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3,586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연말정산 증빙자료를 제출한 의료기관이 마감시한인 6일까지 전체 의료기관의 67.7%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같은 수치는 의협의 자료제출 유보 공지와 자료를 제출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힌 의료기관이 2만2000여곳에 달한다는 국세청의 자료와 비교했을 때 예상보다 높은 수치다. 국세청은 6일 오전 전체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자료제출 여부를 개별 확인한 결과 2만2700개 기관(29.1%)이 자료제출 거부의사를 표명(치과: 51.1%,한의원: 37.9%,의원: 36.8%)하고 있다고 발표한 바 있다. 국민건강보험 관계자는 자료제출 현황과 관련 “의료기관으로부터 제출된 연말정산 증빙자료를 취합한 결과 마감일인 6일 24시까지 67.7%의 의료기관이 자료를 제출했다”며 “이는 의원과 한의원 치과의원 등을 모두 포함한 수치”라고 밝혔다. 그러나 자료제출 마감 이후 7일 자료를 제출한 의료기관 수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이 관계자는 “하지만 마감기한 이후에는 자료제출이 미미한 수준”이라며 “아직 자료를 제출하지 않은 의료기관에서 일단 상황을 지켜보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n
연말정산 증빙자료 제출을 놓고 개원가의 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의사들의 절반 정도는 앞으로도 절대 제출하지 않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황을 지켜본 뒤 제출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의견도 상당수 분포돼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의사커뮤니티 닥터플라자가 연말정산 자료제출 여부에 대해 의사회원 29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절반에 가까운 48%(139명)은 ‘제출 안했으며 앞으로도 결코 안하겠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결과 ‘아직 제출하지 않았으나 상황을 지켜본 뒤 결정하겠다’는 의견도 40%(118명)나 돼 향후 미제출 의료기관에 대한 국세청의 조치 향방에 따라 제출여부를 결정하려는 의료기관이 다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제출했다’는 의견은 11%(31명), ‘제출하지 않았으나 자료가 준비되는 대로 제출하겠다’는 의견은 ‘1%(4명)로 제출의지를 보이는 의사들은 소수에
고령화의 진전과 식습관의 서구화로 혈액순환개선제와 항혈전제 시장의 규모가 가파르게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현재 은행잎추출물을 이용한 국내 혈액순환개선제 시장은 원외처방매출액 기준으로 약 700억원(2005년 기준)으로 추정되고 있다.
국내 혈액순환개선제 시장 점유는 SK케미칼 ‘기넥신’ 48.5%, 유유 ‘타나민’ 27.6%, 대웅제약 ‘타나칸’ 4.6% 순이다.
이 시장은 향후 고령화 진전에 힘입어 향후 3년간 연평균 26%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국내 항혈전, 혈소판응집억제제 시장은 약 1300억원으로 추정되며, 고령화의 진전, 식생활 습관 변화로 최근 3년간 연평균 34%의 성장세를 보였다.
또한 향후에도 30%대의 고성장이 이뤄질 전망이다.
국내 항혈전, 혈소판응집억제제 시장 점유는 사노피-아벤티스 ‘플라빅스’ 66.7%, 명인제약 ‘디스그렌’ 15.5%, 한국오츠카제약 ‘프레탈’ 10.2%, 유유 ‘크리드’ 7.6%로 4개 약물이 전체 99.5%를 차지한
[파일첨부] 올해 3분기 연령별 요양급여비용 현황을 분석한 결과 65세 이상에서 요양급여비용이 21.28%가 증가해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는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배포한 ‘2006년 3분기 건강보험통계지표’ 중 연령별 요양급여비용 부문을 분석한 결과다. 이 자료에 따르면 전체 요양급여비용은 21조614억원으로 지난해 3분기에 비해 15%가 증가했다. 하지만 65세 이상 연령대의 요양급여비용은 5조428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4조4759억보다 무려 9524억원이 늘어 21.28%가 증가했다. 이에 대해 심평원은 “65세 이상에서 전년 동기에 비해 요양급여비용 증가율이 높은 것은 그만큼 노인인구가 계속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 의료계 관계자는 “이는 우리사회의 고령화 현상이 심각해지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급속한 고령화 현상에 대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65세 이상에 이어 증가율이 가장 높은 그룹은 50~59세로 3조6350억원으로 지난해보다 19.86%가 늘었다. 반면 증가율이 가장 낮았던 그룹은 0~9세로 1조9826억원을
내년도 건강보험료가 6.5% 인상됐지만 당기수지는 7804억원의 적자가 예상되고 있다. 한화증권은 4일 “건강보험료 6.5%의 인상에도 불구하고 담뱃값 인상의 무산 등에 따라 건강보험재정은 7804억원의 당지수지 적자가 예상된다”고 전했다. 이어 한화증권은 “정부에서는 이 같은 상황을 감안해 감기 등 경증질환에 대한 환자 본인부담을 확대하고 약제비 적정화 등을 통한 지출 구조 개선 및 보장성 강화 계획 일부 축소 등을 통해 적자분을 메울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누적수지는 2007년 말에도 여전히 2929억원의 흑자가 예상된다”고 전해 급격한 건강보험 재정의 악화는 없을 것으로 분석했다. 이와 함께 한화증권은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 노인인구, 만성질환자 증가에 따른 급여비 증가 추세는 향후에도 이어질 것으로 보여 지속적인 건보료 인상과 더불어 정부의 약제비 적정화 방안도 엄격하게 시행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는 지난 1일 직장가입자의 보험료율을 현행 4.48%에서 4.77%로, 지역가입자의 보험료액은 131.4원에서 139.9원으로 전년 대비 6.5% 인상한 바 있다.
