증을 획득했다.건보공단 고객센터는 2006년 4월 개소, 고객 최우선의 공단 경영방침에 따라 운영하고 있으며 공공기관 콜센터 중 최대 규모(1017석)이다. 공단 고객센터의 상담범위는 자격, 보험료, 보험급여 등 건강보험 업무 전반과 의료급여 및 최근 실시한 노인장기요양보험 등을 대상으로 한다.공단 고객센터는 고객센터 품질인증 마크(CQM, ‘06년 9월 한국텔레마케팅협회), 서비스품질 AA+등급(’07년 8월 한국능률협회)을 획득한 바 있다. 공단의 KS 인증 획득은 공공기관 콜센터 운영의 모델이 될 전망이다.한국능률협회는 공단 고객센터에 대한 컨설팅 결과 보고서(‘08년 10월)에서 “공단 고객센터 운영으로 연간 평균 624억원의 사회적 비용 절감(도급업체 운영에 의한 인건비 절감 257억
요양기관에서 산전검사로 시행하는 HBsAb(항체검사) 검사의 경우 심사조정대상임에도 청구하는 사례가 흔해 주의가 요망된다.건강보험심사평가원 대구지원은 최근 ‘요양급여비용 청구착오 사례’를 통해 다발생 진료비 청구 착오사례를 안내했다. 요양기관에서 검사료로 청구하는 것 중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착오는 ‘산전검사’, ‘급성위염’, ‘당뇨병 환자 검사’ 등이다.산전검사의 경우 가장 흔한 청구 착오는 소변검사, 전혈검사, 매독반응검사, 혈액형검사, HBsAg/Ab, 풍진검사 등을 실시한다. 이때 소변검사, 전혈검사, 매독반응검사, 혈액형검사, HBsAg, 풍진검사는 인정되나 HBsAb는 심사조정 된다.심평원 대구지원은 “산전진찰 목적으로 실시하는 검사의 요양급여 범위는 전혈검사, 소변검사, 혈액형검사, 매독반응검사, HBsAg(B형간염S항원검사), 모체혈청선별검사 중 Triple Test(α-FT, Estriol, β-HOG), 풍진검사(IgG, IgM) 등이다. 따라서 HBsAb(항체검사)는 인정되지 않는다”고 말했다.또한, 요양기관의 가장 흔한 청구착오유형은 급성위염 상병에 위내시경검사(나761), 내시경하생검(나854), H-Pylori검사(나415)를 실시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