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9 (월)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정책

E형 간염, 최근 2년간 938명 환자 신고…“관리방안 개선 논의해야”

질병청, ‘국내 E형간염 신고 현황 및 역학적 특성 분석’ 보고서 공개
“야생동물 섭취, 병원체보유자, 진단법 개선·표준화 대한 관리 필요”

E형 간염은 전수감시 중인 법정 감염병이지만, 높은 무증상 감염 비율과 낮은 인지도, 표준화되지 않은 진단법 등으로 감염자들이 지역사회 내에 상당수 있을 것으로 추정됨에 따라 E형 간염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관리방안 개선을 위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편, E형 간염(Hepatitis E virus)은 주로 오염된 물이나 식품 섭취를 통해 전파돼 수인성‧식품 매개 감염병으로 분류되는 급성 간염으로 2020년 7월부터 2급 법정 감염병으로 지정해 전수감시로 관리하고 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최근 질병관리청 감염병정책국 감염병관리과가 ‘주간 건강과 질병’을 통해 ‘국내 E형 간염의 신고 현황 및 역학적 특성 분석’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E형 간염 전수감시가 시행된 2020년 7월 1일 이후 2022년 6월 30일까지 2년간 총 938명의 E형 간염 환자가 신고됐다. 특히 2020년에는 191명, 2021년에는 494명, 2022년에는 253명 순으로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성 570명(60.8%) 여성 368명(39.2%)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많았으며, 연령대별로는 50대 178명(19.0%), 60대 175명(18.7%), 70대 173명(18.4%) 순으로 많이 신고됐다. 

발생 신고 수는 50대까지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신고 수가 증가했으며, 이후 연령대에서는 소폭 감소했다. 하지만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생 신고율도 늘어 70세 이상이 인구 10만명당 3.04명으로 가장 높았다.

지역별로는 경기(271명), 서울(207명), 강원(95명) 순으로 많이 신고됐으나, 분석기간 내 인구 10만 명당 발생 신고율은 강원(6.1명), 전남(2.7명), 전북(2.6명) 순으로 많았다. 

시·군·구별 10만명당 발생 신고율은 전북 부안군(33.2명), 전남 화순군(24.1명) 강원 인제군(22.0명), 강원 횡성군(17.3명), 충북 단양군(14.0명) 등 순으로 집계됐다.

신고한 의료기관 종별로 보면 종합병원이 84.6%, 병원이 6.3%, 의원이 9.1%로 대부분 종합병원 이상에서 신고된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7월 1일부터 2022년 6월 30일까지의 신고된 사람 중 역학조사가 등록된 773명을 대상으로 최종 환자 분류를 확인한 결과, 대상자 중 환자(유증상자) 479명(62.0%), 병원체보유자(무증상자) 294명(38.0%)으로 나타났다. 

이어 연령대에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고연령대가 되면서 병원체보유자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조사된 대상자들의 진단검사방법은 대부분 HEV-immunogloblin(Ig) M 항체검출(767명, 99.2%)로 확인됐다.

무증상으로 확인된 병원체보유자를 제외한 환자 479명의 임상 증상으로는 복통 171명(35.7%), 무력감 167명(34.9%), 황달 162명(33.8%) 등의 증상이 나타나 급성 간염의 전형적인 특성이 확인됐다. 

다만, 다른 증상들과 비교해 뚜렷하게 높은 비율로 나타나는 증상은 없었으며, 기타 증상으로는 설사(33명), 두통(27명), 식욕부진(25명) 등으로 조사됐다.

기저질환 분포는 기저질환이 없다고 조사된 경우가 334명(43.2%)으로 가장 많았으며, 고혈압 183명(23.7%), 간질환 155명(20.1%), 당뇨병 119명(15.4%) 순으로 나타났고, 간질환 중에서는 간경화 41명(5.3%), A형간염 37명(4.8%), B형간염 33명(4.3%) 등 순으로 집계됐다.

이외에도 기타 간 질환이 있다는 경우도 48명(6.1%)가 있었으며, 기타 간 질환으로는 간암(14명), 지방간(11명), 간농양(4명) 등의 질환이 조사됐다. 간 기능 수치는 alanine aminotransferase (ALT)와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모두 40IU/L 이하로 정상 범위에 있는 사람은 120명(15.5%)으로 드러났다. 

그 외의 경우는 653명(84.5%)로 확인돼 무증상 감염일지라도 E형 간염을 통한 간 손상이 있음을 유추할 수 있었으며, ALT는 255명(30.0%), AST는 231명(27.7%)에서 중증 이상의 간 수치 상승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와 관련해 “역학조사서의 섭취력 조사에서 동물의 피 혹은 담즙을 섭취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6명 중 4명이 강원도 거주자로 조사된 적이 있던 만큼, 야생동물의 담즙, 피, 날고기 등의 섭취와 같은 위험요소가 강원 내륙지역에서 높은 발생 신고율과 연관돼 있을 가능성이 있다”라면서 보다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심층조사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또, 특별시와 광역시에 비해 도는 상대적으로 발생 신고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을 강조하며, E형 간염의 위험요인으로 확인된 농업과 어업, 축산업 등에 대한 지속적 모니터링이 필요함을 덧붙였다.

연구팀은 E형간염의 역학적 특성상 우리나라 지역사회에서도 숨겨진 E형 간염 감염자가 실제 신고된 수보다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되며, 무증상일지라도 간 기능 수치의 상승이 확인됐음을 근거로 병원체보유자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따라서 보다 정확한 국내 E형간염 환자 규모 파악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며, 무증상으로 신고된 병원체보유자들의 E형간염 진단경위도 추가적으로 확인해야 한다”라고 전했다.

더불어 연구팀은 E형 간염 검사방법과 관련해 E형간염 바이러스 진단검사는 표준화된 검사법이 없고, 진단키트의 제조사에 따라 민감도와 특이도가 차이가 있으며, 최근 연구에 따르면 유전자 검사의 경우에도 검출률이 1/6 수준으로 확인된 바 있음을 고려해야 함을 지적했다.

특히, 37명의 A형간염의 감염병 발생 신고일을 E형간염의 신고일과 비교했더니 1개월 내 A형간염이 신고된 사례가 34건으로 확인된 바 있음을 근거로 동시감염 혹은 위양성 가능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꼬집는 한편, E형 간염 감시 및 역학조사에 한계가 있으므로 향후 진단법의 민감도 개선 및 표준화가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아울러 연구팀은 “E형간염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고 유사증상시 감별진단을 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안내와 홍보가 필요하며, 관리방안 개선을 위한 논의 및 연구가 지속돼야 한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