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9z텔레darknessDB_유흥DB문의|l'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1,823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경찰이 유명 영화배우 등 연예인 3명이 서울 강남의 고급술집에서 마약인 엑스터시를 복용한 정황을 잡고 수사 중이다. 경찰은 특히 재벌가 3세, 강남의 유명 성형외과 의사 등이 같은 술집에서 엑스터시 등을 복용했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져 파장이 예상된다.서울 마포경찰서는 26일 유명 영화배우 S씨, 댄스그룹 출신 가수 K씨,댄스가수 L씨등 3명에 대한 압수수색영장을 발부 받았으며 조만간 이들의 모발 및 소변검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경찰 관계자는 “압수수색 영장을 발부 받은 연예인들에 대해서는 혐의가 입증되는 대로 구속영장을 신청할 방침”이라고 밝혔다.경찰은 지난 16일 서울 논현동 모 병원 앞에서 필로폰을 건네받다가 붙잡혀 구속된 청담동 한 고급 가라오케 술집 주인 구모(33)씨를 상대로 조사하는 과정에서 연예인들과 재벌 3세 등의 마약 복용 사실에 대한 진술을 받아냈다. 구씨는 재벌가 3세 A씨, 유명 대기업 계열사 사장 아들,강남의 유명 성형외과 의사 C씨 등도 자신과 가수 K씨 등으로부터 엑스터시 등 마약을 제공받아 자신의 술집에서 복용한 것으로 진술했다. 특히 재벌가 3세인 A씨는 1년 전까지 구씨와 함께 대마초를 피우기도 했다는 것이다.구씨의
내과의원을 운영하는 P원장은 인터넷에 자신의 병원을 홍보하는 홈페이지를 만든 뒤 ‘만성피로증후군’ 자료를 소개했다. P원장은 이를 보고 병원으로 찾아온 환자들에게 치료하지 않으면 죽을 수도 있으며 자신의 면역요법은 완치율이 90%라는 식으로 말하고 1700여명의 환자들에게 부신피질호르몬을 과다 투여했다. 19세 남자인 L군은 평소 아토피 피부염을 앓아오다가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P원장의 주장을 접하게 됐고 혹시 자신이 이 병이 아닐까 하는 생각에 P원장을 찾아간 후 마찬가지로 스테로이드 치료를 받았다. P원장은 L군에게 7개월 동안 스테로이드를 투여했는데 이후 L군은 수면장애, 시력장애, 전신쇠약 등 부작용에 시달리게 됐다. 특히 스테로이드 과다로 인한 쿠싱증후군에 걸리게 됐다. 그 동안 P원장은 스테로이드 치료가 건강보험 적용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환자들에게 일반 수가로 진료비를 받았다. 이 같은 처방을 한 P원장은 L군에게 손해배상을 해야할까. 대한의사협회 중앙윤리위원회는 이 사례와 관련 의료윤리사례집을 통해 “만성피로증후군이라는 질병은 별다른 기질적 이상이 없이 피
삼양사(대표이사 김윤 회장)와 CJ(대표이사 김진수 사장)는 1월24일 밀레니엄 힐튼호텔에서 폐암, 유방암 허가를 받은 항암제 ‘제넥솔PM주’의 국내독점 판매에 대한 조인식을 갖고 2월 초 출시한다고 밝혔다.이와 함께 양사는 2001년 ‘제넥솔주’의 판매제휴 이후, 이번 파클리탁셀 제제의 개량신약(뉴 제네레이션) 제품인 ‘제넥솔PM주’까지 전략적 제휴를 하게 됨에 따라 외국계 제약사가 선점하고 있는 국내 항암제 시장에서 그 위치를 보다 확고히 할 것으로 전망된다.삼양사와 CJ의 전략적 제휴는 ‘제넥솔주’ 판매실적이 2001년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해 2006년 108억의 매출을 달성, 상호 WIN-WIN의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발매 후 누적 판매액이 300억원을 넘어서 그동안 수입대체 효과 및 500억원 이상의 보험재정 절감 효과를 가져왔다.업계 관계자는 "삼양사의 핵심역량인 생체고분자분야 및 약물전달기술(DDS) 개발력과 CJ의 항암제 부문에서의 마케팅 판매역량이 결합된 전략적 제휴는 장기적인 투자가 요구되는 항암제 시장에서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며 “대형 글로벌 제약사와도 경쟁할 수 있게 되어 한미 FTA 등으로 국내제
