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83,568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올해도 입시에 시달리는 수험생들을 위해 ‘비타500’이 응원한다. 광동제약은 인문고, 실업고, 특목고 등 전국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3 수험생들 을 위한 건강 프로모션 “건강 비타500, 대박 수능 500” 캠페인을 10월 25일까지 실시한다고 5일 밝혔다.광동제약에 따르면, 이번 행사는 고3 수험생 뿐 아니라 학부모, 담임선생님, 선배, 후배 등 수험생과 관련된 모든 사람이 참여할 수 있으며 비타500 홈페이지(www.vita500.com)에 격려 메시지와 학교, 선생님 이름을 남겨주면 500개 학교를 선정하여 ‘비타500’ 을 고3수험생 전원에게 줄 수 있도록 각 학교에 무료로 배달해 준다.광동제약 관계자는 “이번 행사는 입시준비로 인해 쌓이는 피로와 스트레스 등 고3병에 시달리는 수험생들을 위로하고 그들에게 부족하기 쉬운 비타민C를 보충해 주어 수능시험을 잘 치를 수 있도록 응원하기 위한 행사”라고 말했다.한편, 광동제약은 고3 수험생들을 위해 해마다 진행하는 이 행사는 2008년에도 전국 500개 고등학교가 비타500을 선물로 받고, 광고모델인 ‘원더걸스’가 신청수가 가장 많았던 부산동고를 방문해 팬사인회와 응원행사를 가진 바 있다.
주식회사 LG생명과학(사장: 김인철)은 신종플루 진단시 음성(비질환자) 판정이 나올수 있는 오류를 획기적으로 개선한 ‘신종 인플루엔자 실시간 유전자 증폭 분석 키트 ’를 개발해 전국 병원 및 임상검사센터에 공급한다고 3일 밝혔다.금번에 개발된 분석 키트는 전국 11개 대학병원 및 임상검사센터에서 성능 확인을 위한 임상평가를 실시했으며, 우수한 성능을 인정받아 임상평가를 실시한 모든 병원 및 임상검사센터에 납품이 확정돼 공급중에 있다.LG생명과학에 따르면, 이 제품은 신종플루 질환자가 실험상의 오류로 음성(비질환자)으로 판정받게 되는 오류를 개선하기 위해 Human Rnase P(인간 알앤에이즈피)를 동시에 검사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virus) 에 대한 음성 결과가 과정의 오류인지 혹은 실제 비감염자인지를 파악 할 수 있게 하여 검사 신뢰도를 높힌것이다. 또한 이 진단 키트는 현재 시판 제품 중 유일하게 한 튜브 내에서 인플루엔자 에이(Influenza A)와 신종 플루(New Influenza A; H1N1) 그리고 Human Rnase P(인간 알앤에이즈피) 등 3개의 타겟(target) 유전자를 동시에 검출할 수 있어 검사자에게 편리하
복지부 직원들의 외부강연 실적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보다 40.6배가 증가했으며, 심지어는 식약청 강의에서 강연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5일 보건복지가족부 국정감사에서 한나라당 손숙미 의원은 보건복지위원회 피감기관들의 ‘08~’09년 직원 외부강연 실적을 분석한 결과, 보건복지가족부 직원들이 2009년 9월까지 3억1천9백만원의 외부강연료를 신고했다고 밝혔다. 손숙미 의원실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복지부의 외부강의건수는 313건으로 건당 1,020,584원꼴이었다. 또한, 최근 2년간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외부 강연 실적이 총 2천여 건으로 강연비도 4억 6500여 만원에 달하고 2009년 6월까지 787건 1억6천6백만원의 외부강의수입을 신고했다.복지부의 경우, 2008년 12건에 788만원의 외부강의 수입료를 신고했다가 올해는 무려 40.6배가 늘어난 3억1천9백만원을 신고, 이는 대통령 지시사항으로 공무원행동강령이 바뀌었기 때문이다. 강령에 따르면,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요청시 신고를 제외하고 있는데 이는 국가기관끼리는 강의료를 받지 않는다. 그러나 복지부 공무원들은 식약청에 강의를 나가서도 강의료를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식약청의 ‘08~’09.6월까지 외
공공의료기관인 보건소의 고가약처방이 일반병원ㆍ의원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한나라당 손숙미 의원은 5일, 보건복지가족부 국정감사에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고가약 처방비중 및 약품비 현황을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특정 고가약의 경우 점유율이 98.5%에 달하는 등 지난해 4분기 상위 20위 고가약 약품비가 923억원을 넘고 있어 특정 고가약 편중문제가 심각한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손숙미 의원은 “공공의료기관인 보건소의 고가약처방이 일반병원․의원보다 높았다”고 지적했다.이어 손숙미 의원은 “복지부가 값싼 약을 처방한 의사에 대해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안도 강구하고 있다고 하는데, 이보다 우선해 보건소 등의 고가약 처방에 대해 원인을 분석해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며 대책마련을 촉구했다.한편, 고가약이란 동일성분ㆍ동일제형ㆍ동일함량으로 등재된 품목이 3품목 이상이고, 그 약품간에 가격차이가 있는 성분의 약품 중 최고가약을 의미한다. 우리나라는 의약품비를 다른 나라에 비해 과다 지출하고 있고, 건강보험 진료비 중 의약품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다.