내년도 의료수가가 ‘전년대비 2.3% 인상(환산지수 점수당 60.7원→62.1원)’으로 최종 확정됐다. 또한 직장가입자의 보험료율은 현행 4.48%에서 4.77%로(0.29%P 증가), 지역가입자의 보험료액은 131.4원에서 139.9원(8.5원 증가)으로 전년대비 6.5% 오른다.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이하 건정심)는 1일 오전 개최된 회의에서 내년도에 적용할 건강보험료 및 의료수가(환산지수)를 최종 결정했다. 건정심은 의료수가(환산지수)와 관련, 의료행위의 원가비용 변동정도, 전년대비 보험급여비 증가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내년도 의료수가를 전년대비 2.3% 인상한 62.1원으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또한 이번 계약을 앞두고 논란이 됐던 ‘유형별 환산지수’와 관련, 2008년 수가계약부터 적용키로 하고, 건정심 산하 제도개선소위원회에서 선정한 연구자의 연구결과를 반영해 2007년 9월까지 관계법령을 개정하기로 했다. 건강보험료의 경우 건정심은 보장성 확대를 지속적으로 추진하면서 국민들의 보험료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6.5% 인상하기로 의결했다. 건정심은 “환자의 의료
올해 3분 요양기관 종별 이용현황을 보면 전체적으로 상승세가 완화된 가운데 병원급의 요양급여비용 증가가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간한 ‘2006년 3분기 건강보험통계지표’를 분석한 결과 3분기 전체 의료기관의 요양급여비용은 15조1101억8000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가 증가했다. 총 요양급여비용은 지난 1분기에 18.5%의 상승을 기록했으나 2분기에는 12.7%로 둔화됐으며 이어 3분기에는 14.0%를 기록해 성장세는 다소 주춤한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병원급의 요양급여비용은 1조7248억5800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96%가 증가했다. 특히 요양병원의 약진이 두드러졌는데 요양병원의 경우 2156억800만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무려 94.13%의 폭발적 증가를 보였다. 의료기관 종별로 살펴보면 종합전문요양기관의 경우 요양급여비용은 3조674억으로 지난해보다 17.6% 증가했고 기관당 진료비는 713억원으로 지난해 621억원보다 14.8% 늘었다. 종합병원은 3조37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9% 증가했으며 기관당
올해 3분기 의원 표시과목별 요양급여비용 증감률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12.22%가 증가한 가운데 산부인과와 비뇨기과, 내과의 상승세가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지난 상반기에 비해 상승세가 다소 주춤한 모습이며 특히 이비인후과의 약세가 눈길을 끌었다. 이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지난 24일 배포한 ‘2006년 건강보험통계지표 3분기’를 분석한 결과다. 이 자료에 따르면 의원 전체의 요양급여비용은 5조4954억100만원으로 지난해 3분기에 비해 12.22%가 상승했으며 산부인과가 3037억7000만원으로 전년 동기에 비해 14.34%가 증가해 눈에 띄었다. 이외에도 비뇨기과 14.04%(1424억5000만원), 내과 13.8%(9188억4500만원), 정형외과13.10%(6598억5400만원), 이비인후과 12.79%(4713억200만원) 등이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이어 소아과 11.82%(3913억4800만원), 안과 11.24%(4320억2200만원), 일반의 10.06%(1조1259억3000만원), 피부과 9.38% (1241억6000만원), 외과 7.78%(2630억800만원)
