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톡892jmsll~상조내구제 업체'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8,733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한미약품의 중국 합작사인 북경한미가 중국 현지 업체들과 중국 진출 다국적 제약사와의 경쟁에서 상위 제네릭 전문제약사로 당당히 그 입지를 구축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이와 관련 SK증권 하태기 연구원은 “중국시장은 이미 다국적제약사가 진입해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에 사업성공이 쉬운 곳이 아니지만 북경한미의 하반기 공장증설로 외형을 한 단계 레벨업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하 연구원은 또 “영업 실적면에서도 최근 4년간 연평균 28%의 성장을 지속, 영업이익률이 30%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며 “금년 1 분기 매출은 5400만 위안으로 전년동기대비 21.3% 성장했고 연간으로는 30% 이상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북경한미는 주력제품인 어린이소화정장제 마미아이, 어린이기침가래치료제 이탄징(암브로콜시럽)과 신제품 매출이 호조를 보이고 있다. 1 분기영업이익률은 28%로 나타났다.북경한미는 한미약품이 지난 1994 년에 판매망을 먼저 구축하고 96 년에 합작형태로 설립한 계열회사이다. 북경한미는 중국의 어린이 선호 문화를 간파해 어린이소화정장제 마미아이를 출시하고 후속으로 어린이감기약 등을 출시, 어린이전문제약사로 큰 성공을 거두고 있다. 현재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이용흥)은 오는 18일 삼성서울병원 대강당에서 ‘국산 의료기기 사용 활성화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국산 의료기기 사용 활성화를 위해 업체와 의료기관 간 네트워크 구축의 기회를 제공하는데 의미가 있으며, 우수 제품 개발 및 임상시험 활성화를 위해 의료기관과 제조업체의 공동연구개발을 장려하는 한편, 이와 관련된 사례를 소개될 예정이다. 진흥원 강태건 의료기기산업팀장이 ‘국산 의료기기의 사용 현황’을 발표하고, 삼성서울병원에서는 임상시험센터장 홍성화 교수 등이 의료기기 구매절차·기준 및 국산 의료기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발표·토의할 예정이다. 진흥원 이용흥 원장은 “국산 의료기기제품은 품질이 확보됐음에도 불구하고 국산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으로, 또는 홍보가 미약해 그 사용현황이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며 “사용자 입장인 의료기관과 제조업체의 만남을 통해 상호 의견을 공유하는 것이 국산 의료기기 사용률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일부 제약사 영업사원들이 주문하지도 않은 고가 비급여 약제를 병원에 납품하는 일단 밀어 넣고 보자는 식의 영업이 개원가에 발생하고 있어 물의를 빚고 있다. 또한 일부 업체가 반품을 받아주지 않고 있어 개원의들을 적지 않게 당황시키는 사례도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런 제약사의 피해를 당한 모 개원의는 “주문하지도 않은 약 300만원 어치의 약제가 병원에 들어 왔다”며 “이를 담당자에게 문의했더니 반품처리 하면 아무 문제 없다는 식으로 수차례 이 같은 일을 반복하고 있어 짜증이 난다”고 밝혔다.이런 제약사의 영업 행위를 몇 차례 경험했다는 또 다른 개원의는 “모 제약사로부터 주문하지 않은 고가 비급여 약제가 배송돼와 문의를 했더니 배송착오라며 약제를 회수해 가더니 몇 일 후 세금계산서를 보내와 왜 허위 세금계산서를 보냈냐며 다시 항의를 하니 담당자가 세금계산서 많으면 좋은 것이 아니냐는 식의 답변을 들어 어이가 없었던 경험을 겪기도 했다”고 말했다.“나중에 알고 보니 고가 비급여 약제를 많이 쓰는 의원이 비급여 약제 사용을 우리 병원에 나누기를 했다는 사실을 알고 분개한 일이 있었다”고 덧붙였다.또 다른 개원의는 “납품 받은 호르몬치료제의 유통기한이 짧게
