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s텔ErrorBased◎보험디비|II'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660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보건복지부는 지난 20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신의료기술의 결정(조정) 신청 관련 기결정 및 반려항목 통보’를 통해 ‘비수술적 척추 감압치료’와 ‘연속혈당측정검사’등의 급여화와 관련해 현행을 유지한다고 통보했다.복지부는 고려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경희대의과대학부속병원 등이 신청한 ‘비수술적 척추 감압치료’와 대한당뇨병학회가 신청한 ‘연속혈당측정검사’와 관련해 현행유지한다고 통보했다. 복지부는 ‘의료행위전문평가위원회’를 통해 ‘비수술적 척추 감압치료’와 관련, , 제2007-14호 -사112 간헐적 견인치료 해당 항목의 소정점수 산정을 들며 현행유지할 것을 회신했다.대한당뇨병학회가 조정신청한 ‘연속혈당측정검사’에 대해 복지부는 II 비급여 항목, 제3절 기능검사료 노-811 연속혈당측정검사를 들어 현행유지 할 것을 통보했다.또한, 서울아산병원은 신의료기술 결정신청한 ‘내시경초음파를 이용한 췌장낭성종양의 에탄올 세척술 및 파클리탁셀 주입술’에 대해 복지부는 ‘임상적 유효성 미확인 항목’이라며 “임상적 안전성, 유효성 관련한 근거자료가 미비하다”는 사유를 들어 반려했다.또한, 서울아산병원과 연세대의대세브란스병원, 분당서울대병원, 전북대병원 등의 신의료기술 결정신청
VGX인터내셔널이 제1형 당뇨 경구용 치료제로 개발중인 VGX-1027의 전임상시험을 끝내고 미국에서 임상 1상을 진행하기 위한 IND(임사시험 허가신청) 파일링을 마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VGX에 따르면, VGX-1027은 인슐린이 분비되는 베타세포가 손상돼 인슐린 결핍으로 생기는 제Ⅰ형 당뇨병 치료제로, 지난 해 전세계적 권위의 CRO(위탁계약연구기관) 업체인 미국의 Charles-River Laboratoryoes (찰스리버 연구소)에 전임상시험을 위탁, 최근 성공적으로 전임상 단계를 끝마친 것으로 알려졌다.VGX-1027의 전임상 시험에서는 24마리의 실험용 쥐와 비글견(beagle dog)의 유효성 시험 및 장·단기 독성 시험, 용량-반응 상관관계 및 반응지속시간을 검토해 투여 용량 결정 시험 등이 진행됐으며 VGX인터는 VGX 파마수티컬스와 협력해 이러한 데이터를 토대로 현재 임상 1상 시험진행을 위한 임상시험계획서를 작성 완료해 美 FDA에 제출했다.VGX 인터의 김병진 총괄부사장은 “VGX-1027의 임상 1상 시험을 위한 모든 준비단계가 차질 없이 완료됐으며, 내년 1/4분기 중으로 임상 1상을 진행 할 예정”이며 “일반적으로 전임상 단계에
권동득 화순전남대학교병원 비뇨기과 Dong-Deuk kwon, M.D. & Ph.D. Dept.of Urology, Chonnam University Hwasun Hospital. E-mail: Kwons@jnu.ac.kr 서론 임상적으로 전립선 비대증(benign prostatic hyperplasia)은 전립선 비대(benigh prostatic enlargement, BPE), 방광출구폐색(bladder outlet obstruction, BOO) 및 하부요로 증상 (LUTS)의 세 가지 구성요소가 다양하게 조합되어 나타나므로 임상형태가 매우 다양한 포괄적인 질환이므로, 전립선비대증을 명확히 정의하기 어렵다. 전립선의 크기, 방광출구폐색, 증상의 발현 정도가 임상적으로 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치료법을 선택하는 경우에도 증상뿐 아니라 여러 가지 요소들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증상이 있는 전립선비대증의 치료는 약물치료와 수술적 치료가 있으며 수술적 치료로는 경요도전립선절제술이 현재까지 대표적이다. &nb