국내 복지예산이 역대 최고 수준이라는 정부의 발표는 거짓말이며 오히려 GDP대비 사회복지 지출은 꼴지 수준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국회 보건복지가족위원회 전현희 의원은 정부가 복지지출 비중을 역대 최고수준이라고 홍보하는 것과 관련하여 오히려 보건복지가족부 예산이 줄어들었다며 실질적으로 더 많은 복지서비스를 국민에게 제공할 수 있는 예산을 편성할 것을 촉구했다. 전 의웡은 “정부는 복지지출 비중이 연일 최고수준이라고 홍보하고 있으나, 복지지출이 총지출에 비해 증가한 것은 복지지출 자체가 증가한 것이 아니라, 총지출 즉 모수가 줄었기 때문인 것”이라고 주장했다.또한 실제 전 의원 측이 국회예산정책처 예산자료에서 발췌한 자료에 따르면 복지지출이 증가한 비율의 측면에서 지난 3년간 복지예산 평균 증가율이 10%대였지만, 2010년 예산안은 본예산 대비해도 8.6%에 불과하고, 2009년 추경예산을 대비한 결과, 0.6% 증가에 그치고 있었다.전 의원은 아울러 “복지예산 뿐만 아니라 보건복지가족부의 일반회계 예산은 오히려 0.8% 감소하였다. 일반회계 예산이 줄어든 것은 전혀 유례가 없었던 문제”이며, 정부가 얼마나 부풀리기 홍보를 하고 있는 지를 여실히 증명하는 것이
타미플루 부작용이 국내에서 현재까지 총 149건의 부작용 사례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에서 4,202건의 중대한 유해사례를 포함한 15,887건의 유해사례가 보고된 가운데, 국내에서도 현재까지 총 99명에서 149건의 타미플루 관련 부작용 사례가 보고된 것. 이같은 사실은 식품의약품안전청이 국정감사를 위해 한나라당 심재철의원에게 제출한 ‘타미플루 관련 부작용 발생현황’자료를 통해 밝혀졌다. 타미플루 제조사인 로슈사의 자체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타미플루를 복용한 환자로부터 그동안 총 4,202건의 중대한 유해사례를 포함한 15,887건의 유해사례가 이미 보고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우리나라에서도 지난 ‘08.6월부터 금년 9월말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총 99명에서 149건의 타미플루 관련 부작용 사례가 보고된 것으로 밝혀졌다. 주로 보고된 부작용은 메스꺼움이 21건(14.1%)으로 가장 많았고, 구토와 설사가 각각 18건(12.1%)이었으며, 두통 15건(10.1%), 무기력증이 10건(6.7%)의 순으로 많이 보고된 것으로 나타났다. 식약청이 부작용 보고 활성화를 위하여 금년 7월부터 전국 15개 주요병원과 함께 운영중인 지역약물감시센터로부터
지난해 생산실적이 가장 많은 50개 의약품을 분석한 결과, 출고가와 유통가와의 가격차는 평균가 기준으로 18.4배까지 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사실은 한나라당 손숙미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비급여의약품 2008년도 생산실적 50개 의약품’을 분석한 결과이다.손숙미 의원실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비급여의약품 중 2008년 생산실적이 가장 많은 50개 의약품의 가격을 분석한 결과, 상위 50개 의약품 중 출고가와 유통가와의 가격차는 평균가 기준으로 18.4배까지 나타났다.가다실프리필드시린지의 경우, 출고가는 5,396원이나 제약사에서 도매상으로 유통되는 금액은 평균 89,673원에 거래됐고 도매상이 요양기간에 납품하는 금액은 평균가는 99,012원으로 최대 18.4배차가 발생했다.박씨그리프주(인플루엔자 분할 백신)의 경우, 출고가는 384원이지만 도매상에서 요양기관으로 납품되는 평균 가격은 6,600원으로 17.2배차이가 났다.또한, 센트룸100정의 경우 출고가는 5,145원이지만 제약회사에서 도매상으로 넘기는 평균가는 25,896원으로 5.03배차가 났지만, 도매상이 요양기관으로 넘기는 가격은 평균 25,675원으로 4.99배