국립암센터의 외래환자수 및 병상가동률 등의 경영실적이 지속적으로 좋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국립암센터(원장 유근영)가 발표한 금년 전반기 경영실적 분석을 보면, 2007년 4월 한달 외래 환자수는 2만74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1만6769명)과 비교할 때 20% 이상 증가했으며, 병상가동율은 91.6%에 달했다.입원친절만족도 역시 작년 4월 80%에서 올해 4월 88%로 증가했으며, 외래친절만족도는 70%에서 74% 상승했다.2007년 1/4분기 수술 환자수는 1795명으로 지난해(1432명)에 보다 25%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유근영 원장은 지속 성장의 이유로 외부용역업체에 경영진단을 의뢰하고 원장주도형 경영보다는 연구소, 부속병원, 사업단 등 기능별 기획기능이 강화된 성과 위주의 기관 운영을 위해 조직개편, 순환보직제 등을 단행한 것이라고 밝혔다.유 원장은 “양성자치료센터 개소를 통한 암치료 향상과 ‘국가암예방검진동’ 준공을 계기로 원스톱 암예방검진을 실시하는 등 국민들에게 한 차원 향상된 암진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간호직 및 연구직 등 인력을 대폭 충원함으로써 경영개선의 효과는 추후 더욱 극대화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이어 “외부적으로는
한국화이자제약(대표 아멧 괵선, www.pfizer.co.kr)은 내달 광장동 본사에서 명동 ‘화이자타워(서울특별시 중구 회현동 3가 1-11번지 소재, 15층)’로 본사를 이전하고 11일부터 근무를 시작한다. 신사옥 이전은 한국화이자제약이 지난 38년간 한국기업으로서 국내 제약산업의 발전에 기여해 온 것처럼 향후에도 한국사회의 발전에 장기적으로 기여하겠다는 의지의 표명이다. 다국적 제약사로는 유일하게 사옥을 매입한 한국화이자제약은 이번 이전을 계기로 연구개발 중심의 기업으로 체제를 본격적으로 전환하고, 국내 R&D 투자를 확대함과 동시에 국내 R&D 발전에 지속적으로 기여할 계획이다.최근 지속적으로 R&D 투자를 확대해온 한국화이자제약은 올해 260억을 국내에 투자하고 78건의 다국가 임상시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한국화이자제약은 R&D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 받아 화이자 본사의 모든 주요 신제품 임상의 핵심연구(Pivotal Study)에 필수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국내 유병률이 높은 질병에 대해 지역 특화된 신약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글로벌 임상시험의 책임연구자(PI: Principle Investigator)에 3명의 국내 연구진이 선정되는데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동국제약은 첫 거래에서 상한가로 장을 마쳤다. 동국제약은 29일 최고호가인 2만8000원에서 시초가를 형성한 이후 기준가보다 4200원(15.00%) 오른 3만2200원으로 장을 마쳤다. 동국제약의 공모가는 1만4000원으로 시초가 역시 공모가의 2배 높은 가격에서 결정된 것이다. 한편, 동국제약은 지난 일반공모주 청약 때 1조3891억7100만원의 자금이 몰려 상장 전부터 많은 관심을 끌었었다. 동국제약은 ‘인사돌’, ‘복합마데카솔’, ‘오라메디’ 등 일반의약품 제조업체로 설립 이후 39년 연속 흑자 경영을 이뤄왔다.
