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65,552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9월 임용 레지던트들에게 전문의 시험 기회가 박탈돼 수련과정을 마치고도 다음해에 전문의 시험을 치러야하는만큼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희국 의원(새누리당 대구 중·남구)은 5일 보건복지부 국정감사에서 9월 임용 레지던트(일명 가을턴)의 처우문제에 대해 질의했다.가을턴은 9월에 임용, 4년 뒤 8월에 수련과정이 종료되지만 전문의시험은 다음해 1월에 있어 약 6개월의 공백이 발생한다는 것이다.또 여성 레지던트의 경우 출산으로 6개월의 수련기간이 부족한 상황에서도 전문의 시험을 바로 치를 수 있도록 배려해주고 있다는 점에서 형평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레지던트 과정은 의사시험을 통과한 의대생을 대상으로 3월에 모집해 4년 뒤 2월에 종료하게 된다. 주로 1월에 전문의시험이 있으며 2월 과정 수료와 동시에 전문의로서 활동할 수 있게 된다.반면 가을턴은 3월에 정원을 채우지 못하거나 사직 등으로 결원이 생긴 수련병원을 통해 9월에 임용되고, 4년 후 8월에 종료된다. 하지만 전문의시험을 위해서는 다음해 1월까지 어정쩡한 상태로 기다려야 한다.김희국 의원실은 “정부정책에 따라 ‘전문의 수련 및 자격 인정 등에 관한 규정’
주요 상장제약사의 창립기념일이 10월에 대거 집중돼 눈길을 끈다. 특히 올해는 일괄 약가인하 시행으로 제약업계가 어느 때보다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창립기념일을 통해 위기극복을 위한 역량강화와 단결을 강조하는 모습이다. 메디포뉴스가 상장제약사 50여곳의 창립기념일을 분석한 결과, 총 13곳이 10월에 창립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먼저 창립기념일을 맞은 회사는 보령제약이다. 김승호 회장이 1957년 10월 1일 종로5가에 보령약국을 창업한 이래 올해로 55주년을 맞았다. 김승호 회장은 지난 4일 가진 창립기념행사에서 기념사를 통해 “현재 세계 경제 불황 및 국내 제약시장의 어려움이 계속되고 있다”며 “소통과 개인 역량 강화를 통해 어려움을 극복하고 사회와 공존공영하며 ‘100년 보령’을 향해 도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녹십자는 1967년 10월 5일 설립돼 올해 창립 45주년 기념식을 가졌다. 허일섭 회장은 “글로벌 선진시장을 공략하고, 혁신적인 신약을 개발해야 할 것”이라며 “R&D와 생산부문은 물론 영업부문과 기획지원부문, 그리고 전 가족사가 회사가치 창출에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10월에 창립한 회사 가운데 가장 역사가 오래된 곳은 대
국경없는의사회 구호활동 한 달 만에 사망률 2%까지 감소국제 의료 인도주의 비영리 독립단체인 국경없는의사회(Mdecins Sans Frontires: MSF, 대표: 엠마누엘 고에 한국 사무총장)가 지난 7월부터 남수단 이다 (Yida) 난민캠프에서 구호활동을 실시한 결과, 한 달 만에 사망률이 25%에서 2%로 대폭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6월 중순부터 7월 중순까지의 이다 캠프 내 사망률은 응급상황 기준치의 두 배에 달하는 25%를 기록한 바 있다. 국경없는의사회는 캠프 내 유일한 진료소를 통해 매주 입원 및 외래 환자 약 3천 명을 진료해 왔다. 아동 환자들이 심각한 상태에 이르기 전에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진료 장소가 확대되었으며, 영양실조에 걸린 아동들에게는 맞춤 치료식이 제공되고 있다. 국경없는의사회의 이러한 활동에 따라 병원에 방문하는 아동 환자의 수 역시 현저히 감소했다. 또한, 국경없는의사회는 긴급구호 프로젝트 초기 40개에 불과했던 병상 수를 100개로 늘리고, 캠프 내 위생 향상을 위해 의사, 간호사, 식수 및 위생 전문가를 포함한 현장활동가 수를 4배로 확충하며 구호활동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상수원 확보를 위해 보어홀
*5일 서울대학교병원 *발인 8일 8시30분 *02-2072-2011
*5일 서울대학교병원 *발인 8일 8시30분 *02-2072-2011
*5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8일 8시30분 *02-3410-6902
*5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8일 8시30분 *02-3410-6902