“의료자원의 지역 간 불균형문제를 해소하는 정책이 마련돼 있지 않다”양승조 의원(민주당)은 5일 보건복지가족부 국정감사에서 이같이 지적했다.국민건강보험공단이 양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방환자(서울·인천·경기를 제외한 지역)의 수도권 의료기관 이용 현황은 2008년 환자수 225만3960명, 진료비 1조 6836억원이다.지역별로는 충남, 강원, 경북, 충북 순서로 수도권 의료를 많이 이용했다.특히 충남은 2008년 36만5678명이 수도권 의료기관을 찾아, 2,809억원의 건강보험 급여비가 지출됐다.원정진료 전체 내원환자(225만3960명) 중 암환자(11만5928명, 5.1%) 진료비가 전체 진료비(1조6836억원) 중 28%(4709억원)을 차지했다.또한 원정진료 보험급여비가 많은 상위 10개 질병은 간암(603억원), 폐암(489억원), 위암(485억원), 유방암(338억원), 무릎관절증(308억원), 결장암(279억원) 순이었다.양의원은 “수도권 원정진료 현상은 수도권 의료자원 편중에서 기인한 바가 큰 것으로 보인다”며 “2008년 보건의료자원조사 결과보고서(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의료 인력의 경우, 의사 46.4%, 치과의사 50.5%,
오는 11월로 예정된 신종플루 백신 우선접종과 관련, 대상자 선정과 백신의 안정성을 담보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민주당 전현희 의원은 5일 보건복지가족부 국정감상에 앞서 정부가 11월부터 예정하고 있는 신종인플루엔자 백신 우선접종에 문제가 있다며, 철저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전현희 의원은 “정부가 계획하고 있는 신종인플루엔자 백신 우선접종 대상자를 다른 국가별 우선대상자와 비교한 결과 문제가 있다”며, “우리나라 우선대상자에는 일본이나 미국에서 고려하고 있는 ‘6개월 내지 1세 미만의 아이들을 돌보는 부모나 보육 관련 종사자’가 누락되어 있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즉, 정부는 접종의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 접종대상자와 상시 접촉하거나 접촉이 많은 대상자에 대한 우선 접종 실시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전현희 의원은 안전성과 관련하여서는 면역증강제가 포함된 백신이 기존 방식에 비해 부작용 발생 빈도가 높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백신의 물량확보도 중요하지만 제품의 안전성 검증과 안전한 접종 관리 그리고 부작용 보고 체계보강 등 강력한 안전대책이 수반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보건복지가족부가 전현희 의원에게 제출한 ‘신종인플루엔자 소아용 백신
국내 심정지 환자의 구급차 이송시 적절한 심폐소생술이 불가능한 수준이며, 소아의 경우 약 89%가 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사실은 한나라당 이애주 의원이 국정감사를 위해 보건복지가족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로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발표된 보건복지가족부의 연구자료에 따르면(‘2008년 병원기반 심뇌혈관질환 등록감시체계’) 국내 심정지 환자의 구급차 이송 중 심폐소생술은 71.5%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애주 의원은 실제로 이동 중엔 적절한 심폐소생술(CPR)이 불가능 하다고 지적했다.보건복지부의 연구자료에 의하면 국내 심정지 환자 중 2.4%만이 생존하며 경남 0.3%, 서울 4.6%로 지역간 생존율 격차도 15배에 이르고 있었다. 이는 미국의 8.4%, 일본의 10.2%에 비해 크게 뒤떨어지는 수치이다.이애주 의원은 이렇게 생존율이 저조한 이유로 ▲1.4%의 매우 낮은 일반인 심폐소생술 ▲평균 7.8분의 느린 구급차 반응시간과 구급단계에서의 부적절한 구급대의 심폐소생술 ▲병원단계의 낮은 심폐소생술 제공율(구급차에서 소생술 제공환자 중 48%만 응급실에서 연속해서 소생술제공) 등을 꼽았다.흔들리는
