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영유아 수족구병, 1달새 2배 가까이 늘어…질병청, 위생수칙 준수 당부

수족구병, 5월부터 증가 시작해 6월 ~ 9월에 유행

5월 2주 기준 영유아 수족구병 (의사)환자 분율은 8.4명으로 1개월 전인 4월 3주(4.4명) 대비 4.0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은 최근 영유아(0~6세)에서 한 달 사이에 수족구병 환자수가 약 2배 증가했다고 밝히며, 영유아가 있는 가정 및 관련 시설에서의 위생수칙 준수를 5월 22일 당부했다.

수족구병은 이름처럼 손·발과 입안에 물집이 생기는 비교적 흔한 급성바이러스성 질환으로, 5세 이하의 영유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며, 야외 활동이 늘어나는 5월부터 본격적으로 증가해 6월~9월 사이에 많이 발생한다.

수족구병의 원인 바이러스는 장 바이러스(엔테로 바이러스)의 일종인 콕사키바이러스(Coxsackievirus)로 세부 종류가 많고, 또 엔테로바이러스 71형 감염에 의해서도 수족구병이 발생할 수 있어 이전에 수족구병에 걸렸어도 다시 걸릴 수 있다.

수족구병은 ▲환자의 침, 가래, 콧물 등 호흡기 분비물을 통한 비말감염 ▲피부의 물집에 직접 접촉을 통한 접촉감염 등을 통해 감염될 수도 있지만, 환자가 만진 오염된 물건을 만져서 전염되는 경우도 많아 개인위생이 취약하고 집단생활을 많이 하는 영유아(0~6세)를 중심으로 발생하는 특성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수족구병에 걸리면 처음 2~3일 동안 ▲발열 ▲식욕부진 ▲인후통 ▲무력감 등으로 시작해 증상이 심해지고, 발열 후 입 안과 손·발에 수포성 발진 등 통증성 피부병변이 나타난다. 

음식물과 물 등을 삼키지 못해 탈수를 유발할 수도 있어 차가운 물을 마시는 것이 탈수 예방 및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되며, 주로 3~4일이 지나면 호전되고 대부분 7~10일 이후 치유되는데, 증상 발생 후 1주일 동안은 전염력이 매우 강하다.

드물게 엔테로바이러스 71형에 의한 수족구병에서 뇌간 뇌척수염, 신경원성 폐부종, 폐출혈, 심근염, 심장막염, 쇼크 및 사망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영유아가 수족구병 의심 증상을 보이면서, 38도 이상의 고열이나 팔다리에 힘이 빠지거나 구토·경련 등의 증상을 보이면 신속히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한다.

수족구병을 예방하기 위해 환자가 있는 가정에서는 기저귀 뒤처리 후, 환자를 돌본 후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하고, 배설물이 묻은 의류는 깨끗하게 세탁하는 등 철저한 위생 관리가 필요하며, 생활용품을 따로 사용하는 등 가족 구성원간 감염이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어린이집과 유치원 등에서는 장난감·놀이기구·문 손잡이 등 손이 닿는 집기의 소독관리를 철저히 해야 하고, 영유아가 식사 전‧후로 화장실 사용 후 손씻기 등 개인 예방 수칙을 잘 지키도록 안내하며, 수족구에 걸린 영유아는 증상 발생 동안은 전염력이 강한 특성으로 인해 회복될 때까지 어린이집 등의 등원을 자제하도록 해야 한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