한국의 바이오시밀러 개발 열기가 전체 파이프라인 개수 기준 세계 7위로 나타나 글로벌 수준에 올라섰다. 특히 단일클론항체 분야에서 두드러져 눈길을 모은다. 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 개수만을 기준으로 봤을때 가장 많은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나라는 인도로 개수가 60개에 육박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뒤를 이어 독일, 미국, 러시아 등 주로 유럽 국가의 강세가 두드러졌고 한국은 영국에 이은 7위에 올라있는 상황이다.세부적으로 단일클론항체 기준에서 보면 한국에서 개발 중인 파이프라인은 총 13개로 압도적인 글로벌 1위의 수준이다.한국을 제외한 국가들의 파이프라인 개수는 10개에도 미치치 못하는 수준이라는 점에서 확실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뒤를 잇고 있는 인도, 불가리아, 스페인, 필리핀 등의 경우 파이프라인 개수가 6개정도에 그치고 있기 때문이다. 단일클론항체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리툭산’, ‘허셉틴’, ‘휴미라’ 등이 있다. 이 가운데 로슈의 비호지킨 림프종 및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인 리툭산의 바이오시밀러 개발이 가장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리툭산의 예상 특허 만료기간은 2013년 3월~2015년 4월로 현재 개발 중인 바이오시밀러 개수
환자와 간호사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역량 강화를 위해 국내외 간호계 석학들이 한자리에 모인다.을지대학교(총장 박준영) 간호대학은 오는 10월 11일부터 12일까지 이틀간 서울 청담동에 위치한 리베라 호텔에서 국제간호학술대회를 개최한다. 11일은 오후 6시부터 환영리셉션이 열리며, 12일은 오전 8시 30분부터 다양한 학술발표가 이어진다.‘상호작용과 소통의 시대에 필수적인 커뮤니케이션 역량 강화(Fostering Artistic Nursing Potential through Communication)’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국내외 석학들의 강연과 함께 호주 뉴카슬대를 비롯한 국내외 46개 대학, 병원과 연구소에서 제출한 127편의 포스터 발표가 진행될 예정이다.주요 연자로는 ▲로즈마리 파시 교수(미국 로욜라대 석좌교수, Nursing Science Quarterly 편집장), ▲스티븐 바우만 교수(뉴욕 헌터대), ▲이명선 교수(서울대학교), ▲앤드류 핀치 교수(경북대), ▲리차드 윌리암스 박사(미국 CMOE) 등이 참여한다. 특히 로즈마리 파시는 인간 과학에 기반한 ‘인간 되어감(Human becoming)’ 이론을 개발하고 주창한 세계적인 간호학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문정림 의원(선진통일당)은 신종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해 통합적 대응을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정부의 기본방침인 ‘신종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 계획’이 지난 6년간 제대로 보완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문정림 의원실에서 질병관리본부를 통해 확인 한 결과, 2006년 8월 신종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 계획이 처음 마련된 이후 5년 후인 2011년 10월에서야 미완성본이라 할 수 있는 간략한 수정본만이 발간된 것으로 나타났다.문정림 의원은 “신종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 계획은 백신, 항바이러스제 등 예방·치료약제의 비축 등 의료적 조치와 함께 격리·검역·홍보 등 대유행 기간 중 교육·경제·사회 전 분야에서의 핵심 계획”이라며 “2006년 질병관리본부는 국제교류 등을 통한 최신 정보 반영 등 지속적 수정·보완을 1차 계획서 발간 후 약속했으나 6년이 지나고 신종플루 대유행을 2009년에 겪은 이후 보완이 없었다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또 “감염병 대응·대비를 위한 국가적 절차를 위해서는 신종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 계획이라는 포괄적인 기본 틀을 항시 보완해 완비해 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특히 “2009년 신종플루를 경험하면