이형래 경희의대 동서신의학병원 비뇨기과 Hyung-Rae Lee, M.D. & Ph.D. Dept. of Urology, East-West NEO Medical Center, Kyung He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E-mail: hllee61@hanmail.net 서 론 하부요로증상(lower urinary tract symptoms, LUTS)은 개인에게 많은 스트레스를 주며 사회적으로도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하는 질환이다. LUTS의 발병률은 연령에 따라 증가하며 노인 연령에서 증가 추세에 있어1) LUTS의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LUTS는 저장 증상(주간 빈뇨, 야뇨, 요절박, 요실금), 배뇨 증상(요속 감소, 흩어짐, 끊김, 요주저, 복압뇨, 배뇨후 떨어짐) 및 배뇨 후 증상으로 구성된다. 대규모 다국적 연구 결과 50~80세 사이의 남성
비정형 항정신병 치료제(atypical antipsychotic) 매출이 2005년 54억 달러에서 10년 후인 2015년에는 48억 달러로 감소한다는 내용의 보고서가 발표됐다. 이 보고서는 세계적인 연구 및 자문기관인 디시전 리소스(Decision Resources)에서 발표한 자료로 정신분열증(Schizophrenia)으로 아스트라제네카와 타가셉트가 공동 개발하는 이스프로니클린(Ispronicline)이 정신분열증의 인지기능 저해를 치료하는 첫 번째 약물이 된다는 예측도 하고 있다. 10년 후 48억 달러로 감소하는 비정형 항정신병 치료제 시장에서는 현재 특허가 유지되는 5종의 약물들인 얀센의 리스페리달(Risperdal), 릴리의 자이프렉사(Zyprexa), 아스트라제네카의 세로켈(Seroquel), 화이자의 지오돈/젤독(Geodon/Zeldox), BMS/오츠카의 아빌리파이(Abilify)가 특허를 잃고 저렴한 제네릭의 도전을 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리스페리달이 가장 빨리 일본에서 2006년, 유럽에서 2007년, 미국에서 2008년에 제네릭과 경쟁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이번 보고서 작성을 주도한 니타샤 만찬다
안강모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소아과 Kang-Mo Ahn, M.D.& Ph.D. Dept. of Pediatrics,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E-mail: kmaped@smc.samsung.co.kr 서 론 급성 감염성 호흡기 질환은 소아에서 나타나는 주요 질환으로서, 그 중에서도 하기도 감염은 호흡부전 및 패혈증 등을 초래할 수 있어서 특히 소아에서는 주의를 요한다. 하기도 감염은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크룹(croup), 기관기관지염(tracheobronchitis), 세기관지염(bronchiolitis) 및 폐렴(pneumonia)으로 분류한다. 원인 미생물로는 세균, 마이코박테리아, 결핵, 진균, 기생충 등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 가
정상적인 부부관계를 가질 수 있는 여건임에도 국내 기혼 남성 10명 중 5명(48%), 기혼 여성 10명 중 2명(22%)은 때때로 자위행위를 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비뇨기과 학술대회에 보고됐다. 결혼을 하거나 성생활 파트너가 생기면 자위행위를 안한다는 통념이 뒤집힌 것이어서 주목된다. 우리나라 기혼 남녀의 자위 행위 실태가 드러난 것은 처음이다. 서울 명동이윤수비뇨기과의원 이윤수·조성완 박사팀은 24일 서울 그랜드힐튼 호텔에서 열린 대한비뇨기과학회 2006년 추계학술대회에서 우리나라 기혼남성 1613명, 기혼여성 1000명 등 모두 2613명을 대상으로 ‘한국 기혼남녀의 자위행위 실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보고했다.보고서에 따르면 남성은 ‘성적 긴장을 완화시키려고’, 여성은 ‘육체적 쾌감을 얻기 위해’ 자위행위를 하는 경우가 많았다. 자위 행위를 처음 시작한 시점은 남성의 경우 54%가 중학교 때였지만, 여성은 결혼 이후가 11.1%로 가장 많았다. 특히 조사 대상 남성 중에는 자위행위를 일찍 시작한 사람일수록 ‘현재 지루증세가 있다’는 응답이 많았다.다음은 설문조사 결과 및
자기 일에 만족도가 높은 직종은 사진작가, 항공기 조종사, 바텐더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의사, 모델, 크레인 운전기사 등은 비교적 만족도가 낮았다.
