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 성 훈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일반외과 Sung Hoon Noh, M. D. Dept. of General Surgery, Severance Hospital,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서 론 최근 소화기계 외과수술에서의 술후 합병증과 사망률은 괄목할 만큼 감소하였다. 이는 수술 술기, 마취 기술, 그리고 술후 처치법 등의 발달에 기인한다. 일례로 식도암 수술의 연도별 술후 합병증과 사망률의 경우 1980년대에 37%이던 폐합병증 발생률이1990년대에는 20%로 감소하였으며, 술후 사망률도 16%에서 5% 미만으로 감소하였다. 이처럼 술후합병증이나 사망률이 감소한 이유는 수술에 대한 경험의 축적뿐 아니라 경막하 삽관을 통한 통증조절 등이 술후 합병증과 사망률 감소에 크게 기여하였기 때문이다. 모든 수술의 기본요건은 안전성과 완치, 그리고 신체적 기능을 보존함으로써 삶의 질을 최대한 유지하는 것이다. 안전성에 너무 치우치다 보면 완치가 어려워 재수술을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으며 완치에 치중하다 보면 수술후 합병증으로 인한 문제
박 영 민 박영민내과 원장 (전 가톨릭의대 강남성모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Young- Min Park, M.D. & Ph.D. The Director Dr. Park’s Medical Clinic 서 론 만성 B형 간염의 치료는 부작용이 적으면서 경구투여가 간편하고, B형간염바이러스(Hepatitis B virus, HBV)증식억제작용은 매우 강력한 lamivudine(3TC; ZeffixTM)의 등장으로 획기적인 전환기를 맞이 하였다. 또한 adefovir, entecavir, clevudine, emtricitabine, beta-L-2’-deoxythymidine 같은 B형간염의 치료에 효과적인 다른 종류의 nucleotide analogue 제재들이 계속적으로 개발되어 조만간에 만성 B형 간질환은 정복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현재 개발되고 있는 nucleoside analogue 제재들은 HBV의 covalently circular DNA (cccDNA; template of viral RNA transcription)에 대한 억제효과는 없다. Adefovir dipivoxil 이 cccDNA를 억제하는
이 영 석 카톨릭대 성가병원 소화기내과 Young-Sok Lee, M.D. Dept. of Internal Medicine, Holy Family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edicine 서 론 우리나라는 간질환 환자들이 매우 많은 나라이다. 2000년도 보건복지부 통계자료에 의하면 전체 사망률 중 간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교통사고에 이어 4위를 차지하고 있다. 연령별로 구분하면
박 철 희 계명의대 동산의료원 비뇨기과 Choal - Hee Park, M.D. & Ph.D. Dept. of Urology, Dongsan Medical Center, Keimyu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서 론 어디 낯설은 곳에 가게 되면 화장실을 자주 찾게 되거나, 자다가도 한 두 번은 꼭 일어나서 소변을 누게 되었을 때, 비뇨기과 의사라면 중년의 시작임을 재빨리 감지하게 된다. 게다가 발기력도 예전 같지 않고 , 주위 영향이나 신체적 상태, 예를 들면 음주 후나 과로했을 경우, 아예 성적 충동 뿐만아니라 발기 자체가 마음 같지 않게 떨어졌을 경우, 세월의 나락을 느끼게 될 것이다. 조선시대 만해도 인생 50이라고, 60세 이상은 환갑잔치를 할 만큼 드물고 경사였으나, 현대는 인생 80, 욕심 같아서는 인생 100을 기대할 만큼 장수의 시대가 되었다. 한국에서도 고령화 사회를 예측해야하고 실버산업과 의료보건 분야에 각별한 연구와 투자가 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비뇨기과 영역은 떠오르는 관심의 초점이 되는 질환인 배뇨장애와 성기능장애가 삶의 질이라는 관
홍 성 준 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비뇨기과 Sung-Joon Hong, M.D.& Ph.D. Dept. of Urology, Severance Hospital,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서 론 전립선비대증으로 인한 하부요로증상에는 대부분 평활근의 이완 작용을 하는 알파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alpha adrenergic receptor blocker) 또는 전립선 증식을 차단하는 5-알파환원효소억제제(5-alpha reductase inhibitor)의 단독 또는 병용 투여를 이용하고 있다. 전립선비대증의 원인은 성 호르몬, 다양한 성장인자 및 간질-상피 상호작용 등 여러 가지로 제시되고 있으며, 노화 및 고환에서 분비되는 안드로겐은 전립선비대증의 발생에 필수적인 요건이다. 전립선비대증은 나이에 따라 진행되는 질환으로 전립선 용적의 변화는 배뇨증상, 요속, 잔뇨 및 급성요폐의 발생 등과 관련이 있다. 전립선내 5-알파환원효소의 역할 혈중 자유형 테스토스테론은 확산에 의해 전립선세포로 들어온
양 대 열 한림의대 강동성심병원 비뇨기과 Dae -Yul Yang, M.D. & Ph.D. Dept. of Urology, Kangdong Sacred Heart Hospital,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서 론 남성의 성기에서 이루어지는 발기 현상은 음경해면체의 혈관 내피세포와 평활근의 이완 현상으로 심혈관계 현상의 일부이다. 따라서 비만, 흡연, 고혈압, 고지혈증 등과 같은 심혈관계 위험인자들은 동시에 발기부전의 위험인자이기도 하다. 고혈압, 심부전, 죽상동맥경화증, 흡연, 당뇨병 등의 질환은 혈관의 내피세포에 산화성 스트레스를 더하게 되고 그 결과 내피세포의 기능부전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런 혈관내피세포의 변화가 일정 수준 이상 음경해면체 조직에서 일어나게 되면 이것이 곧 발기부전이다. 그러므로 심혈관계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발기부전 유병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심장병, 고혈압, 당뇨, 지질장애