피부과전문의인 L원장은 피부과 진료로 의원 경영이 여의치 않자 피부질환 치료 외에 피부관리 서비스도 함께 제공하기로 하고 의원 내에 피부관리실을 차린 다음 피부관리사 2명을 고용했다. 이들은 피부미용과 마사지 등 기본적인 피부 관리 업무 외에도 크리스탈 필링기를 사용해 환자 얼굴의 각질을 제거해 주는 피부박피술을 시행했다. L원장은 피부박피술에 대한 일은 전적으로 피부관리사들에게 맡겨두고 필요한 환자에 대해서는 처방과 지시만 했다. L원장의 피부과가 피부관리실로 인기를 끌자 인근 피부관리전문업소에서 L원장을 검찰에 고발했다. 무면허인 피부관리사들이 크리스탈 필링기를 사용한 피부박피술까지 하는 것은 의료법 위반이라는 취지였다. 이 사례에 대해 대한의사협회 중앙윤리위원회는 “L원장은 영리 목적으로 비의료인과 공모해 무면허 의료행위를 한 것”이라며 “보건범죄단속에관한특별조치법 제5조를 위반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밝혔다. 윤리위는 대법원 판례를 인용 “피부박피술은 전문지식이 없는 사람이 이를 행할 때는 사람의 생명, 신체상의 위해를 발생시킬 수 있어 단순 미용술이 아
비만약물치료는 환자의 체중감소 동기를 강화하고, 동반질환을 같이 조절할 수 있어 비만클리닉에서 자주 이용되고 있다. 임옥근 원장(한빛의원)은 약물치료를 위해서는 환자의 특징을 파악할 것을 권하며, *폭식형 환자 *정체기 환자 *소아환자 등 임상증례별 특징과 유용한 약물치료법을 제시했다. 외래 환자의 70%를 차지하는 폭식형 환자는 폭식 후 부종을 흔히 동반하고, 스트레스와 연관된 신체반응 및 식사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여자의 경우 생리 전 증후군과 비슷하며, 식사량이 많이 않아도 잦은 음주를 행할 경우 폭식과 비슷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폭식형 환자에게 유용한 약물은 *Fluoxetine *Ephedrine *Topiramate *Phentermine, Phendimertrazine *Sibutramine *Orlistat 등이다. 정체기 환자는 기초 대사량이 떨어지며, 신진대사율이 떨어질수록 피로를 느끼고 자주 졸리며 변비가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정체기 환자에게는 식욕억제제보다는 신진대사율을 높이는 약물을 선택하는 것이 좋으며, *Ephedrine, Caffeine
도심지 한복판에 위치한 정신병원에서 수용자들이 퇴원을 요구하며 간호사를 감금하고 20여시간 동안 경찰과 대치하는 사건이 빚어졌다.더욱이 이 병원은 불법으로 병실을 축소·개조해 정원을 초과하고 입원실을 복층으로 설치하는 등 환자관리에 각종 문제점을 드러내 말썽을 빚고 있다. 지난 13일 밤 10시30분께 용인시 수지구 풍덕천동 M 신경정신과 병실에서 알콜중독환자인 유모씨(여·50)가 ‘배가 아프다’며 간호사 이모씨(여·25)를 부른후 갑자기 이씨를 폭행하자 보호사 이모씨(44) 등 2명이 유씨를 제지하기 시작했다.이 과정에서 인격장애를 갖고 있는 노모씨(40) 등 7명이 보호사들에게 달려들어 마구 폭행하고 이씨 등을 묶은 후 20여분간 감금했다.환자들은 강제퇴원 조치를 병원측에 요구하다 병원 신고를 받고 경찰이 출동하자 밤 10시50분께 간호사 등을 풀어줬다. 그러나 환자들은 또 다시 밤 11시30분께 퇴원을 받아주지 않는다며 집기 등을 파손하고 난동을 부리기 시작한 뒤 14일 새벽 2시께 모든 출입구를 봉쇄한 뒤 경찰과 대치했다. 이후 이날 오후 2시께부터 보건소 관계자들과 환자들이 협상을 벌인 뒤 난동을 부린 환자들에 대한 퇴원 및 이송 조치가 이뤄지면서