한국 여성에서 인두유종 바이러스((Human Papilloma Virus: HPV) 감염은 20대여성과 미혼여성의 유병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이화여자대학교 의고대학 산부인과학교실 이사라 교수 연구진은 이같은 사실을 대한산부인과학회 제93차 학술대회에서 밝혔다.본 연구는 자궁경부암 원인이 인두요종 바이러스임이 밝혀져 HPV 백신이 개발되고, 국내에서의 사용이 가능해지면서 그 효용성을 예측하기 위해 실시됐다.연구진은 2006년 4월부터 2007년 5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종합검진센터를 방문한 여성 2118명 중, 성경험이 있으며 자궁경부세포진 검사와 인두유종바이러스 검사를 받은 1446명을 대상으로 했다.대상자의 의무기록에서 연령, 결혼여부, 폐경여부, 흡연력, 악성종양의 과거력 등을 조사했다. 자궁경부세포진 검사는 thinprep pap test를 이용, 인두유종 바이러스 검사는 Hybrid capture II system(Hoil-biomed Cor)을, 고위험군 HPV test에서 양성인 경우를 연구 대상으로 했다.연구결과 대상자인 1446명 중 고위험군 HPV 검사 양성은 117명으로 HPV 유병율은 8.1%였으며, 연령대별 HPV 유병율은 2
메드트로닉의 차세대 약물방출스텐트인 ‘엔데버 약물방출스텐트(Endeavor drug-eluting stent)’가 미국 FDA 자문위원회로부터 판매허가 권고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메드트록닉은 지난 10일 미국 FDA 자문위원회(advisory committee)가 관상동맥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자사의 엔데버 약물방출스텐트(Endeavor drug-eluting stent) 판매허가를 만장일치로 권고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엔데버 스텐트는 2004년 이후로는 처음으로 미국 약물방출스텐트 시장에 출시되는 첫번째 제품이 될 전망이다. 메드트로닉 심혈관사업부 스콧 워드(Scott Ward) 사장은 “패널회의 결과에 대해 매우 기쁘게 생각하며 엔데버 스텐트가 보여준 광범위한 임상연구 데이터를 세심하게 검토해 준 자문위원회에 감사한다”며 “FDA와 협력해 조속한 시일 내에 엔데버 스텐트를 미국 시장에 출시해 환자와 의사 모두가 차세대 테크놀로지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엔데버 약물방출스텐트는 현재 미국을 제외한 전세계 100개국 이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한편 메드트로닉은 자문위원회에서 2100명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노바티스가 개발한 새로운 계열의 항고혈압제 ‘라실레즈’(성분명 알리스키렌)가 최근 식약청으로부터 승인을 받았다고 한국노바티스(대표 안드린 오스왈드)가 밝혔다.심혈관 질환의 주요 위험원인인 고혈압은 전세계 사망원인 1위가 되고 있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10억 명의 고혈압 환자가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고혈압 환자의 70%는 여전히 혈압조절에 실패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복지부가 2005년 발표한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30살 이상 성인가운데 28%가 고혈압이 있었으며, 고혈압 환자 중 실제로 혈압이 조절되고 있는 비율은 27.2%에 불과했다. 라실레즈는 최초의 레닌억제제 (Direct Renin Inhibitor)계 항고혈압제로 고혈압의 원인이 되는 레닌계(Renin System) 활성화의 시작을 촉발시키는 효소인 레닌을 억제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 항고혈압제는 ARB계 (안지오텐신 수용체 억제제계) 개발 이후 10여년 만에 등장하는 새로운 계열의 항고혈압제다. 라실레즈는 2007년 3월 미국 FDA 승인을 받았으며 8월에는 EU에서 승인을 받았다. 이번에 국내에서도 승인을 받게 됨에 따라 내년 출시가 예상된다.라실레즈는 1일 1회 경구복용하며, 단
