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3,785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28일 현재 대다수 서울의 구의사회가 총회를 마무리하고 있는 가운데 개원가의 어려움이 총회석상에서 그대로 반영되어 경영상 난제들이 건의안으로 쏟아져 나오는 공통현상을 나타냈다. 지난 2일 마포구의사회를 선두로 개막된 서울의 구의사회총회에서 건의안으로 채택된 현안들을 살펴보면, *건보수가 현실화대책이 각구 의사회에서 가장 공통적으로 많았고 그 다음으로 순위를 구분하기 어려울 만큼 *불법진료행위 근절, *병의원 감염성폐기물 대책, *S/W 등을 포함한 진료비 청구방법 개선, *회비관리의 철저와 형평성 대책 등 4개항이 2위 그룹을 형성할 정도로 공통 현안으로 제시되었다. 특히 주목을 끌었던 건의로는 *서울시의사회장 직선제 추진이 그 다음 순위를 차지할 만큼 많은 구의사회에서 건의사항으로 채택되었다는 점이다. 이외에도 최소 2개 구의사회 이상에서 건의사항으로 채택된 건의사항으로는 *한방의 CT사용 반대대책을 위시하여 *보건소 진료범위 축소, *100대 100 본인부담금제 철폐, *세무대책, *야간진료 가산시간 조정, *초ㆍ재진 구분문제 등이 건의안으로 채택되었다. 올 해 총회에서는 경기불황이 계속되면서 개원가의 경영환경이 더
개원가에 저렴하면서도 성능이 향상된 진료청구프로그램이 공급될 예정이다. 대한개원의협의회는 최근 국내 업체와 공동 개발한 진료청구프로그램 ‘MD-Chart’를 최저가에 개원가에 공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대개협 측에 따르면 이번에 공급하게 될 MD-Chart가 현재 각 의원이 사용하고 있는 전자차트용 청구프로그램보다 프로그램 값을 대폭 낮춰 많은 회원들에게 혜택을 주기위해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 대개협 관계자는 "그 동안 비싼 가격과 불충분한 A/S, 잦은 수가 변동에 따른 Upgrade의 불편함, 제한적인 기능 등으로 개원의사들의 불만이 적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라며 “이번 기회에 저렴하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게 됐으며, 실행시 자동으로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되는 등 가격과 성능면에서 기존의 제품을 능가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대개협은 신규 개원 회원은 물론 기존의 다른 프로그램 사용자들에게도 많은 혜택이 돌아갈 것으로 기대했다. 한편, 대개협은 다른 업체의 프로그램 사용자 중 동일한 DB 사용자는 기존의 DB를 계속 사용할 수 있고, MD-Chart로 변경시 더욱 부담이 줄어들 것이라
정 문 관 영남의대 영남대병원 내과 Moon-Kwan Chung, M.D.& Ph.D. Dept. of Internal Medicine, Yeungnam Medical Center, Yeungna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서 론 대장 폴립은 가끔 혈변이나 복통 혹은 장폐색과 같은 임상 증상을 나타내기도 하지만 대부분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다. 하지만 임상에서 폴립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는 일부이긴 하지만 대장암과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1980년부터 시작한 우리나라 암등록 사업 보고서에 의하면 1980년대는 대장암의 빈도가 전체 암의 7%를 넘지 않았지만 1990년부터 서서히 증가하여 지금은 11.2%로 많아졌고 또 대장 질환에 관심이 많아지면서 대장 검사의 횟수가 많아졌다. 대장암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병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는데, 이중 일부분 밝혀진 것도 있지만 많은 부분이 아직 규명되어야 할 부분으로 남아 있다. 대장암 발생이 많다고 알려진 질환의 유전적 소인을 갖고 있거나 염증성 장질환이나 대장암 가족력 등과 같이 대장암 발병이 일반인에 비해