김 제 종 고려의대 안암병원 비뇨기과 Je-Jong Kim, M.D. & Ph.D. Dept. of Urology, Anam Medical Center,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서 론 발기부전증은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은 아니지만 이로 인하여 야기되는 남성으로서의 자신감 상실, 배우자와의 갈등, 심리적 좌절감 등의 문제로 삶의 질적인 측면에서 꼭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다. 음경의 발기는 성적인 자극에 의해서 일어나는 생리적인 현상으로 신경계와 혈관계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해 나타나며, 심리적인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발기부전의 치료는 지금까지 음경해면체내 발기약물 주사법, 음경보형물 삽입술 등의 방법이 주로 이용되어 왔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환자자신에게 침습적인 방법일 뿐만 아니라 배우자나 성적 파트너 입장에서도 성적인 자극이 아닌 인위적인 발기에 대한 거부감을 느끼게 하여 성욕이나 성감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복용약물과 같은 비침습
박 혜 순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 Hye-Soon Park, M.D.& Ph.D. Dept. of Family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김 문 종 중문의대 분당차병원 가정의학과 Moon-Jong Kim, M.D. & Ph.D. Dept. of Family Medicine, Bundang CHA Hospital, Pochon Joong Moon Medical University. 서 론 현재까지 보고된 약물간의 상호작용은 거의 10만 건에 이른다. 노인인구의 증가와 새로운 치료약물의 개발에 따른 약물처방의 증가, 그리고 노인에 있어 평균 4~5개의 처방약물과 2개의 비처방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다약복용(polypharmacy)의 현실은 노인에서의 약물상호작용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키기에 충분하다. 비록 약물 상호작용에 의한 부작용이 전체 약물 부작용(Adverse Drug Reactions, ADR)의 단지 일부분에 불과하지만, 예측가능하기 때문에 예방과 조절이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그 중요성을 더한다. 이 글은 노인에서 흔히 처방되는 약물 중에서 약물 상호작용에 유의해야할 중요 약물들에 대한 검토를 통해, 노인환자들에게 약물처방을 하는 의사들의 매일 매일의 진료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약물 상호작용에 의한 부작용을 최소화하는데 도움이 되고자한다. &nbs
이 상 도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 Sang-Do Lee, M.D. & Ph.D. Division of Respiratory, Dep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lsa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서 론 COPD(만성폐쇄성폐질환)는 세계적으로 높은 사망률과 경제적으로도 많은 비용을 초래하는 주요질환이다. 최근의 보고에 의하면 심장질환, 뇌졸중, 감염 등 대부분의 주요 질환들의 유병률과 사망률이 점점 감소하고 있지만, COPD만은 그 유병률과 사망률이 증가하고 있다. 2002년 대한 결핵 및 호흡기학회와 보건사회연구원이 전국 200개 지역, 18세 이상 성인 9,24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COPD 실태조사에서 국내 45세 이상 남자의 12%, 여자 5.6%, 평균 8.7%가 COPD 환자인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한편 COPD가 비가역적인 질환이고 마땅한 치료제가 없다는 기존의 인식하에 상당수의 의사들이 COPD 환자의 진단을
고 원 중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Won-Jung Koh, M.D. Div
김 영 삼 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내과 Young-Sam Kim, M.D. & Ph.D. Division of Pulmonology, Dept. of Internal Medicine,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서 론 기침은 때로는 증상이 심각하고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1차진료를 담당하고 있는 의사나 호흡기전문의사를 찾는 원인 중 가장 흔한 증상 중의 하나이다. 기침치료는 지침대로 치료를 한다면 대부분이 치료가 가능하다. 만성 기침의 원인은 88~100%정도 찾을 수 있고, 원인에 따른 치료를 한다면 84~98%정도 치료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비특이적으로 기침만 억제하는 약물만 사용하여 치료를 하는 것은 지양하여야 한다. 기침의 원인
유 광 하 건국의대 건국대병원 호흡기 내과 Kwang-Ha Yoo, M.D.&Ph.D. Div
최 병 휘 중대의대 용산병원 내과 Byoung - Whuy Choi, M.D. & Ph. D. Dept. of Internal Medicine, Yong San Hospital, Chung- 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aine. 천식환자의 증가 천식은 발작적인 호흡 곤란과 천명을 특징적으로 기도가 좁아지면서 정상적인 호흡이 불가능한 병이다. 과거 의학자들은 외부 물질에 대한 알레르기나 혹은 알 수 없는 원인으로 기도가 갑자기 꽉 막히는 증상 정도로 생각하였다. 그러나, 최근에 만성염증에 의해 기도가 과민해지면서 호흡곤란, 기침, 가슴 조임, 쌕쌕거림(천명) 등 증상이 나타난다고 규명되었다. 그리고, 천식의 증상은 개인에 따라 현저히 다르고, 수시로 달라진다. 단순한 가슴 조임이나, 기침과 같은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으며, 육체적 활동제한, 불면을 초래하기도 한다. 또 방치할 경우 결근이나 결석을 할 정도로 심하며, 입원을 해야 하고
최 수 전 인제대 의대 상계백병원 호흡기내과 Soo-jeon Choi, M. D. Division of Pulmonology Dept. of Internal Medicine Sanggye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