머크 세로노는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열린 유럽심장학회(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이하 ESC)에서 베타차단제 치료법이 심부전환자의 급사(Sudden death)율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발표했다.“심부전환자의 치료에 있어, 베타차단제(beta-blocker)와 안지오텐신 변화효소 억제제(ACE inhibitor)가 모두 중요한 약제이지만, 베타차단제(예. 비소플롤올)로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급사율을 더욱 감소시킵니다.”라고 폴란드의 임상국군병원(Clinical Military Hospital)의 포니코프스키 교수가 전했다.스웨덴의 룬드대학병원 빌렌하이머 교수는 경도내지 중등도의 심부전 환자에게 있어 사망률 또는 모든 원인에 의한 입원을 일차종결점으로 한 시험(CIBIS III, Cardiac Linsufficiency Bisoprolol Study III)을 통해 비소프롤올과 에날라프릴 치료의 효과는 대등하나, 비소프롤올이 급사를 감소시키는데 더욱 효과적(에날라프릴 군 대비 46%, p=0.049)이라고 밝혀 베타차단제의 효능을 입증했다. 또한, 초기 요법으로 고용량(Higher dose) 투여 시 그 효과가 더 뚜렷하다며,
10여 년 만에 처음으로 새로운 계열의 항고혈압제 ‘라실레즈’(성분명 알리스키렌)가 EU 승인을 받았다고 한국노바티스가 밝혔다. 유럽의 여러 대규모 국가 성인의 절반에 가까운 인구가 고혈압 환자이며, 고혈압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보건문제이다.유럽 집행 위원회는 7800명이상의 환자가 참여한 44건의 임상연구에서 나온 자료를 바탕으로 단독 요법 및 다른 항고혈압제와의 병용 요법 모두에 라실레즈 사용을 승인했다. 이로써 27개 EU 모든 국가 및 아이슬랜드, 노르웨이에서 라실레즈가 판매될 예정이다. 독일 에어랑겐 뉘렘버그(Erlangen-Nuremberg) 의과 대학의 Roland Schmiede 교수는 “라실레즈는 고혈압 원인이 되는 효소 레닌을 타깃으로 직접 작용하는 새로운 계열의 혁신적인 치료제이다”라며 “라실레즈는 단독 요법과 병행 요법 모두 혈압을 효율적으로 조절 가능하며 기존 약물로도 목표혈압 조절이 되지 않는 환자에게 투여 가능하다”라고 덧붙였다. 라실레즈는 최초의 레닌억제제(Direct Renin Inhibitor)계 항고혈압제로, 고혈압의 원인이 되는 레닌계(Renin System) 활성화의 시작을 촉발시키는 효소인 레닌을 억제시키는
VGX 인터내셔널(대표 종 조셉 김, 이하 VGX 인터) 이 기존 제약업계의 고정관념과 틀을 깰수 있는 과감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신약개발 전문 제약회사인 VGX인터는 지난 1976년 주식회사 동염으로 창립하여 꾸준히 자리매김을 해 오다가 2005년 말 VGX파마수티컬스가 최대 주주가 된 이후, 신약개발 전문제약회사로 대대적인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지금까지가 신약개발과 관련된 각종 사업으로 꾸준히 제약회사로의 체제를 갖추어 온 시기였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제약업 대열에 설 시기가 도래했다는 것.VGX인터가 지속적으로 추진중인 신약개발 이외에도 완제의약품 생산과 마케팅, API(핵심원료의약품) 생산 및 공급, cGMP컨설팅 사업, CMO(Contract Manufacturing Organization: 의약품위탁생산시설)사업 등 다각화된 신사업 영역을 통해 사업범위를 확장하고 있다.지금까지 제약업계의 사업영역이 R&D 및 생산, 마케팅 활동 등의 일대일 산출형태라면 VGX인터의 사업 범위는 제약업과 바이오 서비스업, 그리고 컨설팅 사업까지 제약산업 인프라 전반을 관여하는 종합형 제약산업의 형태라 할 수 있다. VGX인터는 이러한 5가지 사업 구조를 통해 제약업
한국노바티스(대표: 안드린 오스왈드)와 한국화이자제약(대표: 아멧 괵선)은 노바티스의 항고혈압제 ‘엑스포지’ (성분: 베실산 암로디핀 + 발사르탄)에 대해 공동판매(co-promotion) 계약을 8월30일 자로 체결했다고 오늘 양사가 밝혔다. 이번 한국노바티스와 한국화이자제약이 공동판매 계약을 체결한 엑스포지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처방 되는 2가지 항고혈압제인 디오반(성분: 발사르탄)과 노바스크(성분: 베실산 암로디핀)가 한 알에 들어 있는 항고혈압 복합제로 고혈압 환자를 위한 매우 강력하고 효과적인 새로운 항고혈압제라는 점에서 관심을 끌고 있다. 현재 전세계 성인 4명중 1명이 고혈압환자로 전세계적으로 약 10억 명이 고혈압환자로 추산되고 있다. 국내에도 매년 고혈압환자수가 증가 추세에 있다.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30세 이상 남자의 고혈압 유병률은 30.2%, 30세 이상 여자는 25.6%로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보고 되었다.고혈압은 적절하게 조절되지 않으면 동맥, 심장, 신장, 뇌 등 주요 장기에 손상을 주며 뇌졸중, 심근경색, 심부전 및 조기사망 등을 초래할 수 있다. 현재 전세계 고혈압 환자 10명 중 7명이 권장 목표혈압 (140/
