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의료 시범사업 결과 의학적 유효성과 안전성이 우수하고, 보안관련 사항도 문제가 없다는 전문가 발표가 이어졌다.
새누리당 김승희 의원실은 24일 오전 10시 국회 의원회관 2세미나실에서 ‘원격의료 시범사업 평가를 위한 전문가 토론회’를 개최했다.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선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윤건호 교수는 원격의료 서비스의 유효성과 유용성을 분석했다.
윤 교수는 서울·경기 및 지방 중소도시 소재 13개 1차 의료기관에 내원하는 당뇨병 환자 247명을 대상으로 3개월간 ‘원격모니터링 복합만성질환관리 시스템’의 유효성 및 유용성을 관찰했다.
그 결과 원격모니터링 복합만성질환관리 시스템은 혈당관리에 효과적이며, 대상자들의 약물 복용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 치료만족도를 향상시키며, 전반적으로 원격의료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서 복합만성질환 관리에 유용하고 안전성에도 큰 문제가 없었다.
윤 교수는 “좀 더 광범위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유용성과 비용효과성 등을 검증해 건강보험을 적용 할 수 있는지 검토가 필요하다”며 “원격의료에 사용하는 유헬스 기기는 식약처의 규정을 준수해야 하므로 원격의료기기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관련 기준을 개선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두 번째 발제자인 가천대 박동균 교수는 원격진료가 의학적으로 안전하다는 내용을 강조했다.
박 교수는 “현재까지 시범사업에서 원격의료로 인한 이상반응의 증가 보고는 없었다”며 “원격의료 활성화 모델 개발 및 실증 사업에서는 2건의 이상반응이 보고 됐으나 원격의료와의 인과관계는 없었다”고 말했다.
이어 “ATA는 원격의료의 안전성에 대한 연구 및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원격의료가이드라인을 제정했고 이를 준수하면 안전하다고 판단한다”며 “인공지능, 센서, 사물인터넷 등의 발달은 원격의료의 비약적 발전을 이끌 것”이라고 예상했다.
마지막 발제자인 교려대 한근희 교수는 원격의료 및 기기의 안전성과 보안을 점검했다.
한 교수는 안전성과 보안성은 의료시스템과 별도로 이뤄지는 것이 아니고 해당 의료기관의 안전성 및 보안성과 상호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 원격의료 서비스에 시범 적용한 보안 통제항목들은 국내 의료기관 현실 상황을 고려해 적용 가능한 수준을 살펴 설정한 기준”이라며 “향후 지속적으로 현장에 적용하면서 수정보완을 통해 보안수준을 향상시켜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 교수는 “향후 통신기능이 탑재돼 원격의료에 활용될 수 있는 의료기기는 의료기기와 유헬스케어 의료기기 모두 허가를 받지 않고, 유헬스케어 의료기기만으로 허가받을 수 있도록 정부에서 지원이 필요하다”며 “원격진료용 화상모니터 등 일반 ICT제품을 원격의료 모형에 사용했을 때 이를 유헬스케어 의료기기로 취급해야 하는지 등 원격의료 관련 제품 인허가 가이드라인이 명확하지 않다. 이에 대한 정책방향 설정 및 지침 정비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