선택진료로 인해 나타나는 부당징수의 문제는 결국 구조적인 문제로 환자의 선택권은 없고, 병원의 선택권만이 존재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또한, 서울대병원의 경우 선택진료에 관한 규칙에 따라 의사의 80%를 선택의사로 규정하고 있으나, 일부과에서는 모든 의사가 선택의사로 환자의 선택권이 원천적으로 봉쇄되고 있었다. 이같은 사실은 한나라당 원희목 의원이 보건복지가족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이다. 최근 공정위는 2005년부터 지난해 6월까지 3년 6개월 동안 서울대병원을 비롯한 8개 대형 종합병원이 환자로부터 3310억원의 선택진료비를 부당하게 징수해서 30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고 발표했다. 원희목 의원은 “공정위의 발표대로라면 8개 병원은 1년에 약 946억원 정도의 선택진료비를 부당하게 징수한 것이다. 이 금액은 8개 병원 2008년도 한 해 수입액 2867억원의 33%에 해당하는 금액”이라고 밝혔다. 또한 원희목 의원이 복지부로부토 받은 자료를 분석,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서울대학교병원의 경우 70%가 선택진료율을 보였다. 지난 4월6일부터 10일까지 5일간 신규로 입원한 환자(953명) 중 69%(658명), 하루 동안
곽정숙 의원은 농촌 노인들은 도시 노인들과 비교해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차별을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민주노동당 곽정숙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시군구별 노인장기요양보험 인정률에 따르면, 인정률이 가장 낮은 지역은 경남 고성과 강원 정선 등으로 34%였다. 이에 반해 인정률이 가장 높은 곳은 서울시 은평구와 경기도 오산으로 65%를 보여 농촌의 두 배로 나타났다.등급 인정률이란, 노인장기요양보험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1등급에서 3등급의 등급을 받아야 하는데, 이 보험 서비스를 받기 위해 신청을 한 사람 중 3등급이상의 등급을 받은 사람의 비율을 말한다.올해 7월말 현재, 노인장기요양보험을 신청한 사람은 모두 51만3,749명으로, 이 중 26만8,071명이 등급 인정을 받아 그 비율이 52%였다. 곽정숙 의원은 “하지만, 농촌 지역의 경우 30% 대의 인정률을 보였고, 도시 지역의 경우 60% 대의 인정률을 보이는 현격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면서 “이와 관련해 보건복지가족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인정률 차이가 나는 이유에 대해 명쾌한 해명을 내 놓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다만, 두 기관은 농촌지역은 건강한 노인들이 노인장기요양보험을 신청해
3D로 불리며 전공의들이 수련을 기피하는 진료과의 인력수급이 여전히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애주 의원(한나라당)이 보건복지가족부로부터 ‘최근 5년간 전문과목별 전공의 수련 포기율’ 자료를 제출받아 분석한 결과, 비인기 진료과 기피현상은 계속됐다.전공의 수련 포기율이 가장 높은 진료과는 28.6%를 기록한 예방의학과(임용 13명)였다. 이어 병리과(임용 30명) 19.6%, 핵의학과(임용 12명) 16.7%, 흉부외과(임용 41명) 14.7%, 외과(임용 237명) 14.4%, 소아청소년과(임용 235명) 12.3%, 신경외과(임용 102명) 11.6%, 산부인과(임용 210명) 11.3%, 방사선종양학과(임용 16명) 10%였다.이비인후과(임용 129명) 9.8%, 응급의학과(임용 88명) 9.5%, 진단검사의학과(임용 25명) 7.8%, 비뇨기과(임용 94명) 7.1%, 내과(임용 703명) 6%, 정형외과(임용 235명) 4.3%, 신경과(임용 100명)·마취통증의학과(임용 226명) 4%, 안과(임용 123명)·성형외과(임용 90명) 3.3%, 정신과(임용 155명) 3.2%, 재활의학과(임용115명) 2.6%, 가정의학과(임용 378명) 2
의료급여수급권자의 의료급여증 도용이 해마다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한나라당 손숙미 의원(보건복지가족위/여성위)은 보건복지가족부로부터 제출받은 수급권자의 의료급여증 도용현황을 분석, 발표했다. 발표된 내용에 따르면, 2005년부터 올해 8월까지 전국적으로 178명이 도용, 6억3,000여만원의 피해가 발생했다. 이는 도용 1인당 354만원에 해당하는 것으로, 건강보험 도용 건당 78만원의 4.5배 수준이다.의료급여법시행규칙 제4조는 수급권자가 의료급여를 신청하는 때에는 의료급여증 또는 의료급여증명서와 본인을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명서나 서류(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를 의료급여기관에 제시하도록 하고 있다.또한, 의료급여기관은 본인 여부를 확인하도록 의무화하고 있으며, 반면, 일반 건강보험증의 경우는 의료기관 등의 확인의무가 없는 상황이다.손숙미 의원은 “확인의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료급여증 도용이 발생하는 것은 의료급여수급권자의 대여나 수급권자의 정보를 알고 있는 사람들에 의해 계획적으로 이뤄지고 있음을 반증한다고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실제로 의료급여증을 도용한 대표적인 사례를 보면 ▲친척의 의료급여증을 몰래 도용하거나 대여받아 사용
