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제약의 발기부전치료제 ‘자이데나(성분명 유데나필)’가 미국에서 임상 2상 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동아제약 자회사인 동아팜텍은 최근 미국 현지 언론(http://www.pharmalive.com/News/index.cfm?articleid=427507)을 통해 “34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12주간 자이데나의 임상 2상 시험에서 약효와 안전성 면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임상시험은 자이데나를 50㎎, 100㎎, 150㎎ 세 가지 용량을 각각 복용한 환자군과 위약을 복용 환자군으로 나눠 진행됐다. 시험결과, 자이데나군이 위약군에 비해 높은 성관계 성공률을 나타냈다. 성관계 성공률에서는 위약군이 38%의 성공률을 보인데 반해 50㎎에서는 53%가, 100㎎에서는 66%가, 150㎎에서는 69%가 성공률을 보였다. 또 발기능력이 향상 결과에서도 위약군 31% 향상보다 훨씬 높은 향상율을 나타냈다(50㎎(58%), 100㎎(80%), 150㎎(73%)). 150㎎을 복용 환자군에서는 12주 시험이 끝난후 50% 정도가 정상적인 발기상태를 회복한 반면, 위약군에서는 14%만이 정상적 발기 상태를 보인 것으로 나
산부인과에 시중보다 낮은 금리로 거액을 빌려주고 자사 분유 제품만을 공급받게 한 남양유업과 매일유업이 공정거래위원회에 적발돼 과징금이 부과됐다고 17일 밝혔다. 공정위에 따르면 이들 업체가 사실상 산부인과에 지원한 금액은 분유 납품액에 2배가 넘은 것. 이같은 분유업체의 출혈 경쟁은 신생아 때 먹은 분유에 대한 충성도가 오래가는 제품 특성 때문. 공정위는 남양유업과 매일유업에 2억2800만원의 과징금을 부과하는 한편, 독점 공급조항을 폐지하고 타사와의 거래를 막는 행위를 금지하는 등의 시정명령도 내렸다. 공정위에 따르면 두 업체는 1997년부터 2006년 8월까지 전국 143개 산부인과에 연 평균 3.32%의 낮은 금리로 616억원의 자금을 대여했다. 두 업체가 금리 차이를 이용해 산부인과에 지원한 금액은 73억8500만원, 실제 납품액 23억6300만원으로 2배에 달했다. 한편, 공정위는 분유업체만 처벌키로 하고 이미 산부인과에서 대여받은 자금에 대해서는 문제삼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글리벡이 GIST 환자들의 재발 위험을 70%나 감소시켰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글리벡은 만성 골수성 백혈병(chronic myeloid leukemia: CML)과 위장관 간질 종양(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GIST)에 혁신적인 치료효과를 보인 신호전달 저해제라는 그룹에 속하는 항암제 중 하나이다. 또한 글리벡은 두 질환에 대한 효과와 활성을 보이는 정밀한 분자도구(molecular tool) 작용을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기존 항암화학 요법제와 달리 글리벡은 암세포의 증식경로를 조절하는 비정상 타이로신 카이네이즈(tyrosine kinases) 만을 선택적으로 저해한다. 미국립 보건원의 자금지원을 받은 이번 연구에서 GIST로 위 절제술을 받은 이후 글리벡을 투여하면 1년간 재발하지 않는 비율이 97%로 위약이 투여된 환자들의 83%보다 높은 수치를 유지했다. 연구팀은 2002년부터 올해 초반까지 60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위약과 글리벡을 투여했다고 한다. GIST는 일반적인 위암, 대장암과는 전혀 다른 매우 드문 종양의 하나로서 위장암 중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회장 송경태, 이하 의수협)는 제일약품, 에스텍파마 등 총 9개 업체를 한국관으로 구성하여 5박 6일 일정으로 CPhI Japan 2007(일본원료의약품전시회)에 참석하기 위해 16일 일본으로 출국했다. 2002년 첫 개최 이래로 올해 6회째인 이번 행사는 동경 Big Sight 전시장에서 18일부터 20 일까지 총 3일간 진행된다. 이번 전시회는 중소기업의 수출증대 및 해외 시장 개척을 위해 중소기업청의 후원을 받아 한국관이 구성됐으며 참가 업체는 장치비, 임차비의 50%를 지원받았고 올해는 해상운송료 50% 지원 항목이 처음으로 추가됐다. 일본 의약품 시장은 약 60억 달러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세계 의약품 시장 2위를 차지하고 있다(2006년 기준, Espicom Business Intelligence 자료 참고). 지난해 행사에는 425개 제약업체가 전시회에 참가했으며 총 50개국에서 1만2800명이 전시회를 방문했다. 의수협 관계자는 “예년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이는 이번 전시회에서 한국관 참가업체는 일본 의약품 시장의
한국아스트라제네카(대표 이승우)는 지난 16일 서울 대치동 본사에서 아타칸 영업사원 등 임직원 100여명에게 ‘발·어깨 마사지’ ‘건강 차(茶)’ 등을 제공하는 두 번째 ‘아타칸 데이(Atacand Day)’행사를 가졌다.
