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g티엠DB업자상담ㅣ☑️텔WB7000⊇문발로또디비|l'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1,839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한 혜 원 토마스제퍼슨의대 내과 Hie-Won L. Hann, M.D.& Ph.D. Dept. of Medicine, Jefferson Medical College, Thomas Jefferson University Hospital Philadelphia, USA Lamivudine의 적응증에 대한 최신 지견, 신약인 adefovir에 대한 개괄, 그리고 앞으로의 B형 간염 치료 방향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뉴욕에서 거주하고 있는 49세 된 남성으로 15년 전에 우연히 HBsAg이 양성이라는 것을 알게 된 증례가 있었다. 그 동
김 상 우 충무병원 내과 Sang-Woo Kim, M.D. Division of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Dept. of Internal Medicine. 서 론 갱년기 골다공증의 1차 치료 목표는 골절 예방이며, 가장 적절한 치료시기는 골다공증이 발생하기 전 상태인 골부족증이거나 갱년기의 초기 시기이다. 골밀도 검사에서 정상골밀도 소견을 보여도 골표지자 검사에서 골교체율이 증가되어 있으면 향후 골다공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많으므로, 예방 치료를 하는 것이 좋다. 갱년기 골다공증의 1차 치료 약물은 여성호르몬제였으나, 2002년 WHI 연구에서 여성호르몬과 황체호르몬 복합요법이 심혈관질환과 유방암 발생이 증가시켰다는 보고 이후 그 사용이 많이 주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2004년 4월 WHI 연구에서는 여성호르몬 단독 요법이 전혀 심혈관질환 및 유방암을 발생하지 않았다고 보고 되어서 향후 어떠한 방향으로 결정이 되어야 하는지 조금 더 지켜봐야 하는 상황에 있다. 호르몬제 복용이 불가능 한 경우 비스포스포네이트 (알렌드로네이트), Selective estroge
명 승 재 울산대 의대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Seung-Jae Myung, M.D. & Ph.D. Division of Gastroenterology, Dep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lsa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서 론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은 건강의 조건으로 3쾌를 들어 왔다. 즉, 잘 먹고(쾌식), 잘 자고(쾌면), 변을 잘 보아야(쾌변) 건강하다는 것이다. 변을 볼 때마다 남모르는 고통을 겪고 있는 변비 환자들은 의사들이 깊은 관심을 가져야 하는 중요한 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변비는 진료실에서 흔히 경험하게 되는 위장관 증상인데 대개의 보고에 의하면 전 인구의 약 5~20%에서 변비를 경험한다고 한다. 변비를 호소하는 환자는 대개의 경우 변비로 인한 우울증과 정
김 병 호 경희의대 경희대병원 내과 Byung-Ho Kim, M.D. & Ph.D. Dept. of Intern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Kyung He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서 론 간질환은 암,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당뇨병에 이어 5번째 사망 원인이며, 40대에서는 암에 이어 2번째이고, 특히 40대 남자는 간질환에 의한 사망률이 여자의 9배에 이르고 있다1). 이들의 상당수는 만성 간질환에 의하는데, 만성 간질환의 원인으로는 B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B Virus, HBV)에 의한 경우가 반 수 이상으로 가장 많다2). B형 간질환은 지난 90년대 활발한 예방접종으로 많이 감소되었고, 새로운 간염 치료 항바이러스제인 라미부딘이 도입되어 만성 B형 간질환 환자에게 희망을 주기도 하였으나 아직도 해결하여야 할 문제점이 있으며, 최근에는 이를 대체 또는 보완할 만한 약제가 소개되고 있다. 만성 간염은 별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아서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간경변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박 영 민 박영민내과 원장 (전 가톨릭의대 강남성모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Young- Min Park, M.D. & Ph.D. The Director Dr. Park’s Medical Clinic 서 론 만성 B형 간염의 치료는 부작용이 적으면서 경구투여가 간편하고, B형간염바이러스(Hepatitis B virus, HBV)증식억제작용은 매우 강력한 lamivudine(3TC; ZeffixTM)의 등장으로 획기적인 전환기를 맞이 하였다. 또한 adefovir, entecavir, clevudine, emtricitabine, beta-L-2’-deoxythymidine 같은 B형간염의 치료에 효과적인 다른 종류의 nucleotide analogue 제재들이 계속적으로 개발되어 조만간에 만성 B형 간질환은 정복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현재 개발되고 있는 nucleoside analogue 제재들은 HBV의 covalently circular DNA (cccDNA; template of viral RNA transcription)에 대한 억제효과는 없다. Adefovir dipivoxil 이 cccDNA를 억제하는
김 상 우 충무병원 내과 Sang-Woo Kim, M.D. Division of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Dept. of Internal Medicine 치료의 목표 및 최근 치료 경향 갱년기 골다공증의 일차 치료 목표는 골절 예방이며, 가장 적절한 치료시기는 골다공증이 발생하기전 상태인 골부족증이거나 갱년기의 초기 시기이다. 골밀도 검사에서 정상골밀도 소견을 보여도 골표지자 검사에서 골교체율이 증가되어 있으면 향후 골다공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많으므로, 예방 치료를 하는 것이 좋다. 갱년기 골다공증의 일차선택 약물은 여성호르몬제재이다. 호르몬제 복용이 불가능한 경우 비스포스포네이트 (알렌드로네이트), 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s (SERM, 랄록시펜)과 칼씨토닌 약물을 사용하여야 한다. 불소제재는 (monosodi
