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중장기 계획을 통해 국가예방접종 백신 비축 품목 확대 및 비축률 100% 달성 등을 추진한다.
질병관리청은 국내 백신 수급 불안을 안정적으로 대비하고 체계적인 백신 비축 추진을 위해 ‘백신 비축 중장기계획(’24∼’28)’을 수립했다고 12월 5일 밝혔다.
이번 중장기 계획은 국가예방접종 백신 비축 상황을 돌아보고 비축 확대와 비축 운영방식 개선에 대한 장기적인 방안을 마련하여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고자 수립됐다.
그 간 예방접종 사업에 안정적인 백신 공급과 백신 생산 중단 등 수급 비상시를 대비해 국가예방접종 백신을 비축하고 있으나, ▲낮은 비축률(30% 미만) ▲적은 비축 품목(4품목) ▲비축 우선순위 부재 등으로 국내 백신 부족 시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실정이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번 중장기 계획은 ▲현(現) 비축품목(4품목) 비축률 100% 달성 ▲비축 우선순위 구체화 및 비축 품목 단계적 확대 ▲국·내외 수급 상황을 고려한 유연한 비축체계 운영 ▲안정적인 재고 순환 관리를 위한 운영체계 개선을 목표로 향후 5년간(’24~’28)의 추진계획을 담고 있다.
먼저, 신속하고 안정적인 수급 불안 대응을 위해 현재 비축 중인 4개 백신의 비축을 5년 내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백신별 연간 비축계획을 제시했다.
또한, 질병 특성 및 백신 수급 특성 등을 고려해 백신별 비축 우선순위를 평가했고, 결정된 비축 순위를 기준으로 비축 품목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간다.
백신 수급 특성 변화(인구 수 변화 등)와 예방접종 모니터링을 통해 비축 목표량을 주기적으로 조정해 과소 또는 과대 비축하지 않고 적정량을 비축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안정적인 비축 재고 관리를 위해 제조·수입사(또는 백신 총판)를 통한 비축을 추진해 긴급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백신 공급이 가능하도록 운영체계를 개선해 나간다.
질병관리청은 이번 중장기 계획을 예방접종전문위원회 심의 및 감염병관리위원회 보고를 통해 확정했으며, 중장기 계획의 효과적 이행을 위해 관계 부처 및 백신 제조·수입사 협의 등을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