이번 주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제 11차 유럽신경학회 총회(the 11th Congress of the European Federation of Neurological Societies (EFNS))는 유럽지역의 1,016명의 파킨슨병 환자가 참여한 PRODEST(PROfile of DEpressive SympToms in Parkinson’s Disease) 연구에서 파킨슨병과 관련된 고유의 우울증 특성과 그 치료법에 대한 예비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파킨슨병과 관련된 우울 증세를 매우 많이 겪고 있을 뿐 아니라 항우울증 치료제를 복용하고 있는 환자들(N=211)의 절반에 가까운(44.1%) 환자들이 우울증 증세를 계속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탈리아 나폴리-페데리코II 대학(University of Napoli-Federico II) 신경과학과 교수이자 PRODEST 연구의 주요 연구자인 파올로 배론(Paolo Barone) 교수는 “우울 증상은 파킨슨병 환자들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주며, 종종 파킨슨병에서 잘 알려진 운동 증상에 상응하는 영향을 준다”며, “이는 많은 우울증 증상이 실제 우울 증후군이라기 보다 파킨슨병으로 인해 나타남을
한국노바티스 (대표 안드린 오스왈드)는 최근 의료진을 위해 아시아인 대상 최초의 대규모 임상인 지케이 심장연구 (JIKEI Heart Study)에 관한 지케이 인포사이트(http://jikei.iplustv.co.kr/ 또는 www.novamd.co.kr)를 개설하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고 밝혔다.지케이 심장연구 (JIKEI Heart Study)는 3,000여 명의 일본환자를 대상으로 한 최초의 ARB 계 항고혈압제 관련 대규모 임상으로, 노바티스의 ARB계 고혈압치료제 디오반을 기존치료법에 병용투여 할 경우, 뇌졸중 발생률40% 감소 등심혈관계질환 발생률이 39%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최종결과는 란셋지4월호에 게재된 바 있다. 지케이 심장연구 인포사이트는 의료진들에게 이러한 임상연구와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전달할 목적으로 개설되었다.홈페이지는 시즌 I, II, III로 나누어 지케이 심장연구의 주요 결과와 임상적 의의 등 주요 정보를 제공하고, 임상에 대한 좌담회, 해외자료, 주요 적용사례 등 관련 자료들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할 예정이다. 초기화면 하단의 “Reference” 메뉴를 통해 더 자세한 정보를 얻기 위한 자료요
양극성 장애, 정신분열병 환자가 심혈관 질환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양극성 장애와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심혈관 질환(CVD)의 위험이 유사하게 상승한다는 보고가 임상정신학 저널의 6월 이슈로 발표됐다고 7월 30일 뉴욕 로이터 통신 건강정보란에서 밝혔다. 비록 정신분열병보다 양극성 장애에서 신체적 건강 정보의 연구가 덜 되었으나 몇몇 연구에서는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일반적으로 대사증후군의 위험군인 비만, 고혈압, 당뇨)의 발생이 양극성 장애 환자에서 주목할 정도로 높게 나타났다고 아스티리드 브레이트 벌크네(Dr. Astrid Brate Birkenaes) 교수가 로이터 통신을 통해 전했다. 노르웨이 오슬로에 위치한 우레발 대학병원(Ulleval University Hospital, Oslo, Norway)의 벌크네 교수와 연구진은 2000년부터 2001년 사이 오슬로 건강 연구회을 통해 모인 같은 지역권의 사회문화적 양식이 동일한 일반적인 인구집단으로부터 정신분열병과 양극성 장애로 진단받은 273명의 환자의 CVD 위험인자를 비교했다. CVD위험인자는 정신분열병 환자와 양극성 장애 환자에서 일반적으로 비슷했으나 정신분열병 환자 중 여성은 양극성 장애 여성보