내과의원을 운영하고 있는 C원장은 위염 및 위궤양으로 고생하고 있는 35세 주부 L씨에게 한달 전부터 일주일마다 처방을 주고 있었다. 어느 날 C원장은 L씨로부터 약이 다 떨어져 내원할 때가 됐는데 마침 시어머니가 갑자기 위독하다는 전갈이 와 내원할 상황이 못된다며 그 약을 먹고 증상이 많이 좋아졌으니 같은 건물 1층에 있는 약국에 자기 이름으로 동일한 처방전을 내 줄 수 없느냐는 전화를 받았다. 그렇게 해 주면 자신이 시댁에 다녀오는 밤에 약국에 들러 약을 받아가겠다는 것. C원장은 L씨가 별다른 증상이 없고 약에 반응을 잘하고 있으며 처방약이 그렇게 부작용이 심하거나 주의를 해야 하는 것들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어 L씨의 요구대로 동일한 처방전을 작성해 조무사를 시켜 약국에 보냈다. 그리고 L씨가 약을 찾으러 올 것이라는 메모도 함께 보냈다. 그러나 마침 그날 약국에 실사가 나왔고 C원장은 환자를 진료하지도 않고 처방전을 발급한 잘못으로 고발을 당하게 됐다. C원장의 행위는 정말 비윤리적일까. 이 사례에 대해 대한의사협회 중앙윤리위원회는 “C원장이 환자의 진찰과
비만치료제가 심장발작, 뇌졸중,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 가능성을 감소시킨다는 공식적인 연구 결과가 제시될 때까지는, 이러한 약들이 건강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아무도 확신할 수 없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미국 알버타 대학의 Raj Padwal 박사 및 Sumit Majumdar 박사 연구진은 소위 살을 빼준다는 Meridia, Xenical, Acomplia를 장기간 복용했을 때 과연 과체중 또는 비만으로 인한 심장 발작, 뇌졸중 및 당뇨 발병 가능성이 감소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했으며 그 결과를 Lancet 2007년 1월호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이 3가지 종류들의 약이 체중을 감소시키는 효과는 있지만, 심혈관 질환 발병 및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 가능성을 감소시키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들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이러한 약물들은 장기간 복용하는 사람들의 수가 적기 때문에, 체중 감소제가 실제로 건강 증진에 이바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연구가 지속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구진은 이들 비만치료제에 대한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지적한 기존의 연구 결과들을 검토했다. &n
이비인후과를 개원하고 있는 K원장에게 중이염 치료를 받은 경력이 있는 4세 L군이 재차 내원했다. K원장은 검사를 한 후 양측성 장액성 중이염으로 진단을 하고 항생제, 항히스타민제, 소염제, 소화제 등을 투여한 후 10일이 지나 완치 판정을 하고 치료를 끝냈다. 2주 후 L군이 다시 통증과 고열을 호소해 인근 소아과를 방문했더니 소아과에서는 급성인후염 진단을 내리고 항생제 및 해열제, 항히스타민제 등을 처방한 다음 2주전 이비인후과를 방문했다는 말을 듣고 다시 L군에게 이비인후과를 방문할 것을 지시했다. K원장은 다시 중이염 진단을 내리고 소아과 처방을 살펴본 후 처방대로 약을 복용하면 된다며 집으로 돌려보냈다. 집으로 돌아온 L군이 잠이 들었다가 갑자기 심한 통증을 호소해 부모는 L군을 대학병원 응급실로 데리고 갔다. 응급실 내원 당시 맥박은 분당 96회, 체온은 38.5도였고 커니히증후 및 부르진스키 증후가 있어 뇌막염 진단이 내려졌다. 이에 따라 대학병원에서는 중환자실에 입원시켜 뇌막염 치료를 시작했으나 L군의 상태는 좋아지지 않았다. 혈압은 떨어지고 맥박은 210회,