분당서울대병원(원장 정진엽)은 지난해 4월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은 ‘아타스 로봇 모발수술 시스템’을 아시아 최초로 도입했다고 지난 5일 밝혔다.흔히 수술이나 재활치료에 사용돼 온 의료용 로봇이 모발이식수술 분야에도 선을 보여 세계적인 관심을 받고 있는 가운데 분당서울대병원이 새로운 로봇을 도입해 주목된다.로봇 ‘아타스’는 모낭을 자동으로 분석해 채취하는 수술 로봇으로 기존 비절개 모발이식 수술의 기술적인 어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됐다고 밝혔다.모발이식 수술에서 가장 중요한 모낭 채취단계에서 사용되는 이 로봇 시스템은 △모낭 채취시간을 반으로 줄이고 △정밀한 시술로 모낭 손상을 최소화하는 한편 △사람 손과 달리 피로에 따른 편차 없이 일관된 모낭 채취를 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으로 꼽힌다. 현재 시술되고 있는 모발이식수술은 뒷머리 두피를 길게 떼어내는 절개식(FUSS)과 두피를 떼어내지 않고 모낭을 하나씩 추출하는 비절개식(FUE)으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아타스 로봇 수술은 비절개식에 사용된다.비절개식은 절개식에 비해 선 모양의 흉터가 생기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으나 그 동안 모낭을 일일이 손으로 채취하는데 따른 몇 가지 단점들이 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희국 의원(새누리당 대구 중·남구)은 의료 인력의 지역별 불균형 문제의 시정을 촉구했다.보건복지부가 김희국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1년 우리나라 보건의료기관에서 활동하는 보건의료 인력으로 의사 8만7395명, 치과의사 2만2238명, 한의사 1만6819명, 간호사 13만9247명, 간호조무사 13만7383명. 약사(병원 근무 + 개업한 약사) 3만3988명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지역적 분포에서 대부분의 의료 인력이 서울·경기에 분포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지방에는 의료 인력이 부족하다는 것이다.보건복지부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조사 의뢰한 ‘국민보건의료실태조사’ 자료를 보면 2011년 국내 인구 10만 명당 의사 수는 평균 178.4명으로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이 263.1명으로 가장 많았고 가장 적은 지역은 경북 128.1명으로 서울과 약 2배 차이가 났다.또 현재 국내에 활동하고 있는 의사 8만7천395명 중 30.2%(2만6천412명)는 서울에, 20.2%(1만6천169명)는 경기도에 분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사가 가장 적은 지역은 제주도로 865명에 불과하고, 대구경북은 8398명으로 서울과 약 3.1배로 차
대한수혈대체연구회가 주최하고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과 세종병원이 공동 주관하는 제7회 대한수혈대체연구회 학술대회가 오는 10월 13일(토)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별관 5층 향설대강당 및 별관 지하 1층 순의홀에서 개최된다. 이번 학술대회는 대한무수혈대체연구회 회원들이 그 동안의 연구 결과를 각 주제별로 발표하는 자리로,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김용익 교수 및 외과 최규성 교수 등을 포함해 총 15명의 교수가 좌장 및 연자로 참가하는 대규모 행사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무수혈 수술, 주산기 빈혈 및 대량 출혈의 관리, 무수혈 수술의 정책 등을 주제로 열띤 토론이 전개될 예정이다. [심포지엄 I]에서는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김용익 교수를 좌장으로 △무수혈 간이식 수술 △선천성 심장병의 무수혈 수술 △Update of ESA and IV iron △심부전 환자의 빈혈 치료 등[심포지엄 II]에서는 세종병원 산부인과 한광수 교수를 좌장으로 △Hematologist perspective △Obstetrician perspective △Anesthesiologist perspective, 심포지엄 III에서
발칸반도에 위치한 작은 나라 코소보에서 날아온 작은 천사들이 한국에서 새 생명을 되찾았다. 가천대 길병원(병원장 이명철)은 코소보에서 온 심장병 어린이 앤디(Andi Nuhiu Amb•5)군과 무랏(Murat Shpenadija•6)군을 성공적으로 수술하고 고국으로 돌려보냈다고 4일 밝혔다.이번에 가천대 길병원에서 수술을 받은 앤디군과 무랏군은 국제구호단체인 GOL(Gift Of Life)의 후원을 받아 한국에 초청됐으며, 9월 18일 길병원에 입원해 각각 20일과 26일에 수술을 받았다. 두 어린이는 모두 심방 사이에 구멍이 생기는 선천성 심장병인 심방중격결손증을 앓고 있었다. 특히 무랏군은 다운증후군을 가진 장애아로 건강상 매우 어려운 처지에 놓여있었다. 해외 심장병 어린이 구호활동에 적극적인 미국에서 조차 다운증후군을 가진 어린이는 초청 대상에서 제외되나 가천대 길병원은 이번에 무랏군을 초청, 수술해 성공적인 결과를 얻었다. 세르비아와의 독립 분쟁으로 최근까지도 내전을 겪어온 코소보는 1인당 GDP가 300만원에 머무를 만큼 경제적, 의료적으로 낙후돼 있다. 이번 초청은 GOL에 참여하고 있는 이길우씨의 지원 요청에 의해 이뤄졌다.