또 대학 졸업자 평균 연봉은 2316만원으로 전문대 졸업자(1925만원)보다 400여만원 많았고, 4년제 대학 학과 중 초등교육과가 가장 높은 고용율을 보였다.교육인적자원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은 21일 진로를 고민하는 청소년을 위해 ‘미래의 직업세계 2007’ 책자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전국 170개 주요 직업 종사자 4343명과 2003년 2월 4년제 대학 및 전문대를 졸업자 2만6041명을 상대로 직무만족도, 평생직업으로서 적절성 등의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토대로 구성됐다.조사 결과 일에 대한 만족도(5점 만점)에서 사진작가, 항공기 조종사 등이 각각 4.60과 4.48로 1,2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모델(2.25)과 의사(2.84)는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의사의 직업 만족도는 5위를 차지한 바텐더(4.36)보다 훨씬 낮았다.평생직업으로 적당한 분야로
내년도 건강보험료가 담뱃값 인상 등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최대 9.21%까지 높아질 전망이다.보건복지부는 17일 정부과천청사에서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건정심) 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이 포함된 내년도 보험료 및 건강보험 수가 인상률을 논의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건보료 인상과 관련, “올 상반기 보험급여비 증가율이 18.7%에 이르는 등 급여 확대로 의료이용이 급증하는 추세”라며 “내년도 건강보험 재정의 당기수지 균형을 맞추려면 담뱃값 미인상과 보험 수가 동결을 전제로 했을 때 올해보다 보험료를 9.21% 인상해야 한다”고 밝혔다. 건보료가 9.21% 인상될 경우 보험료율은 4.48%에서 4.89%로 0.41%포인트 상승한다. 이럴 경우 직장가입자의 평균 보험료는 월 5만8066원에서 6만3408원으로 5342원 인상되고 지역가입자는 월 5만208원에서 5만4827원으로 4619원 오른다. 건강보험재정은 올해 말 기준으로 1800억원 가량의 당기수지 적자가 예상되고 있다. 현재 담뱃값 인상을 위해 국회에 제출돼 있는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안은 야당인 한나라당이 물가 상승 등의 이유로 반대입장을 분명히 해 통
[도표첨부] 전공의 1일 당직비는 전북대병원이 1만원으로 가장 적고, 영남대병원이 5만원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월 단위로 당직비를 정산하는 병원의 경우 삼성서울병원이 70만원으로 최고액을 기록했다. 대한전공의협의회(회장 이학승)는 15일 ‘전국수련병원 당직비 현황’을 통해 83개 병원명과 당직비를 공개했다. 당직비는 주로 1일 혹은 1개월 단위로 계산되어 지급되며, 일부 병원은 인턴과 레지던트, 혹은 연차별로 당직비에 차이를 보였다. 1일을 기준으로 당직비를 지급하는 병원의 경우 계요병원과 영남대병원이 50,000원으로 가장 많은 금액을 책정하고 있다. 반면 국립경찰병원과 중앙대용산병원, 분당제생병원, 국립감호정신병원, 전북대병원 등은 1만원으로 가장 많은 당직비와 5배 차이를 보였다. 월별로 당직비를 지급하는 병원 중 최고액은 삼성서울병원으로 70만원을 지급하고 있으며, 강릉아산병원이 3만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한편 인턴과 레지던트를 구분하는 병원 중에서는 경희대병원이 1개월당 인턴 5만5000원, 레지던트 6만원으로 가장 적은 당직비를 지급하고 있다.
올해로 11회를 맞는 대한암학회 추계 학술대회가 최근 Translational Oncology: Bidirectional Research and Treatment을 주제로 소공동 서울롯데호텔에서 열렸다.
국내 암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인 만큼 관련 제약회사들의 홍보 열기 역시 뜨거웠다.
한국화이자제약은 혁신적 다중표적항암제 ‘수텐’의 부스를 설치하고 적극적인 수텐 알리기에 나섰다.
수텐은 다수의 단백질 수용체인 타이로신 카이나제에 선택적으로 작용해, 암의 성장과 신생혈관 생성을 동시에 차단하는 획기적인 항암제다.