의과용 청구S/W인 포씨게이트의 PHARMLINK2000을 비롯한 청구S/W 4본이 적정하다는 결정이 내려졌다. 심평원은 올해부터 적용되는 서식개선 사항이 반영된 청구S/W 4본을 적정한 것으로 결정, 청구S/W 검사제도가 시행된 지난 2002년 4월부터 현재까지 적정한 것으로 결정된 청구S/W는 총 46본으로 늘어났다고 밝혔다. 이번에 적정결정을 받은 청구S/W는 의과용인 팬컴의 PANCHART, 약국용 메디팜의 PharmClick-PLUS, 약국용 S/W인 포씨게이트의 PHARMLINK2000, 치과용 S/W인 브레인컨설팅의 D4 SO Dent 등이다. 현재 심평원은 EDI 송·수신과정뿐만 아니라 청구서·명세서 일반사항 중 빈번한 오류가 발생하는 항목을 대상으로 적합성 여부를 중점적으로 점검하고 있다. 또 적정결정을 받은 청구S/W는 홈페이지(www.hira.or.kr)와 월간「심평」지에 게재해 관련 요양기관 등에 홍보하고 있다. 한편, 심평원은 서식개선 사항을 반영해 검사신청한 청구S/W 11본(의원용 4본, 치과의원용 1본, 한의원용 1본, 약국용 2본, 보건기관용 3본)에
박 미 정 인제의대 상계백병원 내분비소아과 Mi - Jung Park, M.D. & Ph.D. Dept. of Pediatrics, Sanggye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서 론 사춘기는 소아에서 성인으로 이행되는 시기로 완전한 성적 성숙 및 수정 능력을 갖추기 위해 시상하부-뇌하수체-성선 축의 기능이 활성화 되는 시기이다. 일반적으로 여아는 유방의 발달로 사춘기가 시작되고, 남아는 고환의 크기 증가(고환의 세로길이가 2.5cm 이상이거나 고환 용적이 4ml 이상)로 사춘기가 시작되며 우리나라 남아는 12~13세, 여아는 평균 10~11세 경 사춘기가 시작된다. 사춘기의 시작시기는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 (사회경제적 수준, 영양, 전신 건강상태, 지역, 고도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즉, 사춘기의 시작은 시상하부에서 유래하는 neurotransmitter나 neuropeptide 등의 신호에 의해 영향을 받을 뿐 아니라 말초 혹은 성선으로부터의 신호를 받는데 이러한 신호는
신 호 철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가정의학과 Ho-Cheol Shin, M.D. & Ph.D. Dept. of Family Medicine, Kangbuk Samsung Hospital,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서 론 의사를 방문하는 환자들 중에는 관절염이 아니면서도 신체의 여러 부위에서 만성적인 근골격계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그리고 아무리 노력해도 원인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 주치의들은 이런 만성적인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의 진단을 흔히 정신신체 증상 혹은 신체화 장애로 결론을 내리는 경우가 흔하다. 물론 환자들은 이러한 진단을 거부한다. 이렇게 원인을 알 수 없는 근골격계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은 통증 외에도 수면 장애, 만성적인 피로 증상을 같이 호소하는 경우가 보통이다. 대표적으로 지난 1904년 William Gowers에 의해서 명명되어 섬유조직염(fibrositis)으로 불리워지다가 실제로 염증의 증거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최근에는 섬유근통 증후군(fibromyalgia syndrome
L-DOPA로 치료한 파킨슨 질환 환자에게 Teva 회사에서 개발한 rasagiline 이 질환 개선에 획기적인 효과를 보였다 고 주장하고 있다. 운동 장애를 병발하고 있는 중간 정도와 심한 파킨슨 질환환자에게 rasagiline (Agilect) 정을 적절한 levodopa와 기타 약물 치료와 함께 하루에 1회 투여 병용할 경우 증세 완화와 활동성 개선 효과가 획기적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levodopa를 투여하면 파킨슨 질환 증세가 사라졌다가 다시 재발하거나 충분히 억제가 되지 못할 경우의 약효 단절 시간 간격을 Agilect 투여하면 1mg 투여 집단에서는 1.85시간이 단축되고 0.5mg 투여한 집단에서는 1.41시간 단축된 반면 맹약 집단은 하루에 0.91시간만 단축 될 뿐이었다는 것이다. 파킨슨 증세가 잘 제어된 약물 효과 기간에는 Agilect 투여로 획기적인 활동성 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치료 약물에 의한 약효 기간의 유무에 따른 일상 생활의 활동성 측정은 UPDRS (Unified Parkinson's Disease Rating Scale)을 적용 측정하였다.