휴대폰 및 가전제품 등에 융ㆍ복합돼 사용되는 ‘혈당측정기’와 임신조절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콘돔’에 대한 의료기기 판매업(임대업) 신고가 면제될 전망이다.복지부는 28일 이 같은 내용의 의료기기법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을 입법예고하고 관련기관 및 의료기업체의 의견수렴에 들어갔다.이번 관련조항 개정은 의료기관 이외의 장소에서 자가 진단의 목적에 사용되는 의료기기는 의료기기 판매업 신고 대상에서 제외한다’는 의료기기법 개정(4월 6일 개정, 7월 7일 시행)에 따라 복지부장관이 의료기기 판매업 신고를 하지 않고도 판매가 가능한 의료기기를 규정하기 위한 조치.복지부는 “이번 일부개정령이 콘돔이나 휴대폰 등에 융•복합 돼있는 혈당측정기를 구매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불편을 해소하고 신기술 융ㆍ복합 의료기기의 시장진출을 활성화 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중국의 HIT 규모는 향후 5년 내 연간 백억 달러에 이를 것이라는 중국 정부관계자의 전망이 나왔다.중국 보건통계정보센터 Wang Caiyou 부국장은 28일 보건복지부가 주최한 Seoul EHR Forum ‘07에서 이 같이 밝혔다.Wang 부국장에 따르면 중국의 보건의료산업은 연평균 13% 성장하며, 중국 내 다른 산업부문에 보다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다.이와 함께 의료의 효율성 및 서비스 수준을 높이기 위한 병원정보시스템(Hospital Information System, 이하 HIS)의 필요성도 지속적인 논의 및 성장을 보이고 있다.현재 중국 내 1700여 의료기관 중 60%가 병원 재정·행정업무에 HIS를 적용하고 있다.20%의 의료기관에서는 적극적으로 HIS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는 진료의 질을 대폭 향상시키고 있다.Wang 부국장은 “대형의료기관에서는 선진화된 HIS 도입을 시도하고 있다”고 설명하며 “지역별 격차가 심하지만 중국에서도 HIS는 중요한 이슈”라고 강조했다.특히 그는 보건의료부문의 성장과 맞물려 HIT(Hospital Information Technology)의 성장도 폭발적일 것으로 예상했다.Wang 부국장은 “향후 5년 내에 H
우리투자증권은 22일 보고서에서 하반기 제약업종의 매출액 및 영업이익 성장률이 각각 17%, 44%로 타 업종보다 양호한 실적을 시현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은 가운데 하반기 투자 유망한 12업체를 선정했다.우리투자증권이 선정한 제약사는 총 12곳. 상위 제약사로는 동아제약, 한미약품, 유한양행, 종근당, 대웅제약을, 중견 제약사는 유유, 일동제약, 보령제약을 꼽았다.신약 개발업체로는 부광약품, LG생명과학, 일양약품, 동화약품 등을 선정했다.동아제약의 경우, 양호한 이익 모멘텀과 자이데나 해외 임상 3상 진입 및 적응증 확대와 관련한 수출, 다수의 천연물 신약 임상 진행을 투자 포인트로는 꼽았다.한미약품은 블록버스터 의약품들의 특허만료가 다수예정 돼 있어 제네릭 시장 확대에 따른 수혜, 북경한미의 고성장, 2008년 유럽, 일본 등 해외진출 가시화가 예상된다고 밝혔다.유한양행은 위궤양치료제 레바넥스의 매출 기여도 증가와 API 수출 증가를, 종근당은 하반기 높은 성장성 및 수익성 달성이 전망된다고 분석했다.다만 종근당의 경우, 내수 매출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제도 변화에 민감하며, 신제품 라인 보강이 요구된다고 덧붙였다.대웅제약은 오리지널 의약품 매출 비중이
