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6 (월)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검색 결과

'50s텔ErrorBased◎보험디비|II'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660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
  • AZ의 혈압강하제 Atacand, 당뇨 예방 효과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 혈압 강하제 Atacand(candesartan cilexetil)가 심부전 복합 당뇨병 유발 위험을 22%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냈다고 캐나다 맥마스터 대학의 유섶 (Salim Yusuf) 교수 연구진이 주장했다.   당뇨병이 없었던 7,599명의 심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Atacand를 투여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당뇨병 발병 위험성을 감소시킨 효과를 나타냈다.   Atacand는 고혈압과 심부전이 복합된 심혈관 질환 치료로 허가 받았으며 당뇨병 발병 예방에는 적응증으로 허가 받지 못했다.   유섶 교수는 “당뇨병은 심장 정지로 발전하는 심혈관 질환 유발 위험요인으로 두 질환이 복합될 경우 사망률과 지체 부자유를 유발하게 된다” 라고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본 자료는 결론적이라고 단정할 수 없으며 앞으로 더 연구 과제로 제시하고 있다. (Datamonitor Newswire) 백윤정 기자(yunjeong.baek@medifonews.com) 2005-09-10  

    • 백윤정 기자
    • 2005.09.10 04:41
  • ‘국가지정 미생물거점은행’ 오픈

    미생물 관련 은행 9개가 참여하는 국가지정 미생물거점은행이 지난 5일 서울의대 암연구소 이건희홀에서 개소식을 갖고 출범했다.   초대 미생물거점은행장은 서울여대 이연희 교수가 선임되어 앞으로 추가될 제2, 제3의 거점 은행들의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미생물거점은행(www.knmrrc.or.kr)은 해양미세조류, 야생버섯, 식물병원성 곰팡이 등 진핵미생물과 항생제내성세균,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환경산업미생물 등 세균과 동물바이러스와 식물 바이러스를 다루고 있으며, 또 이러한 미생물에서 추출한 물질도 취급 한다.   초대 행장인 이연희 교수는 “앞으로 미생물거점은행은 국가적 차원에서 미생물 유전자원의 확보와 관리를 위해 미생물 소재 확보, 분류에서부터 보관, 분양까지 모든 단계가 표준화된 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국가의 유전자원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미생물거점은행에 참여한 은행은 *병원성바이러스은행장(송기준 고려대) *식물병원성곰팡이 유전자원은행장(이용환 서울대) *식물바이러스유전자은행장(류기현 서울여대) *야생버섯균은행장(이태수 인천대) *한국해양미세조류은행장(허성범 부경대) *

    • 위정은 기자
    • 2005.08.08 05:20
  • AZ ‘쎄로켈’, 우울증 치료효과 입증

    아스트라제네카는 최근 미국 정신의학 저널(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을 통해 양극성 장애 I, II 형 환자 우울증 치료에 대한 ‘쎄로켈’(성분명: 쿠에티아핀)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실시한 대규모 임상시험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임상을 통해 쎄로켈을 복용한 환자군의 절반 이상(52.9%)이 양극성 장애 우울증상의 관해 를 보여 쎄로켈의 양극성 장애 치료에 뛰어난 효과를 입증했다.   이번 볼더(BOLDER) 임상은 양극성 장애 I, II형의 급성 우울증 치료를 위한 비정형 약물의 단일요법을 연구한 최초의 대규모 임상시험이라는 점에서 크게 주목 받았다.   특히 이번 임상시험에서는 조증과 우울증의 상태가 자주 반복되는 급속순환성장애(rapid cycling) 환자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양극성 장애 환자중 급속순환성장애가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증세가 훨씬 심각해 치료가 어려우나 이번 임상에서 쎄로켈을 복용한 환자들의 MADRS 수치를 측정 결과, 환자의 급속순환성장애의 유무와 관계없이 쎄로켈이 양극성 장애의 우울증에 위약에 비