만병의 근원인 담배가 혈관의 탄력도를 저하시켜 고혈압과 혈관노화의 원인으로 작용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고려대 구로병원 심혈관센타 박창규·김진원 교수팀은 지난 2003년 5월부터 2004년 5월까지 심혈관질환이 의심되지 않는 건강한 남자 100명(평균연령 29.2세)을 대상으로 흡연(만성 1회)후 동맥경직도 검사를 실시한 결과 만성적인 흡연자는 담배가 혈압과 혈관탄력도를 저하시켜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조사대상자를 만성흡연 및 일시적 흡연군 80명(A그룹:만성 흡연자 40명, 하루 한 갑, 흡연기간 7년~13년, B그룹:비흡연자로 1회 흡연자 40명) 정상군 20명(비흡연자로 흡연환경에 노출이 안된 사람)으로 분류하여, A∙B군에게 흡연(2개피, 1.5mg)을 시킨 뒤 정상군과 비교하여 흡연 후 1시간까지 일정 간격으로 혈압과 동맥탄성도(맥파전파속도)를 분석했다.
그 결과 담배연기를 흡입한 5분 후 만성흡연 및 1회 흡연자에서는 수축기 혈압과 확장기 혈압이 각각 평균 12
이승규 울산대학교 의대 외과학교실 서울아산병원 일반외과 Sung-Gyu Lee, M.D. & Ph.D. Dept. of General Surgery, Division of Hepato-Biliaty Surgery and Liver Transplantation Asan Medical Center , Ulsa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근자에 이르러 새로운 각종 영상진단법의 발달과 경간동맥화학색전술 (TACE), 경피적 에타놀 주사요법 (PEIT) 및 경피적 고주파 치료 (RF) 등의 개발과 간이식을 포함한 진일보한 외과적 절제수기의 도입으로 간세포암(Hepatocellular carcinom, 이하 “간암”이라 명칭)의 예후는 비약적으로 향상되었다. 간절제술은 간암에 대한 가장 확실한 치료법으로써 매년 수술성적이 향상하여, 1985년 이후의 증례들은 절제후 5년 생존율이 50%를 상회하고 있으나 실제로 외과적 절제술을 받은 환자는 전체 간암환자의 15% 미만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처럼 절제술을 받을 수 있는 환자의 절대수가 적은 이유는 간암은 타장기의 악성종양에서 볼 수
박준오 성균관의대 내과학교실 임상전임강사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서 론 간암의 발암과정(carcinogenesis)은 다른 악성종양의 발암과정과 동일하게 다양한 유전자의 변이가 축적되어 일어나는 다단계의 복잡한 과정이다. 간암의 중요한 발암인자로는 만성 B형 및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다양한 원인에 의한 간경변증, aflatoxin B1의 지속적인 노출, 원발성혈색소증(primary hemochromatosis) 등이 있으며, 간암의 발암과정에는 발암인자에 따라 각 단계에 관여하는 유전자 변이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원인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으로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만성적인 간 손상(염증, 세포사멸, 간경변 및 재생 결절), DNA 손상에 의한 유전자 변이의 축적 및 이형성(dysplasia) 등의 과정을 거치게 되며, 궁극적으로 간암이 발생하게 된다(Fig. 1). 일반적으로 간암 환자의 약 60~80%는 이미 간경변증이 있는 환자에서 발생하게 되며, 간경변증 환자의 경우 간암 발생의 위험도는 매년 1~5%씩 증가한다. 뿐만 아니라, 간경변증에서 관찰
윤 만 수 부산의대 부산대병원 산부인과 Man-Soo Yoon, M.D. & Ph. D. Dept. of Obstetrics & Gynec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of Hospital, Pusan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서 론 생로병사에 관한 원인이 과학적으로 하나씩 규명되어지고 있고 노령화 사회를 맞이하여 여성의 폐경후 건강 관리에 지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시점에 최근 폐경여성에서 호르몬 대체요법를 실시하는 것에 대한 새로운 연구 결과가 밝혀져 호르몬 대체요법이 득이 많은지 실이 많은지에 대해 우리를 혼란시키고 있다. 심장질환이 있는 폐경여성을 대상으로 한 Heart and estrogen-progestin replacement study II(이하 HERS II)와 건강한 폐경여성을 대상으로 한 Women’s health initiative(이하 WHI) 연구에서 호르몬 대체요법은 심장질환의 1차, 2차 예방효과가 없었으며, 오히려 심혈관계 질환과 유방암의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부정적인
윤승규 가톨릭대학교 의대 내과교실 강남성모병원 소화기내과 Seung-Kew Yoon, M.D.& Ph.D. Dicision of Hepatogastroenterology, Dept. of Internal Medicine, Kangnam St. Mary’s Hospital ,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서 론
보령제약은 11일 김광호(金光浩, 58세) 前 한국사노피-신데라보 부사장을 영업-마케팅 부문 대표이사 사장으로 영입, 발령했다. 이에 따라 보령제약은 종전의 김상린(金祥麟) 대표이사와 신임 김광호 대표이사의 공동 대표이사 체체로 운영된다.