라실레즈(성분명 알리스키렌)와 디오반 (성분명 발사르탄)을 병용 투여한 고혈압 환자들이 라실레즈, 디오반을 단독 투여한 환자군에 비해 강력한 혈압강하 효과를 보였다는 연구 결과가 저명한 의학 저널인 란셋지에 발표됐다. 올 초 미국 심장 학회에서도 발표된 바 있는 본 연구는 병용요법이 단독요법보다 더욱 뛰어난 혈압강하 효과를 보인 것은 물론 내약성도 위약과 유사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라실레즈ㆍ디오반 병용 요법을 받은 환자군에서 더 많은 비율이 목표혈압에 도달했는데, 병용요법을 받은 환자 중 거의 절반에 가까운 비율(49.3%)이 치료 목표 권장 수치인 140/90mmHg에 도달했다. 이 결과는 라실레즈 또는 디오반 단독요법을 받은 환자군(라실레즈 37.4%, 디오반 33.8%)이 목표 혈압에 도달한 비율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이다. 국내 최초로 라실레즈의 글로벌 신약 등록을 위한 다국가 제3상 임상시험(Study 2308)의 총괄책임자(PI, Principal Investigator)로 선정, 라실레즈 임상시험을 주도한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오병희 교수는 “많은 고혈압 합병증의 원인이 되고 있는 레닌 안지오텐신 시스템이 활성화되는 시작부터 직접적으로 레닌
사노피-아벤티스 코리아(대표 제즈 몰딩)는 크기가 작아지고 필름 코팅된 새로운 제형의 아프로벨(성분명 이베사탄) 코아프로벨 (성분명 이베사탄 / 히드로클로로치아짓 복합제) 을 7월부터 출시한다고 밝혔다. 향후, 각 포장 단위 별(아프로벨/코아프로벨 30정, 100정, 300정)로 새로운 제형으로 변경될 예정이다. 새로운 제형의 아프로벨/코아프로벨은 기존 제형에서 크기가 작아지고 필름 코팅이 됨으로써, 환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복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심혈관계 및 혈전증 치료제 사업부의 전준수 이사는 “ 한층 업그레이드된 아프로벨/코아프로벨의 새로운 제형의 출시로 환자들의 복용 순응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환자의 약물 순응도를 높임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고혈압 환자의 목표 혈압 관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30세 이상의 국내 고혈압 환자는 770만 명에 이르며, 이는 30세 이상 인구 10명 중 약 3명이 고혈압을 앓고 있을 정도로 흔한 질환이다(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기준).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고혈압 환자 중 약 65%이상은 여전히 목표 혈압치 도달에 실패하고 있다. 고혈압을 적절히 관리하지 않을
노바티스는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처방되는 2가지 항고혈압제의 복합제형인 ‘엑스포지’(성분명 발사르탄+베실산 암로디핀)가 고혈압환자를 위한 매우 효과적인 새로운 치료제로 미국 FDA에서 최근 최종승인을 받아 곧 발매를 앞두고 있다고 밝혔다.엑스포지는 고혈압치료에서 가장 흔하게 처방되는 2가지 약물인 ‘디오반’(ARB계)과 ‘노바스크’(CCB계)를 알약 하나로 만들어 하루 한번 알약 하나를 복용하는 편리성을 제공하는 최초의 항고혈압제 복합제형이다.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심장내과 백상홍 교수는 “고혈압은 뇌, 심혈관질환의 주요 위험인자로 전세계적으로 심각한 공중보건 문제이다. 혈압의 치료 목표치 달성을 위해 많은 고혈압환자는 2가지 이상의 약물을 복용한다. 복합제형인 엑스포지는 우수한 혈압강하 효과와 함께, 단일정제이므로 환자의 복약을 간편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고 말했다.엑스포지는 5000명 이상의 고혈압 환자가 참여한 대규모 임상결과를 근거로 미국 FDA로부터 2006년 12월 잠정승인 받은 후, 마침내 이번에 최종승인을 받았다. 2건의 위약대조 임상시험에서 엑스포지 투여 환자 10명 중 최대 9명이 목표혈압(이완기 혈압 90 mmHg 이하, 또는 치료시작
