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4 (토)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정책

현혈은 늘었지만…헌혈팩 하루에 260개씩 버려졌다

혈액 선별검사 이상이 최다 원인, 채혈제제과정 이상도 많아
“헌혈 단계에서부터 이상혈액 정밀하게 식별할 수 있는 체계 구축해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백종헌 국회의원(국민의힘)이 대한적십자사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5년 8월까지 무려 59만 3453개 유닛(팩)이 폐기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들어서만 하루 평균 260여개의 혈액팩이 버려지고 있는 것이다.

헌혈 실적 현황에 따르면, 매년 240만건 이상 이어지고 있으며, 2024년에는 약 264만건으로 2022년부터 헌혈 건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1유닛은 약 320~400cc로, 전혈 헌혈 1회분에서 보통 혈장·적혈구·혈소판 등 3유닛 정도의 혈액제제가 생산된다. 이렇게 국민들의 헌혈 참여는 확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환자에게 전달되지 못하는 혈액이 적지 않다.

최근 5년간 혈액 생산량 및 폐기 현황에 따르면, 혈액제제 생산량이 약 3535만유닛에 달했으나, 이 중 59만유닛이 활용되지 못하고 폐기됐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평균 10만 6천유닛이 폐기되고 있었고, 특히 2022년에는 폐기량이 13만 6천여건으로 가장 많았다.

혈액 폐기 원인을 살펴보면, 혈액 선별검사 결과 이상이 34만 4천여유닛으로 가장 폐기량이 많았고, 채혈제제 과정에서는 24만 3천여유닛, 혈액보관 과정에서는 6천여유닛에 달했다.

혈액검사 결과 이상이 전체 폐기의 58%, 혈액안전성 등 채혈제제 과정에서의 원인이 41%를 차치하며 사실상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이는 헌혈 이후 부적격 판정이 내려지면서 대규모 폐기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한적십자사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질병청 등 관계기관과 헌혈금지약물 처방 정보와 혈액매개감염병 확진자 정보를 연계해 헌혈 전 헌혈자의 건강정보를 확인하는 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전 차단 장치에도 불구하고 매년 10만 유닛가량의 혈액이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해 백종헌 의원은 “검사 과정에서 부적격 혈액 판정은 수혈자의 안전을 위해 필수적이지만, 헌혈 이후 수많은 혈액이 폐기되는 것은 타인의 생명을 위하는 헌혈의 의미를 약화시키는 일이다”라고 밝히며, “헌혈자의 선의가 헛되지 않도록 헌혈 단계에서부터 이상 혈액을 보다 정밀하게 식별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