그동안 대표이사직을 수행했던 김상린 대표이사는 생산, 수출, 연구소, 관리, 사업 등 영업-마케팅 부문을 제외한 업무를 맡게 되고, 신임 김광호 공동 대표이사 사장은 영업-마케팅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식물 생명현상 이해의 단초가 되는 빛 신호조절 과정의 메커니즘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세계 최초로 규명됐다. 포항공대 생명과학과 남홍길·유종상 연구팀은 과학기술부와 농촌진흥청이 지원하는 21세기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작물유전체기능연구사업단)의 지원으로 금호생명환경과학연구소와 독일 프라이부르크대 연구팀과의 공동 연구로, 식물의 빛 수용단백질인 피토크롬(Phytochrome)에 의해 인지된 빛의 정보를 최적화하는 기능을 가진 새로운 유전자를 발견하고, 이의 원리를 규명하는데 성공했다. 남 교수 연구팀은 이같은 결과를 생물학분야 세계적 권위지인 셀(Cell) 최신호(11일자)에 발표했다. 남 교수팀은 2001년부터 애기장대(Arabidopsis)라는 식물에서 발현되는 전체 단백질 중에서 피토크롬과 물리적으로 직접 결합하는 단백질들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 왔다. 이 과정에서 남 교수팀은 피토크롬에 의해 인지된 빛의 정보를 정교하게 조절하여 최적화 하는 등의 핵심기능을 가진 유전자를 발견하는데 성공하고, 이를 'PAPP5'로 이름 붙였다. 특히 연구팀은 식물체내 피토크롬의 활성도 조절 작용인 인산화(燐酸化) 반응에 P
지난해 국내에서 판매된 의약품중 1백억대이상 매출을 기록한 시장주도 거대 품목은 43개사에 걸쳐 총 136개 품목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대웅제약이 9개, 다음이 동아제약·한미약품이 각기 8개 품목, GSK가 7개 품목으로 나타나 에치칼 시장의 판도 흐름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국내 의약품 시장주도 품목은 동아·한미·대웅·GSK 등 4개사가 총 32개 품목으로 전체의 23%를 점유 함으로써 상위권 제약기업들이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년도에 새롭게 100억 매출고지에 도전하고 있는 품목도 43개 이상으로 추정 됨으로써 제약기업의 마케팅 전략도 에치칼 시장을 둘러싸고 볼륨이 커지는 거대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으며, 집중적인 매출확대 정책을 통해 품목을 소수 정예화 하는 움직임이 가시화 되고 있다. 제약협회가 집계한 2004년도 100억원대이상 거대 품목에 의하면 매출을 100억원이상을 기록한 품목은 136개로 의약외품을 포함할 경우 144품목인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는 것. 외자 제약기업의 경우 매출 100억원대 이상 품목은 14개사 49품목이 전체의 34
뇌졸중 환자가 계속 아스피린을 복용하다가 중단하면 1개월 이내에 중풍 재발이 무려 3배 높게 나타난다고 스위스 로잔느 대학의 미셀 (Patrik Michel) 박사 연구진이 주장하고 있다. 이들 연구진은 2002년 1월에서 2004년 4월까지 일과성 허혈 성 중풍(TIA)이나 뇌졸중으로 입원한 모든 환자들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가운데 309건의 새로운 뇌졸중 환자를 관찰한 결과 이들은 뇌졸중 전에 심장이나 뇌졸중 예방으로 아스피린을 장기간 처방한 바 있었다. 이와 비교하기 위해서 아스피린&nb
진료비 청구 S/W에 대한 요양기관의 선택권이 강화되고 6월3일부터 인증제가 실시됨에 따라 요양기관의 예기치 않은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검사받은 S/W가 일제히 갱신된다. 3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신언항)은 최근 제1차 청구소프트웨어 검사심의위원회를 열고 향후 소비자 선택권을 강화하기 위해 청구 S/W 소비자인 요양기관의 업체 선택 기회를 확대하는 S/W검사기준을 추가하고 오는 3월 1일부터 시행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결정을 통해 요양기관은 S/W 업체 폐업으로 겪을 수 있는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난립한 업체 가운데 질 좋은 S/W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게 됐다. 심평원은 “청구 S/W 소비자인 요양기관이 S/W 선택권을 확보하는 것은 이동통신의 경우 번호이동성제도에 버금가는 것으로, 선택권 확대에 따라 S/W 업체의 품질경쟁도 촉발시킴으로써 S/W 질 향상과 유지보수서비스의 향상도 가져올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이날 위원회에서는 오는 6월3일부터 전면 시행되는 청구 S/W인증제에 따른 요양기관의 피해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청구 S/W검사제도를