심평원은 오는 10월 가동하는 의약품정보센터의 개괄적인 업무운영 방향을 공개했다. 의약품정보센터는 *유통정보의 효과적 수집 *자료의 체계적 관리 *자료의 활용과 효율적 제공의 역할을 하게 된다고 밝혔다.*유통정보수집의 범위를 보험약은 물론 비급여의약품으로까지 확대할 계획이고 제약사와 도매상 등의 생산•공급내역을 비롯해 병원 및 의원과 약국의 구입•사용내역까지 보고를 의무화 한다.*자료관리는 심평원의 포털시스템과 데이터웨어하우스를 기반으로 의약품정보대표포탈을 구축, 의약품정보 적합성확보•정보분석에 적합한 데이터모델링•사용자업무지원이 강화된 데이터마트를 구축해 진행.*자료활용 및 정보제공은 향후 구성될 정보공개심의위원회를 통해 기준이 마련된다.기본적으로 정보제공은 홈페이지를 통해 누구나 접할 수 있는 정형정보와 정보공개를 요청한 특정인만 수수료를 지불한 후 제공받을 수 있는 비정형정보, 2가지로 구분된다.특히 비정형정보에는 특정업체 특정약품의 지역별•요양기관종별 의약품 처방 및 조제실적, 특정업체 생산•공급•구입•사용내역, 특정약제의 생산•공급•구입R
25일 10시 한미FTA 협정문 발표 결과, 한국과 미국은 의약품 및 의료기기 분야에서 양국 보건의료 제도의 차이는 존중하되 미국의 특허 의약품과 신약자료에 대한 독점권은 인정키로 했다. 양국은 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신청자의 요청에 따라 의약품이나 의료기기의 가격산정과 급여에 관한 권고 또는 결정을 검토하는 독립기구를 설치키로 했다.한국제약협회는 25일 “정부가 특허권자의 소송 남용을 막을 방안도 마련키로 했지만 제네릭(복제) 약품 개발 등 국내 업체들의 타격은 불가피하다”며 “업체들이 이윤을 많이 내 이를 연구개발에 투자할 수 있도록 기존의 약값 정책 재고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메디포뉴스제휴사-국민일보 쿠키뉴스 최정욱 기자(jwchoi@kmib.co.kr)
증권선물거래소는 동국제약의 코스닥 신규상장을 승인, 29일부터 매매가 개시된다고 25일 밝혔다. 동국제약은 인사돌, 복합마데카솔 등 일반의약품 및 파미레이, 포폴, 로렐린데포 등 전문의약품을 생산하는 의약품업체다. 지난해 기준 코스닥 제약업체 17개사 중 매출액 기준 1위 업체이며 코스닥상장 제약업체로는 유일하게 국내 20대 의약품(인사돌)을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매출액은 783억7200만원이고 순이익은 66억8800만원이다. 권기범 대표이사(20.2%)외 6명이 53.4%를 보유하고 있다. 발행가격은 1만4000원(액면가 2500원)이다. 삼성증권이 주선했으며 일반청약경쟁률은 545.73대 1을 기록했다.
최근 대한전선과 대한전선의 최대주주가 지분79%를 보유하고 있는 옵토매직이 신약개발 전문 업체인 케미존을 인수해 사실상 대한전선 그룹이 제약/바이오부문사업에 본격적으로 진출했다.이와 관련해 미래에셋증권 황상연 연구원은 25일 “옵토매직의 광섬유 부문이 대한전선 내로 피인수 될 예정이며, 이 경우 옵토매직은 비교적 충분한 현금을 보유하게 돼 대한전선 그룹의 제약부문 진출은 중견 제약사인수 등 추가적인 제약업계 지형변화를 예고하고 있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고 분했다.그는 또 제약산업에 대한전선 그룹의 가세가 제약업계의 GMP등 설비보유 능력, 신약개발능력, M&A 수행이 가능한 자본력 위주의전환 시대를 더욱 가속화할 전망리라고 설명했다.한편, 케미존은 화이자 등 다국적제약기업에서 15년 이상의 경력을 축적한 Anthony D. Piscopio 등의 약화학(화학 합성기술과 약학적 개발 기술이접목된 분야)분야를 중심으로 한 신약 개발 플랫폼을 보유한 기업이다.케미존은 이미 신약 개발 과정 중 매우 Early stage에서부터 다국적 제약사와 포괄적인 제휴관계를 수립한 다음, 유력한 개발 후보를 확보하는 경우 추가적인 판권 매각혹은 IP(지적재산권)을 공유하는 2