허승재 성균관의대 교수(삼성서울병원 방사선종양학과)가 15일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개최된 제33차 대한암학회 학술대회에서 우수연구자상을 수상했다.허 교수는 ‘자궁경부암 주6회 방사선치료 임상연구(Six Fractions per Week of External Beam Radiotherapy and High-dose-rate Brachytherapy for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A Phase I/II Study)’에 대한 연구업적을 인정받아 제4회 우수연구자상에 선정됐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고통스러운 자가면역 질환으로 영국에서의 환자수는 40만 명이고 아주 심한 상태의 환자는 4000명 정도라고 한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환자의 면역계가 자신의 관절을 외부의 침입자로 인식하여 공격하기 때문에 발생하며 연골과 뼈가 무르거나 손상되게 된다. 현재 류마티스 관절염을 완치시키는 약물은 없고 증상을 완화시키는 다양한 약물이 사용되고 있다. 골관절염(osteroarthritis)에 사용되는 COX-II 억제제와 같은 항염증 약물이나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s)와 스테로이드 약물이 통증을 완화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류마티스 관절염에 DMARDs(disease modifying anti-rheumatic drugs)약물들의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DMARDs 약물들은 면역계를 표적으로 해서 손상된 관절에 대한 면역 공격을 늦추게 한다. 이러한 부류의 새로운 생물학적 약물인 TNF-alpha 저해제인 엔브렐(Enbrel)과 레미케이드(Remicade)이다. 이들 약물들은 현재 류마티스 관절염의 경과를 늦추거나 멈추는 데 가장 효과적이지만 환자들의 요구 조건을 완전히 만족시키진 못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뛰어넘기 위한
글락소 스미스클라인(이하 GSK)은 IB 혹은 II기의 비소세포폐암(NSCLC) MAGE-A3 양성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약물인 MAGE-A3 항원 특이적 암 면역치료요법(ASCI) 의 2상 임상시험 최종 결과를 발표했다. 이 데이터는 시카고에서 열린 2007 미국임상종약학회 연례회의에서 발표됐다. 최종 연구분석 결과, MAGE-A3 ASCI로 치료받은 환자들이 위약군에 비해 수술 후 암 재발의 상대적인 위험이 2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0.107). 비록 이 연구는 통계적 유의성을 보일 만큼의 파워는 없지만, 고무적이며, 지속적인 MAGE-A3 ASCI 임상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미국 콜로라도 오로라에 위치한 콜로라도 대학교 암센터 학장이자 종양학 교수인 폴 A 번 박사는 “이번 연구의 최종 결과는 지난 해 ASCO 2006에서 발표되었던 긍정적인 중간 결과를 확인해 주고 있으며, 이 혁신적인 암 면역치료요법의 확대 연구를 지지하고 있다”며 “이 접근은 잠재적으로 획기적인 암치료 패러다임의 변화를 나타냅니다. 저는 단지 우리가 표면을 조금 건드린 것이라고 생각하며, 3상 임상시험의 결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이런 고무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그림으로 보는 임상견관절학 역 자 : 유총일 출판사 : 메디안북 정 가 : 120,000원 페이지 : 396 발행일 : 2007 - 차 례 -I. 견관절 및 견갑지대의 기초견관절 및 견갑지대의기초II. 진단법 총론견관절.견갑지대의 진찰과 평가보조진단법III. 치료법 총론 - 수술요법마취법도달법관절경약물요법재활IV. 질환,외상견관절 주위의 선천성 기형상완골 근위부 골절견갑골의 질환과 외상쇄골의 질환과 외상견봉쇄골관절 질환흉쇄관절 질환견관절 불안정증견관절의 변성 질환견관절염회전근개 장애상방 관절순 장애와 상완이두장건근육의 장애말초신경장애스포츠 장애감염종양소아의 골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