보건의료·에너지·교통·통신·금융 등의 국가핵심기반체계가 마비되는 국가적 위기상황을 종합적으로 24시간 모니터링하고 대응하기 위한 ‘국가기반보호상황실’이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행정자치부는 지난 31일 정부중앙청사에서 행자부장관을 비롯한 간부와 유관기관 임직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국가기반보호상황실 준공에 따른 현판식과 시스템 개통식을 개최했다. 행자부 보건복지·재경·산자·농림·노동부 등 5개 기관을 핫라인으로 연결하고, 국가기반보호상황실은 국가핵심기반 작동상황을 연중 실시간 모니터링 해 유관기관에 전파·공유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국가의 재난의 사전 예방에 기여하고, 집단업무거부·테러·대규모재난 등에 의해 국가핵심기반이 마비될 경우 최소 기능이 유지 될 수 있도록 유관기관간 신속한 협조체제를 구축해 정부차원의 통합지원을 하는 등 범정부적 종합지휘소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것으로 행자부는 기대했다. 행자부는 또 지금까지 과기부, 건교부, 한국가스공사, 한국전력 등 12개기관에서 개별적으로 구축·운영해 온 상황정보시스템을 상호 연계한 국가기반상황관리시스템을 구축했고, 금년말까지 서울지하철공사 등 4개
최근 강남성모병원은 중국 유수의 국립대학병원에서 근무하는 중진급의 심장내과 의사가 한국의 최신 심장중재술을 배우기 위해 연수중이라고 밝혔다. 쉰 호웨이 교수는 2004년 12월부터 2005년 5월까지 6개월간 강남성모병원 심장내과(과장: 승기배 교수)에서 심혈관조영술, 심혈관성형술 그리고 인공심박동기 등의 심장중재술과 최신의료기술을 배울 예정이다. 쉰 호웨이 교수는 현재 병원에서 연수중이며 중국 동북부의 산둥성 청도(칭따오)시에 위치한 청도국립대학병원에서 조교수로 재직 중이라고 밝혔다. 청도국립대학병원은 1,300병상을 보유하고 있는 중국내에서 손꼽히는 병원 중 하나로, 700만명에 달하는 주민들의 건강을 책임지고 있으며, 현재 신장이식과 간이식을 활발히 시행하고 있다. 쉰 호웨이 교수는 “차세대 최첨단 의료기술인 줄기세포를 이용한 심장 및 혈관 재생의 임상적용에 관한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1999년에 청도의과대학를 졸업한 뒤 의학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청도의과대학에서 심장내과의로 진료활동을 하였으며, 2002년에는 호주 퀸스랜드대학병원 심장내과에 1년 동안 객원교수
만성질환에 시달리고, 장기간 동안 여러약물을 사용하고 있는 고령자들을 위한 지침이 마련될 예정이다. 식약청은 고령화시대를 대비, 노인 환자들이 적절하게 약물을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한다는 취지로 지난해 ‘노인환자의 약물사용 현황 분석 및 적절성 연구’를 진행, 그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책임자인 오정미(서울대) 교수는 2003년 1월부터 12월까지 65세 이상 2차·3차 의료기관 입원환자 4519명과 외래진료 환자 2만 575명에게 처방된 약물현황을 분석한 후, 미국과 캐나다의 노인병 학자와 약물학 전문가들이 개발한 Beer’s criteria를 이용해 적절성을 평가, 약물상호작용 연구를 위한 조사분석 후 그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결과 65세 이상 고령자의 경우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아 여러 약물을 장기간 사용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으며, 노인성 질환의 치료약물이 다빈도로 사용됐다. 약물사용의 적절성 면에 있어서, 남자에 비해 여자가 위험도가 높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위험성이 있는 약물을 사용할 위험이 커지며 처방 약물수가 많아질수록 그 위험도는 급격히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