특히 이번 아타칸 데이에는 이승우 사장 등 경영진이 참여해 직원들에게 ‘건강 차(茶)’를 직접 제공하는 등 회사가 고혈압 치료제 ‘아타칸(성분명 칸데살탄 실렉세틸)’에 거는 기대와 애정을 보여줬다.
아타칸 데이는 ARB계열의 대표적 고혈압 치료제 ‘아타칸’의 주력제형인 ‘아타칸16mg’과 ‘아타칸 플러스’의 시장 선두 진입을 기원하기 위해 매달 16일 개최하는 이색 행사이다.
이달에는 영업 일선에서 발로 뛰고 있는 ‘아타칸 영업사원’들의 건강을 챙기고, 사기를 북돋기 위한 다양한 행사가 있었다.
직원들의 휴식공간인 카페테리아를 ‘아타칸 광장’으로 만들고, 전문 발마사지사를 초청해 아타칸 영업사원들이 편안하게 발마사지와 어깨 마사지를 받을 수 있도록 배려했다.
또한 회사에서 ‘아타칸 16
사노피-아벤티스 코리아(대표 제즈 몰딩)는 자사의 골다공증치료제 ‘악토넬(성분명 리세드로네이트)’가 최근 식약청으로부터 남성 골다공증에 대한 적응증을 추가로 허가 받았다고 밝혔다.
악토넬은 복용 후 6개월 이내에 신속하게 척추 및 비 척추 부위의 골절을 예방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비스포스포네이트 계열의 골다공증치료제로써, 기존 여성 골다공증 외에 남성들에게 있어서도 뼈의 BMD 증가와 골절 예방 효과에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골다공증 환자 316명을 대상으로 1년간 실시한 임상 연구에 따르면, 위약군 대비 악토넬 복용군은 척추 골절을 유의하게 60% 감소시켰으며, 비척추 골절은 유의하지는 않지만 40% 감소했다.
또한 악토넬 복용군의 경우 요추, 고관절, 대퇴부의 BMD 증가가 각각 4.7%, 2.7%, 1.8%로 위약군 1.0%, 0.4%, 0.2%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골다공증은 일반적으로 여성에게서 흔히 발생하는 것으로
제일약품(대표이사 사장 성석제)은 지난 16일부로 대외협력실에 한국슈넬제약 前 홍성천 개발이사(45)를 영입했다.
신임 홍성천실장은 2004년 중앙대 약학대학 의약식품대학원에서 약학석사학위를 취득했으며, 1988년 근화제약 근무를 시작으로 한올제약, 환인제약, 한국로슈, 삼아약품 등에서 개발부업무 및 대관업무를 담당했다.