제약사 마케팅부서에는 약사 출신이 대부분으로 경영컨설턴트 출신은 손가락으로 꼽을 정도이다. 한국노바티스의 전문경영컨설턴트 출신은 세계 1위 ARB계 항고혈압제 디오반의 PM인 서제희 과장을 포함해서 모두 4명. 대표이사인 안드린 오스왈드 사장을 비롯해 경영전략추진부(BD&L: Business Developmen & Licensing) 팀의 메이 판 과장(Mei Pan, 대만출신), SFE(Sales Force Effectiveness) 팀의 손영 팀장 등이 경영컨설팅 업체 출신이다. 한국노바티스 사장도 맥킨지 출신 한국노바티스 대표이사는 2대 연속 ‘맥킨지’ 출신이다. 전임 사장이었던 피터 마그 사장은 독일 및 미국 맥킨지에서 약 7년여 동안 근무했고, 금년 7월 한국노바티스 사장으로 부임한 안드린 오스왈드 사장도 의사 출신으로 맥킨지 스위스에서 약 5년간 아시아 지역을 포함한 글로벌 제약산업 관련 컨설팅 업무를 담당했다. 한국노바티스의 서제희 과장은 바티스에 합류하기 전 맥킨지에서 3년 간 경영컨설턴트로서 일했다. 그가 한국노
최근 ‘노화는 질병’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노화방지에 대한 치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노화 방지를 위한 최신 치료 가이드가 공개돼 관심을 끌고 있다. 배철영 대한생체나이의학연구소 소장은 ‘노화방지의 실제 치료가이드’라는 학술논문 발표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을 공개했다. 배 소장이 제시한 의학적으로 인정되는 노화방지 치료법에는 *호르몬 보충요법을 비롯, *항산화제 처방 *미네랄 처방 *뇌기능 개선제 처방 등이 있다. *호르몬 보충요법은 부족한 호르몬을 젊은 사람 수준으로 보충해주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보충하는 호르몬은 성장호르몬, 남성호르몬, 여성호르몬, 멜라토닌, DHEA, 프레그네놀론 등이며, 최근에는 부족한 여러 가지 호르몬을 함께 보충하는 ‘호르몬 칵테일 요법’이 시도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성장호르몬은 ‘호르몬의 왕’이라 불릴 만큼 필수적으로 보충해야 할 호르몬이라고 배 소장은 말했다. *항산화제 처방은 대표적인 항산화제인 비타민 A, C, E와 홍당무에 많이 함유돼 있는 베타 카로텐, 조효소 큐, 멜라토닌 등을 주치의와 상의해서 개인의 건강상태
기러기 의사아빠 4년차인 내과 개원의 P씨. 연말이 되면서 각종 송년모임으로 일정은 빡빡해지고 있지만, 외로움은 더 커지고 있다. P씨는 “추석이나 설날은 친척이 모이니까 그래도 그리움이 덜하지만, 크리스마스나 12월31일이 되면 그리움에 외로움까지 겹쳐 힘들다”고 토로했다. 이어 “어서 빨리 아이들이 대학에 들어가서 아내는 귀국하고, 아이들도 연말에는 편하게 한국을 찾았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올해 아들만 미국으로 보낸 소아과 개원의 L씨 역시 이번 연말은 홀로 보내야 한다. 그동안 아들 걱정이 많던 아내가 크리스마스 전후로 아들과 함께 있을 것이라고 진작에 비행기를 예약해 둔 상태인 것. L씨는 “아내가 무척 원해 한국에 같이 있자고 강요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명절연휴처럼 긴 휴일이 있는 것이 아니라서 함께 갈 수도 없다”고 말했다. 기러기아빠 생활을 선택하면서 외로움은 감당해야 한다는 것을 알지만, 연말이 오면 외로움을 감수하기가 힘들어진다. 특히 연말에 멀리 있는 자식과 부인을 찾아가는 것이 일정상 녹록하지 않은 개원가 기러기아빠들의 외로움은 더 심해진다. &
대원제약(대표 백승호)은 최근 겨울철을 맞아 어린이를 주대상으로 복용하기 편리한 시럽제형태의 치료제 2종을 새롭게 출시했다.
‘코윈시럽’은 코감기치료제로서 비충혈제거제인 염산페닐에프린과 항히스타민제인 말레인산클로르페니라민의 이상적인 복합처방으로 치료효과는 상승시키고, 진정작용, 졸림 등의 부작용은 감소시킨 것이 특징이다.
특히, 비충혈 및 코감기, 초기감기의 대표적인 증상을 신속히 치료하며 심장 및 심혈관에 대한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코윈시럽은 달콤한 딸기향으로 복용이 쉬우며 일반의약품이면서도 급여대상의 복합처방제이다.
‘뮤론시럽’(L-카르보시스테인)은 점막기능 조절작용과 객담용해작용을 주기능으로해 기도 상피세포의 염증 치유 및 mucos cell의 점액 분비를 감소시켜 호흡기 질환을 효과적으로 치유시켜준다.
