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6 (일)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응급환자 지원 광역상황실에 소청과 전문의 상주시켜라!”

최용재 회장 “지방 응급실의 소청과 전문의 확보 방안도 함께 마련해야”

대한아동병원협회가 전국 40여개 광역상황실에 소아청소년과 의사가 상주하고 있지 않는 것에 대해 비판하며, 상황실 상주 의사의 범위에 소아청소년과 포함또는 다른 대책의 모색을 촉구했다.

대한아동병원협회는 “정부는 응급환자의 전원 업무를 지원하는 전국 40여개 광역상황실의 급박한 상황을 판단하기 위해 상황실 의사를 응급의학과·내과·외과 전문의로 규정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이어 “소아응급환자를 위한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사가 상황실 의사 범위에서 빠져 있는 것은 정부가 그동안 줄기차게 강조하고 소아 응급실 뺑뺑이 보도시마다 언론에 발표한 소아응급의료 대책이나 소아의료 대책을 무색하게 만들는 꼴”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대한아동병원협회는 “대형병원 응급실에 소아 응급 환자 내원 시 배후 진료로 소아청소년과 의사가 반드시 있어야 입원이나 이송 등 진료 결정을 내릴 수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운영 중인 전국 광역상황실에 소아청소년과 상주 규정이 없는 것은 정부 스스로가 소아응급환자를 포기했거나 버린 것이 아닌지 의구심이 갈 정도”라며 대책을 거듭 주문했다.

최용재 대한아동병원협회 회장(의정부 튼튼어린이병원장)도 “전국 40여개 광역상황실은 상황요원 2~4명과 상황실 의사 1명이 조를 이뤄 24시간 운영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 소아응급환자를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살피지 못하는 현실은 허약한 소아응급의료체계로 반드시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소아응급환자를 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최용재 회장은 “아무런 대책없이 구급대원에 의해 소아 환자가 아동병원을 내원할 시 신속 대처 등 어려움과 불가항력적 의료 사고 부담감 등이 많아 소청과 공백에 따라 이송을 비롯한 소아 응급 진료의 시스템 구축이 절대시 되고 있다”고 꼬집었다.

특히, 현재 아동병원은 대학병원과 달리 응급실이 없는데도 어쩔 수 없이 구급대원에 의해 소아응급환자가 아동병원에 내원하고 있으며, 이 같은 빈도는 점차 늘어나고 있고 앞으로 더욱 빈도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관련 기관과의 대응 매뉴얼이 시급한 상황임을 덧붙였다.

그러면서 최용재 회장은 “정부의 지원책 미비로 소청과 전문의의 탈 소청과화와 소청과 전공의 기피 현상이 심화돼 지방 응급실마다 소청과 전문의를 구하기 어렵게 됐다”며 “지방 응급실의 소청과 전문의 확보 방안도 함께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