한미FTA로 타격이 예상되는 제약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신약 연구개발 역량 *제네릭 산업기반, *수출지향적 산업화를 강화해야 하며, 정부는 이를 적극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한국보건산업진흥원 서창진 산업분석단장(사진)은 23일 국회 이기우 의원(열린우리당)과 보건산업최고경영자회의가 공동 주최한 ‘한미FTA협상이 보건의료분야에 미치는 영향’에서 이 같은 의견을 밝혔다.서 단장은 제약발전을 위한 방안의 하나로 신약 연구개발의 역량 강화를 제시하며, 이를 위해서는 먼저 R&D 지원을 통한 신약개발 기반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구체적으로는 핵심 신약개발 R&D 자금 및 신약개발을 위한 국제 연구사업 지원을 확대하고, 제약기업의 R&D에 대한 세제혜택을 부여해야 한다.또한 혁신신약개발지원센터를 설립, 연구개발 동향 DB구축 및 정보를 제공하고 연구개발 기술교류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연구성과물의 지적재산권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이와 함께 임상시험 인프라 구축을 적극 지원하고, 의약품 특허 종합정보시스템을 구축하도록 한다.제네릭 산업기반을 강화하는 방안으로 서 단장은 퍼스트제네릭에 대한 독점권을 부여하는 것을 제시했다.또한 임상시험 등 연구개발 및
어느새 서울시내 중심상권을 거론할 때 빠지지 않고 언급되는 신림역상권이지만 이곳도 1980년대까지는 영등포라는 초대형 상권에 가려진 채 생활수준이 낮은 인근 주민들 및 학생들이 배를 채우는 이른바 ‘순대촌’정도로만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80년대 일명 ‘도림천 순대볶음’의 독특한 맛이 타지역 사람들에게까지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이곳 ‘순대촌’은 신림동 하면 떠오르는 명물로 자리잡았다. 하지만 이 지역이 본격적으로 상권의 모습을 갖추기 시작한 것은 84년 지하철2호선이 개통되면서부터이다. 신림동은 1동~13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28만명 가량이 거주하는 비교적 지역규모가 큰 행정구역에 속하지만 동작구나 서초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택가격이 낮은 편이다. 구로-관악-강남을 연결하는 2호선의 개통은 강남, 구로방향으로 출퇴근하는 독신직장인들을 대거 신림동으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으며 90년대말 당곡사거리일대에 2만평부지를 조성해 만들어진 ‘보라매주상복합타운’이 ‘관악롯데백화점’과 함께 들어서면서 신림상권은 영등포상권의 그늘에서 벗어나 규모와 내용면에서 급속히 성장하는 상권으로 발돋움하기 시작했다. 현재의 모습은 가장 많은 인구가 몰리는 신림역 3,4번
의사 커뮤니티 닥터플라자가 최근 메디게이트를 제치고 의사 커뮤니티 분야 1위를 차지했다. 웹사이트 분석 평가 서비스 업체 랭키닷컴에 따르면 오늘(23일)을 기준으로 닥터플라자는 인터넷 사이트 전체 방문율에서 닥플닷컴은 메디게이트(720위)보다 43위 높은 677위를 기록했다. 닥터플라자의 이번 등극은 8~9년전 의사 커뮤니티가 생긴 이래 부동의 1위를 고수해 온 메디게이트를 추월했다는 점에서 적잖은 관심을 끌고 있다. 닥플측은 “최근 10주 연속 방문율 순위가 상승해 온 점을 감안할 때 1위 등극도 가능할 것이라 예측했다”며 “특히 개원 의사에 촛점을 맞춘 닥플의 차별화 노력이 성공을 거둔 것 같다”고 말했다.