대한수혈대체연구회가 주최하고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과 세종병원이 공동 주관하는 제7회 대한수혈대체연구회 학술대회가 오는 10월 13일(토)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별관 5층 향설대강당 및 별관 지하 1층 순의홀에서 개최된다. 이번 학술대회는 대한무수혈대체연구회 회원들이 그 동안의 연구 결과를 각 주제별로 발표하는 자리로,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김용익 교수 및 외과 최규성 교수 등을 포함해 총 15명의 교수가 좌장 및 연자로 참가하는 대규모 행사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무수혈 수술, 주산기 빈혈 및 대량 출혈의 관리, 무수혈 수술의 정책 등을 주제로 열띤 토론이 전개될 예정이다. 이번 학술대회 등록비는 개원의와 전문의는 4만원, 그 외에는 3만원이며 현장 등록비는 개원의와 전문의는 5만원, 그 외에는 4만원이다. 학술대회의 모든 참가자들에게 강의록, 중식, 주차권 등을 제공하며 대한의사협회에서 연수평점 4점을 인정한다. 사전 등록은 오는 10월 9일(화)까지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홈페이지(www.schmc.ac.kr/bucheon) 및 대한수혈대체연구회 학술대회 홈페이지(http://2012.krsta.org)에
제대혈관리법 시행령에 가족제대혈의 기준은 제외돼 부실관리가 우려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신의진 의원(새누리당)에 따르면, 제대혈관리법 시행령에서 제대혈 및 제대혈 제제에 대해 부적격 기준, 검사방법 및 판정기준을 제시했지만 가족제대혈은 예외로 하고 있다.가족제대혈이나 기증제대혈 모두 같은 세포를 다루는 것이지만, 가족제대혈은 여러 가지 검사를 면제를 해주고 있어 부실한 관리를 방치하고 있는 상황이다.제대혈은 동법 시행령 제8조1항의2에 의해 검사용 혈액을 따로 보관해야하나 가족제대혈의 경우 그렇지 않고 있다.제대혈이 제대로 쓰여지려면 유핵세포수 및 세포생존율이 필수이지만 부칙5에서는 ‘가족제대혈의 경우 총유핵세포 수 및 세포생존율 검사항목은 위탁자의 명시적동의가 있으면 그러지아니한다’고 돼 있어 채취한 제대혈이 제대로 기능을 할지 의문이라는 것. 부칙6은 기증제대혈의 경우 B형간염, C형간염, 거대세포바이러스 검사, 후천성면역결핍증검사(AIDS), 인체T림프영양성바이러스 검사, 매독검사를 하도록 하고있지만 가족제대혈은 검사를 면제할 수 있다.신 의원은 “이런 검사를 하지 않았을 경우, 훗날 제대혈을 쓰려고 해도 세포가 감염돼 쓰이지 못하는
제2병원, 미래성장성이 높은 질환, 중증질환 중심 특성화이대목동병원은 여성암 및 여성 연계 질환 중심 특성화로 차별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의료원장:서현숙)이 5일 이대목동병원 개원 19주년 기념식에서 1,000병상 이상의 대규모 첨단 국제 병원의 면모를 갖출 제2병원의 밑그림을 발표했다.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은 전문화 전략에 기반을 둔 재도약을 위한 구체적인 마스터 플랜을 10월 중 발표할 계획이다. 서현숙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장, 김광호 이대목동병원장, 백남선 이대여성암병원장을 비롯해 200여 명의 교직원이 참여한 가운데 열린 이날 개원 기념식에서 서현숙 의료원장은 “제2병원 건립은 이대목동병원 건립에 이은 또 하나의 병원 건립이라는 단순한 규모 확장 개념이 아니라 전문화를 통한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의 대전환으로 재도약의 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서현숙 의료원장이 이날 밝힌 바에 따르면 제2병원은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은 질환, 고난도 중증질환 중심으로 전문화하고, 이대목동병원은 여성암 분야를 비롯한 여성 연계 질환 중심으로 전문화할 계획이다. 서현숙 의료원장은 “제2병원 건립을 계기로 만들어질 이화의료원의 새로운 발전 전략은 전문화, 특성화를 근간으