특히 신임 홍실장은 한국로슈 등에서 신제품개발 및 허가, 발매, 학술, 약가업무 등 개발업무를 총괄하였기에 제일약품의 대외 협력에 있어 풍부한 경험과 다년간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업무능률을 가일층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영수 기자(juny@medifonews.com)
유한양행(대표이사 차중근)이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이 조사·발표하는 ‘2007년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에서 4년 연속 제약 산업군 1위 기업으로 선정되었다. 유한양행은 4년 연속으로 제약업종 1위를 차지한 것은 물론 전체 산업군을 대상으로 한 ‘올스타(All Star)’기업에서도 전체 3위로 꼽혀, 제약업계의 대표기업으로서 다시 한번 그 위상을 대내외적으로 확인했다. ‘올스타’기업에는 유한양행과 더불어 삼성전자·포스코·유한킴벌리·LG전자 등이 상위 기업으로 평가받았다. 이번 조사는 산업체 근무 간부진 3,511명, 증권사 애널리스트 200명, 일반 소비자 5280명을 대상으로 올해 1월부터 3개월간 진행됐으며, 기업의 혁신능력과 직원가치, 주주가치, 기업이 가진 총체적인 이미지와 사회친화적 활동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 지수’를 도출하였다. 이 같은 심사결과, 유한양행은 주주가치, 직원가치, 고객가치, 사회가치, 혁신능력, 기업이미지 등 평가된 전 부문에서 고른 높은 평가를 받아 국내 굴지의 기업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얀센의 치매치료제 ‘레미닐’이 치매환자의 반복적인 질문 등 언어반복(Verbal
repetition)의 경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Neurology지 최신호는 레미닐이 같은 질문이나 이야기 등을 반복적으로 하는 ‘언어반복(Verbal repetition)’을 58%의 환자에서 줄인다는 연구결과를 게재했다.
이번 연구는 캐나다의 14개 센터에서130명의 경증(mild) 및 중등도(moderate)의 Alzheimer환자를 대상으로 16주간 이중맹검 및 무작위 방식으로 위약과 비교하는 방법으로 실시됐다.
같은 질문의 반복, 동일한 이야기 반복 및 통제불능과 레미닐에 의한 증상이 연구됐다.
연구 결과 레미닐 투여 환자의 58%에서 언어 반복이 줄었다. 위약군에서는 24%만이 언어반복 감소를 보였다.
2차 분석에서는 130명의 randomized 된 환자중 44%가 언어반복을 줄이는 것이 치료의 목표라고
한국엠에스디는 17일 머크의 아태지역 담당 ‘사이언스 앰버서더’에 김규찬 박사가 임명됐다고 발표했다. ‘사이언스 앰버서더’는 머크 연구소(MRL: Merck Research Lab) 소속으로, 세계 각국의 유능한 연구진 및 연구기관의 신약개발 가능성이 높은 기술과 후보물질을 머크 본사와 파트너쉽 혹은 라이센싱 형태로 연결시켜 주는 가교 역할을 한다. 세계적인 제약사들이 국내 연구진 혹은 연구기관과 임상연구를 함께 진행하거나 의사 출신의 임상 책임자를 영입한 예는 있었다. 하지만 본격적으로 ‘사이언스 앰버서더’라는 직책을 두고, 특히 아태지역의 경우에는 한국에 배치해 신약발굴의 전초기지로 삼은 것은 국내에 진출한 다국적 제약사 중에서는 처음이다. 김규찬 박사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의학사 및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1984년부터 8년간 美 코넬대와 UCLA 의과대학 의료센터에서 임상 및 연구경험을 쌓았다. 1996년부터 4년간 국립보건원에서 종양 연구를 맡았으며 2001년부터는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유전체센터를 총괄했다. 또한 보건의료
대웅제약이 국내 처방의약품 시장 1위를 굳혀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새롭게 주목을 끌고 있다.
대우증권이 16일 발표한 보고서에 의하면 ‘3월 원외처방 조제액과 증가율, 점유율(UBIST 기준)’ 결과 대웅제약이 283억원으로 4개월 연속 처방의약품 시장 1위 자리를 고수했다.
그 뒤를 한미약품이 258억원으로 추격하면서 전월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동아제약은 178억원으로 20%대의 증가율을 보이며, 성장률 수위를 이어갔다.