2007년 1분기 매출 종합 결과, 매출 상위 10개 업체 중 국내사가 8곳, 다국적사가 2곳인 것으로 집계됐다.(국내사: 공시, 다국적사: 이수유비케어 월별 원외처방 추산치)1분기 매출 1위 업체는 동아제약. 동아제약은 1분기 1494억원의 실적을 올렸다.2위는 1118억원의 실적을 보인 한미약품이, 3위는 1093억원으로 대웅제약이 차지했다.4위는 1057억원으로 유한양행이, 5위는 985억원으로 녹십자가, 6위는 905억원으로 중외제약이, 7위는 약 793억원으로 한국화이자가, 8위는 약 730억원으로 GSK가, 9위는 718억원으로 제일약품이, 10위는 603억원으로 종근당이 각각 차지했다.다국적사 중 화이자, GSK와 경쟁을 벌이고 있는 사노피-아벤티스는 약 503억원의 매출 실적을 보여 12위에 랭키됐다.
산재의료관리원 안산중앙병원(원장 임호영) 원무부는 5월에 생일을 맞은 입원환자를 위해 생일잔치를 열었다.18일 병원식당에서 열린 생일잔치에는 28명의 환자가 참석했으며, 급식용업업체 (주) 한화 안산점이 음식을 제공했다.장석기 원무부장은 “생신을 진심으로 축하드리며, 하루빨리 쾌차하시어 댁에서 생일상을 받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병원 관계자는 “환자를 가족처럼 생각하는 마음에서 출발한 생일잔치는 횟수를 거듭할수록 따뜻한 마음을 전달하는 중요한 시간이 되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 내에서 의학적 효능을 강화한 고기능성 의학 화장품(Medical Cosmetic)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관련 업체들의 활발한 진출이 기대되고 있다.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는 “미국 소비자들의 소득수준이 향상되고 건강과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매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시장으로 분석된다”고 전했다.현재 전문가들은 미용적효용(Cosmetic Benefit)을 충족시키는 제품들이 향후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시장조사 전문기관인 Euromonitor의 2007년 최근 분석 자료에 따르면, 2005년 미국의 화장품(세면용품 포함) 시장은 총 486억 달러에 달한다. 이 가운데 고기능성 피부관련 효능군 제품시장은 33억 달러에 달해 화장품 시장의 6.8%를 차지, 지속적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특수 기능성 전문제품들은 고가에 판매돼도 의학적 치료효능이 강조되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오히려 싼 제품을 선택하기보다는 화장품 효능 대비 합리적 가격으로 인식하고 있는 중고가제품을 오히려 선호하는 추세다. 이에 따라 Johnson & Johnson, GSK 등과 같은 제약기업들도 허브와 같은 천연성분을 활용한 여드름 관리제품이나 블랙헤드 관리제품, 클렌징
모든 의료기관은 늦어도 6월 말까지 사업용계좌를 따로 개설해야 한다.국세청 김덕중 세원관리국장은 지난 16일 서울시의사회와 가진 ‘서울지방국세청과의 간담회’에서 이 같이 밝혔다.김 국장은 “금년 6월 말까지 전 의료기관에서는 사업용계좌 개설신고서를 작성해 관할 세무서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고 말했다.국세청의 이번 조치에 대해 서울시의사회는 효율적이지 못한 행정조치라며 반발하고 있다.이날 서울시의사회 김동석 의무이사는 “현재 모든 의료기관에서는 본인부담금수납대장을 의무적으로 보관하게 되어 있다”면서 “사업용계좌 외 거래명세서를 추가로 작성하는 것은 무의미하며, 서류간소화 차원에서 서류를 일원화헤야 한다”고 주장했다.경만호 회장 역시 “이미 의사들의 수입이 노출되어 있고 또한 성실하게 신고하고 있다”고 밝히며 “정부는 연말정산 간소화에 이어 사업용계좌 신고 등 의료계에 대한 규제만 가중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이와 관련 서울지방국세청에서는 “현재 시행초기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으나 앞으로 각 프로그램업체와 연계해 서류를 일원화하는 방안을 추진토록 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