    • 강희종 기자
    • 2005.07.12 06:40
  • AZ ‘쎄로켈’, 우울증 치료효과 입증

    아스트라제네카는 최근 미국 정신의학 저널(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을 통해 양극성 장애 I, II 형 환자 우울증 치료에 대한 ‘쎄로켈’(성분명: 쿠에티아핀)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실시한 대규모 임상시험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임상을 통해 쎄로켈을 복용한 환자군의 절반 이상(52.9%)이 양극성 장애 우울증상의 관해 를 보여 쎄로켈의 양극성 장애 치료에 뛰어난 효과를 입증했다.   이번 볼더(BOLDER) 임상은 양극성 장애 I, II형의 급성 우울증 치료를 위한 비정형 약물의 단일요법을 연구한 최초의 대규모 임상시험이라는 점에서 크게 주목 받았다.   특히 이번 임상시험에서는 조증과 우울증의 상태가 자주 반복되는 급속순환성장애(rapid cycling) 환자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양극성 장애 환자중 급속순환성장애가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증세가 훨씬 심각해 치료가 어려우나 이번 임상에서 쎄로켈을 복용한 환자들의 MADRS 수치를 측정 결과, 환자의 급속순환성장애의 유무와 관계없이 쎄로켈이 양극성 장애의 우울증에 위약에 비

    • 강희종 기자
    • 2005.07.12 04:00
  • ‘아프로벨+ HCTZ’ 병용, 목표혈압 달성

    최근 발표된 임상연구 결과, 단일 치료제로 혈압 조절에 실패한 대다수의 고혈압 환자들은 안지오텐신–II 수용체 길항제인 ‘아프로벨’(성분명: irbesartan)과 이뇨제인 HCTZ(hydrochlororthiazide)를 병용한 임상연구 결과, 목표 혈압 달성에 도움을 받을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태리 밀라노에서 열린 ‘유럽고혈압학회’ 회의에서는 INCLUSIVE와 CO.S.I.M.A.라 불리는 두가지 임상연구 결과를 통해 ‘아프로벨’과 ‘HCTZ’를 병용한 치료법의 효과 및 안전성 결과가 발표되었다.   미국에서 수행된 INCLUSIVE 시험에서 참여 환자의 77 %가 ‘아프로벨’ 기반의 병용 치료에 의해 수축기 혈압 목표를 달성했다.    INCLUSIVE 시험에는 노인 고혈압 환자, 당뇨 환자, 대사 증후군 환자 및 단독 고혈압 치료제로 혈압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환자 등, 혈압 조절에 특히 어려움을 겪는 환자들이 포함되었다.   “INCLUSIVE 연구는 ‘아프로벨’+’HCTZ’ 병용 치료가 단독 혈압제제에 의해 조절되지 않은 다수의 고혈압 환자의 목표 수축기 혈압을 효과적으로 달성

    • 강희종 기자
    • 2005.07.05 06:24
  • ‘BT기반 신약·슈퍼항생제’ 심포지엄

    생명연은 오는 29일 미생물 유전체를 기반으로 한 신약 및 슈퍼항생제의 연구성과 발표 및 토론을 갖는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원장 양규환)은 29일 오후 2시부터 본관 대회의실에서 “신약개발을 위한 미생물화학 연구”라는 주제로 심포지움을 개최한다.   ‘KRIBB 컨퍼런스’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개최되는 이번 행사에는 명지대 권형진 박사가 *마크로테트로라이드 생합성을 위한 신규 타입 II 폴리케타이드 신테이즈 (type II polyketide synthase), 일본 키타사토대학의 이케다 교수가 *방선균 2차대사산물의 다양성, 생명연 김원곤 박사가 *미생물 유전체를 기반으로 하는 슈퍼항생제의 개발을 주제로 발표한다.       또한 명지대 이상희 교수가 *임상세균 유래 항생제내성 단백질의 3차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신약 개발, 농업과학기술원 조수묵 박사가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고등균류의 전망, 생명연 오원근 박사가 *지질대사관련 효소의 조절을 통한 미생물 유래 신규 항비만 항당뇨 치료제의 개발 등에 관해 발표한다.   생명연 관계자는 “미생물은 의약품, 식품 등의  원료를 제공하는  고부

    • 조현미 기자
    • 2005.06.27 0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