지난 2008년 우리나라 국민을 상대로 의료행위에 참여한 보건의료인 7명 중 1명은 보수교육을 전혀 받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이애주 의원(한나라당)이 보건복지가족부로부터 '2008년도 보건의료단체 보수교육 이수 현황'을 제출받아 분석한 결과다.전체 보건의료인 보수교육 대상자 33만2901명 중 15%에 달하는 5만526명이 보수교육을 받지 않았다. 면허자 7명 중 1명은 필수적으로 받아야 하는 신의료기술을 습득하지 않은 셈이다. 직종별 현황을 살펴보면, 의사의 경우 대상자 7만5700명 중 12.3%에 해당하는 9379명이 보수교육을 받지 않았다. 이어 치과의사 1만6598명 중 468명(2.8%), 한의사 1만3891명 중 3085명(22.2%), 간호사 11만5235명 중 3252명(2.8%), 조산사 479명 중 20명(4.1%), 약사 3만245명 중 176명(0.58%), 한약사 841명 중 57명(6.7%)이 보수교육에 참여하지 않았다. 한편, 보수교육 대상자인 의료기사 7만9912명 중 미이수자는 3만4089명으로 42.6%에 달했다. 의료기사의 절반가량이 보수교육조차 받지 않았다. 직종별 현황을 살펴보면, 임상병리사 1만1222명 중
사노피-아벤티스는 자사의 인슐린 란투스(Lantus: insulin glargine)에 대해 발암성 관련 여부를 밝히는 연구를 착수한다고 발표했다. 금년 여름 Diabetologia 학술지에 4개 연구보문 중 3개에서 란투스 사용으로 유방암 발생위험이 증가된다는 사실이 발표되면서 문제가 제기된 것이다. 사노피측은 이러한 보고에 대해 동의하지 않았고 유명 국제전문가기구에서 발표한 성명에서도 란투스의 발암성 관련보고는 결론지을 수 없고 일관성이 없다고 평가했다. 유럽 의약청에서도 지금까지 자료에서 발암성 우려는 제공되지 않고 있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사노피 측은 전 세계 지도급 과학자들 중에 결론지을 증거 제시가 어렵다는 합의가 있어 이 문제에 대한 심층 탐색을 모색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회사는 인간 인슐린과 란투스(인슐린 그라진)에 관해 첨단 전임상 및 임상 프로그램을 아우르는 계획을 도입해 유럽과 북미에서 유방암 발생관련 비교 실험을 실행할 예정이다. 사노피 의학 학술부 책임자 레너(Jean-Pierre Lehner)씨는 회사 계획으로는 인슐린과 란투스의 안전성 평가에 도움되는 강력한 자료를 개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노바티스는 재발 다발성 경화증(MS) 환자의 재발 및 활동불능 진행 모두를 경감시키는 FTY720(fingolimod) 경구 치료제에 대해 맹약과의 비교한 FREEDOMS 라는 제3상 2년 임상시험 일차 결과를 보고했다. FREEDOMS 연구보고는 0.5mg과 1.25mg 용량에 대한 일차 및 이차 평가결과 기준과 유효성에서 유의한 차이 없이 적합하다는 사실을 제시했다. 이는 TRANSFORMS 라는 인터페론 베타-1a보다 우수하다는 이전 연구결과 자료를 지지하는 내용이다. FREEDOMS연구에서 FTY720이 1.25mg보다 0.5mg에서 부작용이 적게 우수한 내용성을 확인했다는 것. 본 신약의 허가 신청은 미국과 EU에는 2009년 말경에 제출될 예정이며 종합 제3상 임상 결과에 근거해 0.5mg 용량에 대한 허가를 우선 제출할 예정이다. 노바티스 글로벌 개발 책임자 먼델(Trevor Mundel)씨는 FTY720 개발에서 이러한 결정적인 목표에 도달한 것에 자부심을 갖게 되었고 이 불치의 질병 퇴치에 FTY720 0.5mg 용량 치료로 맹약과 비교해 우수한 효과를 얻은 것에 보람을 느낀다고 평가했다. FREEDOMS 연구결과에서 맹약과 비교하여 MS 환
