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혈관 중재시술로 인한 의료진의 방사능 노출은 임신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의견이 조명됐다. 이와 함께 심혈관 중재시술 담당 의사들에 대한 적절한 보상과 삶의 질 보장, 안전 장치 마련에 대한 목소리도 나왔다.
지난 12일부터 진행되고 있는 제19회 대한심혈관중재학회 동계 국제학술대회의 프로그램 일환으로 13일 마련된 정책위원회 세션에서는 심혈관 중재 분야가 직면한 문제점과 나아갈 방안에 모색해보는 자리가 마련됐다.
정책위원회 세션에서는 먼저 서정원 분당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가 나와 심혈관 중재 분야에서 여의사를 늘리기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심혈관 중재 분야는 항상 인력 충원에 대한 요구가 높았던 분야로, 그 중 여의사는 훨씬 더 드문 분야다.
서 교수는 △임신·출산으로 인한 수련 단절 및 동료에 대한 민폐 우려 △워라밸 △올드보이 클럽이라는 이미지 △성차별 및 불이익 △여성 롤모델 구축 등 여러가지 이유로 심혈관 중재 분야에서 여의사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큰 문제는 가임기 여성들에게 빼놓을 수 없는 방사능 노출에 관한 문제다.
그러나 서 교수는 “방사능 노출과 관련해 여러 우려가 있지만, 미국 협회 등 여러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이 우려에 관한 유의미한 증거가 없다.”며 “보통 5mSv까지 보기도 하나 아주 보수적으로 접근했을 때에도 임신 중에 허용되는 방사선량은 1mSv로, 적절한 보호장구만 갖춘다면 우려할 이유가 없다.”고 설명했다.
다만 “임신한 여의사에게는 납복이 너무 무겁지 않도록 하고, 배가 불러옴에 따라 이에 맞춰서 납복 사이즈를 높여줘야 한다.”고 당부했다.
서 교수는 “방사선 노출이 괜찮으니, 임신하더라도 Cath-lab에 들어가라는 것은 절대 아니다.”라고 강조하며 “Cath-lab에 들어가는 것을 결정하는 것은 임산부 본인이며, 괜히 주변에서 들어오지 말라고 제안할 이유도 없다. 다만 ‘1mSvR까지는 괜찮다’ 등의 관련 정보는 충분히 알려줘야 한다.”고 힘을 줘 말했다.
또한 서 교수는 여의사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심혈관 중재 분야 치료 환경을 개선해줄 것으로 내다봤다.
서 교수는 “다양성이 있어야 혁신적인 창의성도 발휘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여성은 꼭 필요하다. 또 여성환자 고유의 문제를 남성 의사들이 잡아내지 못하거나 연구가 덜 된 분야들이 꽤 많다.”고 설명했다.
뿐만 아니라 “임상연구에서도 3분의 1 정도로 여성환자의 참여가 굉장히 적다. 여의사들의 참여로 이런 점에 대한 개선을 기대해볼 수 있다. 또한 여성환자들이 여의사한테 좀 더 동질감을 느끼고 라포 형성도 잘 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고 언급했다.
한편 김충기 이대서울병원 순환기내과 교수는 예전에 비해 ‘필수의료’에 대한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는 가운데, 심혈관 중재 분야에 남겨진 과제에 대해 살펴보는 시간을 가졌다.
이어 김 교수는 “이 분야에 종사하시는 선생님들은 환자를 살리는 자부심과 자긍심으로 시작한 분들이다. 이런 것들을 계속 이어나가고 후배들이 이 분야를 선택하게 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보상 △삶의 질 △안전과 존중이 반드시 채워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심혈관 중재 분야의 필수의료를 살리기 위해서는 수가의 정상화가 중요하지만 수가만 가지고는 불가능하며 세밀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수가 조정을 잘못하게 될 경우 이에 대한 이익은 엉뚱한 주체들에게로 돌아갈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또 “필수의료를 지원하기 위해서 특정과를 지원한다는 것은 좋은 방안이 아니다. 실질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의료 자원에 대해 현실적으로 조정을 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즉, 무조건적인 수가 인상이 아닌 실질적으로 역할을 하는 곳에 대가를 지불해줘야 한다는 것이 김 교수의 의견이다.
김 교수는 “응급 야간이나 대기, 고위험에 대한 우리의 부담을 실질적으로 보상해줘야 한다.”고 거듭 강조하며 “삶의 질을 좀 더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원에 대한 적절한 배분과 순환 방식도 굉장히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또한 전공의들의 근무환경 개선에 대해서도 목소리를 높였다. 김 교수는 “전공의들이 실제적으로 일하는 환경을 개선해줘야 한다. 특히 응급, 야간, 공휴일 근무에 대해 환자가 가장 위태로운 순간에 함께하는 의사다. 때문에 사명감을 좀 더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수익과 삶에 대한 안전한 업무 수행을 지원해줘야 한다.”고 했다.
정부가 지난 달 내놓은 대책안에 대해서는 권역 내 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응급 전원에 대해서도 지원해야 하고 의료진들의 번아웃 등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순환교대 당직체계를 지원해야 한다.”며 “공공정책 수가를 통해 대기시간도 부여한다는 방안도 만들어졌으며, 중증질환 치료 지원 확대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심뇌혈관 질환 분야에 대해 적용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고 환영했다.
또한 김 교수는 “우리나라의 경우 의사들이 소송이나 법적 분쟁에 대한 위험성을 상당히 갖고 있는 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기소 건수가 하루에 평균 33건이라면 일본은 30건, 영국이나 독일은 거의 없는 편이다. 또 실질적으로 1심 판결까지 받게되는 경우도 연간 20건 이상 된다.”고 했다.
이에 “대한의사협회에서는 필수의료 살리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형사처벌에 대한 부담을 없애줘야 중증이나 바이탈 등의 과들에 지원할 동기가 그나마 좀 더 생길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고 인용하기도 했다.
이어 “우리 (의사들) 스스로도 안전하게 하고, 환자들로부터 존중받을 수 있도록 해야 된다는 노력이 중요하다. 의료사고처리특례법이나 심뇌혈관법을 개정해 국민들에게 우리의 역할들을 좀 더 강조하고 우리가 존중받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되는 게 우리의 과제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