대원제약은 전통적으로 호흡기 치료제에 강점을 가지고 있는 회사로서 계절의 변화에
인도 로슈제약회사는 류마티스성 관절염 치료에 사용되는 Mabthera(rituximab)에 대해 시판을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Mabthera는 인도에서 지난 5년 간 NHL 임파종에 사용 되어왔고 이제 류마티스성 관절염 치료에 허가를 얻게 된 것이다. Mabthera는 미국 및 유럽 연합에 이미 허가를 받았다고 인도 로슈 제약회사의 사장인 텔랑(G. L. Telang) 박사가 기자 인터뷰에서 언급했다. 류마티스성 관절염은 자가 면역 질환의 일종으로 인도의 경우 만 이 질환 환자가 700만 명에 이르고 있고 그 원인은 아직 모르며 따라서 치료도 없다는 것이다. 텔랑 사장은 이 약물이 관절의 파괴를 예방한다고 언급하고 있다. Mabthera는 15일 간격으로 2회 투여한다. 류마티스성 관절염 치료에 이 약물 실험은 인도 주요 도시 4개 센터에서 임상실험이 실시되었다. 또한 50명의 환자는 1년 반 후에 충원하여 실시하도록 계획되었다 고 한다. 김윤영기자(yunyoung.kim@medifonews.com)
유유가 최근 주관한 그랜드 힐튼호텔에서 열린 대한신경과학회 추계학술대회 런천 심포지엄에 신경과 처방의 500여명이 참석하는 등 성황리에 마쳤다.
유유가 주관한 이번 심포지엄은 치매질환 주 처방과인 대한신경과학회 추계학술대회 기간에 현재 미국 NIA, NIH에서 주관해 진행중인 GEM(Ginkgo Evaluation of Memory) Study가 발표됐다.
고대 안암병원 박건우 교수는 주제강연 ‘치매와 먹거리’를 통해 알츠하이머병을 줄이는 것으로 알려진 식습관과 비타민 E, C, B12과 은행잎 추출물, 엽산, 다양한 종류의 과일과 야채가 치매 예방에 좋다고 밝혔다.
또한 독일 슈바베사의 Dr. Robert Hörr 강연은 치매 K.O.L Dr. 그룹 내 확산되는 GEM Study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계기가 됐으며, MCI(Mild Cognitive Impairment)및 치매 의심군 환자에 대한 타나민의 임상 홍보를 통해 처방 확
초콜릿의 주 원료인 카카오 성분이 영지버섯의 주된 효능인 항암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은 물론 치매유발과 관계되는 AChE 효소활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강원대 이신영 교수팀(생물공학과)은 ‘카카오 폴리페놀의 생물활성과 이의 바이오 소재화 응용 기술’이라는 논문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연구팀은 영지버섯 액체배양을 카카오 껍질(cacao bean husk, 이하 CBH)의 추출물을 일정기간 배양 후에 첨가하는 2단계 기질 첨가법으로 배양한 실험군과 첨가하지 않은 실험군으로 비교 실험했다. 분석결과 CHB 무 첨가군에서는 4g/L의 항암다당이 생성되는데 불과했던 반면, 첨가군에서는 25g/L이 생성되어 약 6.2배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는 카카오 폴리페놀에 의한 버섯균사의 세포막 수식효과에 기인하였으며, 이미 항암 다당류의 대량 생산법으로 미국특허등록(Bi-staged pH process, 2002)한 결과보다도 약 1.5배나 향상됐다는 것이 연구팀은 설명했다. 또한 영지버섯 자체에서는 미미하였던 치매(알츠하이머병)의 유발과 관계되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AChE)
장학재단인 고촌재단(이사장 김두현)이 결핵퇴치를 위해 혼신의 노력을 다한 종근당 창업주 고촌(高村) 이종근 회장의 숭고한 정신을 기리기 위해 WHO 산하 결핵퇴치 국제협력사업단과 공동으로 국제적인 ‘고촌상(Kochon Prize)’을 제정했다.
故 고촌(高村) 이종근 회장은 1941년 종근당을 창업하고 제약업종에 종사하면서 당시 결핵 관련 의약품이 너무 고가이며,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을 깨닫고 과감히 생산설비를 갖추고 자체기술로 항결핵 의약품을 생산해 저렴한 가격으로 국내 시장에 보급하는 등 결핵퇴치 사업을 위해 평생을 이바지한 제약인이다.