병원에서 입원환자와 응급실 환자들에게 직접 약을 조제해주는 원내조제의 경우, 약사 1명 혼자서 하루에 몇 백건이나 되는 약을 조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이언주 의원(민주통합당 경기 광명을)이 보건복지부에서 제출받은 ‘의료기관종별 약사수 및 처방현황’에 따르면, 최근 6개월(2012.1~2012.6)간 전국 병원 및 종합병원 중에서 약사 1명이 하루에 200건 이상 조제를 하는 병원이 122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약사 1명이 하루도 쉬지 않고 매일 출근하였을 경우를 기준으로 한 수치로 하루에 약사 1명이 700건을 넘게 원내 조제하는 병원도 있었으며, 500건을 넘게 조제 하는 병원도 4개나 됐다.문제는 조제 1건당 최소한 1일치 3개의 봉지를 조제한다고 보았을 때 약사 한명이 하루도 쉬지 않고 매일 200건 이상을 조제한다는 것이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인데 결국 약사가 퇴근을 하거나 휴무일 때는 무자격자가 원내제조를 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이언주 의원은 “시간제 근무 약사 없이 약사가 단 1명인 종합병원도 110개나 되고 일부 병원에서 약사가 퇴근하거나 휴무시 보조원들이 조제를 하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 공공연한 비밀”이라면서
보건복지부 국정감사 첫날 참석한 보건복지위원들은 ‘전면 무상보육 위한 예산 증액한다’는 내용을 결의했다.오전에 이어 오후 개회에서도 정부의 무상보육 태도에 대한 질타가 이어졌는데 이목희 의원은 “무상보육 문제를 매듭짓고 가야한다. 이 자리에서 보건복지위원들의 전체 합의로 무상보육 예산을 확보한다고 결의하자”고 제안했다.이어 각 위원들과 복지부 장관이 계속해 견해 차이를 보이자 오제세 위원장은 “0-5세 까지 전면 무상보육 실시해야 한다는 것에 대해, 모든 정당이 무상보육 100% 전면 실시에 공통된 의견을 갖고 있다”며 “보건복지위는 전면 무상보육 위한 예산 증액을 결의한다”고 말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남윤인순 의원(민주통합당)은 환자보관용 처방전 발행 처벌규정 신설, 5대암 등록 암환자 의료비 지원, 건강보험 진료비 빅5병원 쏠림현상 심화,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 태부족 등에 대해 질의하며 당국 관계자들에게 개선을 촉구했다.건강보험 진료비 빅5병원 쏠림현상 심화남윤인순 의원은 상급종합병원 중 서울대병원, 연세대병원, 가톨릭대병원, 아산병원, 삼성병원을 칭하는 빅5 진료비 비중이 지난 2007년 33.1%에서 2011년 35%로 증가했다며 건강보험 총 진료비 중 상급종합병원 비중이 증가했으며 동네의원 비중은 감소했다고 밝혔다.이어 “질병과 관계없이 환자의 수도권 대형병원 쏠림 및 외래 증가와 동네의원 위축은 문제라며 의료기관간 기능재정립이 절실하다”고 밝혔다.또 전체의료기관 건보진료비 중 의원 비중이 지난 2007년 33.8%에서 2011년 29.3%로 감소했고 상급종합병원의 외래 진료비 비중은 지난 2007년 34.5%에서 2011년 37.0%로 지속 증가추세라고 지적하기도 했다.남윤인순 의원은 “외래환자는 의원, 입원환자는 병원, 중증환자는 대형병원 등으로 의료전달체계를 확립해야 하며, 동네의원의 역할이 축소되고 있는 점을 감안 동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