의료기관들이 급여항목을 비급여로 속이거나 진료비를 부풀려 받는 건수가 해마다 크게 증가, 도덕적 해이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사실은 한나라당 손숙미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진료비 확인신청제도 신청현황과 실적을 분석한 결과 드러났다.한나라당 손숙미 의원(보건복지가족위원회/여성위원회)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과다본인부담금 사유별 금액을 보면 급여대상 진료비를 의료기관 마음대로 비급여 처리한 것이 전체의 51%를 차지했다. 이어 통상 수술비에 포함돼 있는 별도산정불가항목을 병원에서 비급여 처리한 것이 23.3%를 보였다.급여대상 진료비를 비급여 처리한 현황을 보면 2004년 6억 7천만원이던(45,5%) 이던 것이 2008년 전체의 51%에 금액도 46억 2천만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손숙미 의원은 “이는 의료기관의 환자 기만행위가 심각한 수준임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밝혔다.또한, 손숙미 의원은 “별도산정불가 비급여처리 항목도 16.9%에서 23.3%로 금액도 2억5천에서 21억으로 크게 증가한 것은 큰 문제라 할 수 있다”며, “이외에도 선택진료비 과다 징수나 상급병실로 과다징수도 줄어들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면역력 약화와 피부 노화, 과다한 약물 복용으로 피부질환을 앓는 노인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질환의 심각성을 간과하거나 진료비 부담 등을 이유로 치료를 등한시 하는 경우가 많아 세균감염 등의 2차질환이 우려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대한피부과의사회는 최근 “대한피부과학회 통계1에 의하면 노인층의 45%가 한 가지 이상의 피부질환을 겪고 있지만, 59%는 피부질환 증상을 가볍게 보거나, 진료비 부담 등을 이유로 치료를 등한시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밝혔다. 피부과의사회는 노인들이 특히 ‘대상포진, 검버섯, 두드러기, 전신 소양증’의 피부질환을 가지고 있는데 이 경우 세균 감염 등 2차 질환의 위험성이 높아 조기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이에 노인들에게 발생하기 쉬운 피부질환인 대상포진, 검버섯, 두드러기, 소양증 등에 대해 알아본다.△대상포진대상포진은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이지만 최근에는 스트레스와 면역력의 저하로 젊은 층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심한 통증과 군집된 수포가 특징인데, 겪어본 사람들은 한결같이 “밤잠을 잘 수가 없을 정도”의 통증이라고 하니 어느 정도인지 가늠할 수 있다. 미국은 매년 100만 명 이상이 감염된다고 하고 우리나라도 증가
장애인의 우울증상 유병율이 17%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이현주(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수료)·강상경(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부교수) 연구진은 장애인에 대한 전국대표표본인 한국복지패널 3차년도 장애인부가조사에 응답한 성인 869명의 자료를 분석했다.그 결과 우울척도 CESD-11(지난 일주일간의 기분을 묻는 척도 11문항, 1=대체로 그렇지 않다~4=항상 그렇다)의 평균점수는 13.6점으로, 절단점 16점을 기준으로 했을 때 장애인의 가능한 우울증상의 유병율은 38%(남성 33.2%, 여성 44.6%)이며, 절단점 25점을 기준으로 한 명백한 우울증상의 유병율은 17%(남성 15.5%, 여성 19.1%)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복지패널 조사자료에서 장애인을 제외한 전체 응답자의 CESD-11의 평균점수 9.2점, 절단점 25점을 기준으로 했을 때 우울증상 유병율 8%(남성 5.8%, 여성 9.7%)보다 높은 결과다. 또한 Rogenberg의 자아존중감 척도 10문항의 평균점수는 2.7점으로, 이 역시 한국복지패널 조사자료에서 장애인을 제외한 전체 응답자의 평균점수 3점보다 낮았다. 특히 장애인의 자아존중감 정도는 동일한 척도로 노인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