‘고촌상’은 고촌재단과 WHO산하 결핵퇴치 국제협력사업단(Stop TB Partnership)이 범세계적으로 결핵을 퇴치하기 위한 차원에서 올해 처음으로 제정한 국제적인 상이다.
이 상은 결핵 퇴치를 위해 위대한 공적을 이루었거나 항결핵 사업을 위한 시스템이나 정책을 입안, 이행하는데 공헌을 했거나, 결
환자가 자신이 받는 치료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에 따라 유전자 검사를 요청할 경우 과연 의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이에 대해 의사는 ‘생명윤리및안전에관한법률’에 따라 환자의 유전자검사 요청이 있더라도 이를 거부해야 한다는 법률적 해석이 나왔다. 대한의사협회 중앙윤리위원회는 ‘개원의를 위한 의료윤리사례집’을 통해 비만유전자 검사가 자신의 비만치료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여겨 이를 요청한 환자 사례에 대해 이같이 결론을 내렸다. 사례에 따르면, 비만클리닉을 운영하고 있는 L원장에게 비만한 8세 H양과 어머니가 찾아왔다. L원장은 H양에게 한달간 식이요법과 운동처방을 내려줬고, 이후 H양의 어머니는 신문에서 읽었다며 비만유전자검사를 해보는 것이 어떨지, 이 병원에서 해 줄 수는 있는지, 아니면 어디를 가야 하는지 L원장에게 문의했다. L원장은 검사를 받고 설령 비만유전자가 있다고 해도 치료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고 비싼 비용이 들기 때문에 검사를 할 필요는 없지 않겠느냐고 설득했으나, H양의 어머니는 치료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막무가내였다. 이 사례에 대해 윤리위는
세계 최대 규모의 2차 뇌졸중 예방 연구인 PRoFESS(Prevention Regimen For Effectively avoiding Second Strokes) 연구의 환자 모집이 완료됐다. 35개국 720 사이트로부터 모집된 2만 333명의 환자 baseline 데이터가 남아프리카 케이프타운에서 열린 Joint World Congress on Stroke에서 발표됐다. PRoFESS는 베링거인겔하임에서 아그레녹스로 판매될 예정인 서방형디피리다몰과 아세틸살리실산 복합제제가 2차 뇌졸중 예방에 있어 클로피도그렐보다 우수함을 보여주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이 임상시험은 뇌졸중 발병 후에 일반적인 치료와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길항체(ARB)인 베링거인겔하임의 텔미사르탄(제품명: 미카르디스)을 병용하는 것이 위약과 비교해 향후 뇌졸중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평가할 계획이다. 미국 뉴욕의 콜럼비아 의과대학 신경연구소 신경학∙역학 교수이자 PRoFESS 운영위원회 멤버인 랄프 사코 교수(Ralph L. Sacco)는 “우리는 PRoFESS를 통해 최초로 아그레녹스와 클로피도그렐의 효능을 직
의사가 수술적응증에 대해 환자에게 우선적으로 수술을 권유했다면 법적으로 책임이 있을까. 환자의 상태에 대한 평가를 잘못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수술을 했다면 법에 따라 책임을 져야 한다는 해석이 내려졌다. 대한의사협회 중앙윤리위원회는 ‘개원의를 위한 의료윤리사례집’을 통해 “의사가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수술을 시행해 환자에게 상해를 입게 하거나, 그 정도는 아니라도 불필요한 수술 등 과잉진료행위를 한다면 이에 대해서는 법에 따라 책임을 져야 한다”고 밝혔다. 사례에 따르면, 의국 선배들과 함께 척추디스크 환자를 전문으로 보는 신경외과 클리닉을 공동개원하고 있는 H의사는 어느 날 허리가 아프다며 찾아온 36세의 남자환자를 맞았다. L씨는 허리가 아프기 시작한 지 한달 가량 됐고 그 전까지는 아무 일 없이 건강한 증권회사 샐러리맨이었다. 엑스선 촬영과 MRI검사 결과, L4-L5부위에 심하지 않은 추간판탈출증 소견이 발견돼 H의사는 비스테로이드계열의 진통제와 근이완제를 처방한 뒤 휴식을 취할 것을 당부했고 디스크 환자를 위한 운동요법을 알려줬다. 2주 정도 경과를 지켜보자는 판단이었다.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