이밖에 중외제약, 종근당 등 대부분이 평균 9.7%를 상회한 반면, LG생명과학은 최대 주력품인 자닌딥의 보험약가 인하의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한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중소제약사 중에는 유유와 삼진제약, 대원제약 등이 처방의약품 시장에서 선전했으나, 상위 제약사의 평균 증가율에는 미치지 못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영수 기자(juny@medifonews.com)
식약청은 ‘식품의약품안전청 연구윤리지침’을 제정 및 시행함으로써 연구부정행위를 사전에 예방하고, 연구윤리를 확립하기 위한 연구윤리검증시스템을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고 17일 밝혔다. 이 지침은 과학기술부 ‘연구윤리확보를 위한 지침’ 시행에 따라 용역연구 등 식약청의 연구개발사업 특성과 실정에 적합하도록 자체 규정이 마련된 것이다. 새로 마련된 연구윤리검증시스템은 연구부정행위에 대한 제보가 접수되면, 식약청이 용역연구기관으로부터 연구윤리 조사 결과를 제출 받아 조사의 합리성과 타당성을 심사해 문제가 있는 경우 추가조사를 요구하거나 조사위원회를 구성해 직접 재조사하는 검증 절차로 돼 있다. 연구부정행위로 최종 판정될 경우에는 용역연구계약에 따라 용역연구기관에 대한 연구비 환수 또는 연구개발사업 참여 제한 등의 후속 제재 조치를 하게 된다. 식약청은 이 지침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연구개발사업을 수행하는 외부 연구자들과 내부 직원을 대상으로 연구부정행위 유형과 제보 및 연구윤리 검증 절차 등에 대하여 4월 중 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 식약청은 이 지침
한화증권 배기달 연구원은 17일 보고서에서 LG생명과학의 1분기 매출액이 자니딥의 매출감소에도 불구하고, 전년동기 대비 12.5% 증가한 55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새롭게 보강된 고혈압치료제 ‘코타렉’과 고지혈증치료제 ‘자이렙XL’의 매출 증가와 퇴행성 관절염치료제 ‘히루안플러스’, 왜소증치료제 ‘유트로핀’의 매출 호조 등의 영향 때문이라는 게 배 연구원의 설명이다. 영업이익은 시장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는 2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이는 자니딥의 약가 인하에 따른 차액 보상 등이 이뤄졌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팩티브는 현재까지도 미국 내 판매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미국 현지 영업을 담당하고 있는 오시언트社의 영업조직이 강한 편이 아니라 팩티브의 미국 판매는 만족스러운 수준이 아닌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팩티브의 4분기 미국 내 처방건수는 전년동기 대비 5% 증가한 7만3000건을 기록했으며, 지난해 연간으로는 전년대비 51.2% 증가한 31만4000건으로 집계됐다. 그리고, 팩티브의 4분기 매출은 처방건수의 증
한독약품은 16일 1분기 매출액이 641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8.9% 증가했다고 공시했다. 순이익은 42억원으로 전년동기보다 11.04% 늘었다. 이영수 기자(juny@medifonews.com)
대한약학정보화재단(이사장 원희목)에서 제공하고 있는 표준의약품정보 프로그램 DIK2.0이 PM2000과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된다. 정보화재단에서 제작 배포하고 있는 표준의약품정보는 2004년 DIK on First CD를 시작으로 2005년 10월 기능을 향상한 DIK on Second CD(이하 DIK2.0)를 출시하여 약국, 병원급 요양기관, 제약회사, 정부기관, 유관단체 등 표준화 된 의약품정보를 필요로 하는 곳에 제공되어 왔다. DIK2.0은 대한약사회의 약국관리 프로그램인 PM2000과 연동하여 의약품정보를 분기별로 업데이트 해왔으나, 최근 PM2000 사용자들의 빠른 의약품 정보 업데이트 요청이 늘어남에 따라, 4월 13일자 업데이트부터는 자동 방식으로 실시간 업데이트가 가능해졌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신규 허가 의약품 및 수입의약품에 대해서도 최신의 의약품허가사항 및 식별사진 정보 등의 의약품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PM2000 이외의 약국관리프로그램을 사용하면서 DIK2.0만 별도 이용하는 사용자들에 대한 서비스 강화 방안으로, 간단한 업데이트 방식에 더불어 대한약사회가 상반기 중 전면 출시 계획인 ‘KPA 메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