따라서 부스는 이러한 작용기전의 특성과 질환을 잘 설명하는 그래픽으로 구성됐고 임상 데이터를 적절히 부각, 수텐의 혁신적인 신약 이미지를 전달하는데 중점을 뒀다.
이와 더불어, 한국화이자제약은 호주 루드비히 암 연구 협회(Ludwig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이안 데이비스(Ian
[도표첨부] 전국 수련병원 10개 중 3곳은 아직도 10일 휴가규정을 지키고 있지 않은 것으로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개월의 출산휴가를 제대로 실시하는 병원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대한전공의협의회(회장 이학승)는 16일 ‘전국 수련병원 휴가 및 당직비 현황’을 발표했다. 87개 수련병원을 대상으로 한 이번 조사에서 응답병원 83곳 중 74.6%인 62개 병원이 10일 휴가를 실시하고 있다고 답했다. 또한 3개월 출산휴가를 지키고 있는 병원은 84개 응답병원 중 55개로 42.8%에 머물러, 여전히 전공의들의 처우개선이 미흡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학승 회장은 “아직까지도 많은 병원이 정해진 휴가기간을 제대로 지키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어 “전공의 처우개선 위해서는 병협이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며 “병협 신임평가위원회가 전공의 정원을 정할 때, 각 병원의 전공의 처우현황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수련병원 10일 휴가 및 3개월 출산휴가 현황> * 2006년 11월 기준 연번 병
당뇨병 환자의 혈당관리 및 측정의 지표가 되는 당화혈색소(A1c) 검사에 대해 당뇨환자의 18%만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환자 교육에 보다 적극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당뇨병학회(이사장 손호영)은 지난 15일 세계 당뇨병의 날과 당뇨병 주간(11월 13~19일)을 맞아 당뇨병 환자의 당화혈색소에 대한 인지도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학회측은 서울, 경기지역 7개 대학병원에 정기검진을 위해 내원한 총249명의 당뇨병 환자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249명의 당뇨병 환자 중 당화혈색소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는 환자는 18%(45명)에 그쳤다.
또한 정확한 ‘관리 수치’를 알고 있는 사람은 8.4%( 21명)였으며, 10명 중 8명은 당화혈색소 자체에 대해 아예 몰랐을 뿐만 아니라 알고 있더라도 정확한 관리 수치까지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화혈색소를 인지하고 있는 18%(45
올 겨울에 어린이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이 유행할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성균관의대 이상일·안강모 교수팀(삼성서울병원 소아과)은 1995년부터 2003년까지 병원을 찾은 어린이 폐렴환자를 대상으로 한 역학조사 결과 3년을 주기로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이 유행, 올해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연구팀의 9년간 7778명 폐렴환아 중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으로 진단 받은 환자는 입원환자 363명, 외래환자 212명으로 총 575명이었다. 이중 남아가 294명, 여아가 281명으로 성비는 1.04:1이었고, 평균연령은 4.49±2.80세였다. 특히 1997년 102예(9.6%), 2000년 104예(10.9%), 2003년 174예 (18.7%) 등 3년을 주기로 높은 발생률을 보이고 있다. 또한 월별 발생률을 보면 11월 104예(18.1%), 12월 93예(16.2%), 10월 92예(16.0%)로, 11월과 12월의 발생환자가 전체의 30.7%를 차지했다. 이상일 교수는 “조사결과를 보면 올해 중에서도 12월까지는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에 대한 건강주의가 강화돼야 할 것
인천중앙병원 해밀자원봉사단이 지난 11일 송내동 성은교회 부설 문화학교에서 50여 명의 무의탁노인 및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의료봉사를 실시했다.
의료봉사단은 유종원 진료부원장(48)을 비롯해 재활의학과장, 치과장 및 간호사, 약사, 임상병리사, 물리치료사 등 모두 22명으로 구성됐다.
봉사에 참가한 의료진들은 “날씨가 갑자기 추워지고 있는 가운데 무의탁어르신들 같은 경우 몸이 아파도 병원을 찾지 않고 그냥 참기 일쑤”라며 안타까움을 표하고 “외롭고 아픈 사람들에게 힘이 되어주고자 했던 의료인으로서의 첫 마음을 잊지 않고자 봉사활동을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올 5월 출범한 해밀자원봉사단은 월 1회 이상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의료봉사를 실시해 지역주민의 건강 향상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조현미 기자(hyeonmi.cho@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