한 기 훈 울산대 의대 서울아산병원 내과 Ki-Hoon Ham, M.D. Dep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lsa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혈중의 지방이 높다는 뜻인 ‘고지혈증 (hyperlipidemia)’ 이 건강에 나쁘다는 것은 이제 많은 사람들의 상식이다. 그러나 저비중지단백 (LDL) 및 중성지방 (triglyceride) 외에도 고비중지단백 (HDL)과 같이 낮으면 좋지 않은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를 포함한 지방이상혈증 (dyslipidemia) 이라는 표현이 학문적으로 더욱 정확한 표현이다. 고지혈증은 심혈관질환을 유발하는 직접적인 위험인자이다. 고지혈증 환자는 계속 늘어나고 있으며 한국성인의 콜레스테롤 평균치도 현재 계속 상승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고지혈증의 조절노력은 고혈압이나 당뇨병등과 같은 ‘유명한’ 위험인자들의 조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소극적이다. 미국의 경우 전체 고지혈증
전은석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심장혈관센터 Eun-Seok Jeon, M.D.&Ph.D. Dept. of Medicine, Cardiac and Vascular Center,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서 론 최근 우리나라는 인구의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어, 60세 이상 인구는 1980년 약 6%에서 2000년 약 11%로 증가하였다. 특히 60세 이상 고령자에서 심혈관 질환에 의한 사망률이 가장 높다(통계청 2000년 인구조사). 국내에서 심혈관 질환 중 심부전의 유병률 및 발생빈도는 아직 확실하지 않으나, 국내 10개 대학에서 조사한 자료에 의하면 심부전으로 입원한 환자의 원인질환은 허혈성 심질환(32.3%), 심근증(22.7%), 고혈압성 심질환(16.5%), 심장판막증(13.5%)의 순으로 보고되고, 울혈성 심부전 환자의 생존율은 1년 (86.5%), 2년 (73.6%), 3년 (66.8%), 4년 58%로 5년 생존율은 50% 정도로 추정된다. 특히, 심부전의 원인 질환 중 허혈성 심
홍 연 식 가톨릭의대 성모자애병원 류마티스 내과 Yeon-Sik Hong, M.D. & Ph.D. Division of Rheumatology, Dept. of Internal Medicine, Our Lady of Mercy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루푸스 늑대라는 뜻의 라틴어인 ‘lupus’는 중세에 마치 늑대가 살을 물어 뜯은 모양의 피부소견을 나타낼 때 사용되었다고 한다. 홍반성루푸스 (lupus erythematosus)는 1833년 Biett가 처음 서술했지만 수십년동안 만성 피부질환으로 여겨지다가 1872년 Kaposi에 의해 전신 증상을 동반하는 질환으로 알려지게 됐다. 정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정상인은 자기 항원 (self antigens)에 대해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데, 루푸스는 자기 항원에 대해 면역반응이 일어나서 많은 양의 자가 항체(autoantibodies)가 생산되고 이중 일부는 세포자체에 손상을 주고 나머지는 면역복합체를 형성해서 염증 반응을 일으킨다. 환자의 90% 가량이 가임기 여성이고 어린이, 남자, 그
박 준 오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Joon-Oh Park, M.D. & Ph.D. Division of Hematology-Oncoloy, Dept.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서 론 암에 의한 사망은 금세기 들어 괄목할만하게 증가하였으며, 특히 우리 나라에서도 암은 전체 사망원인 중 제1위를 차지하는 질환으로 최근 들어 그 발생빈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인구구조가 점점 고령화 되어 가면서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심 재 정 고려대 의대 구로병원 호흡기내과 Jae - Jeong Shim,M.D. & Ph.D. Division of Pulmonology, Dept. of Internal Medicine, Guro Hospital,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서 론 흡입치료는 폐 질환을 치료하는 데 일차적으로 이용되는 약물전달의 중요한 치료 방법이다. 흡입치료는 경구 치료와 비교하여 여러 가지 이점을 가지고 있는데, 즉 경구 투여시 보다 약물의 양을 적게 사용해도 똑같은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든지, 경구 투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전신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든지, 경구 투여시보다 작용시간이 더 빠른 이점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흡입치료로 약물을 직접 target cell에 전달할 수는 있
이 성 원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비뇨기과 Sung-Won Lee, M.D.& Ph.D. Dept. of Urolog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서 론 당뇨는 여러 종류의 성인병 중 가장 문제가 되는 질병으로 국내에서 최근 몇 년간의 발생률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여 ‘당뇨대란’ 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이다. 당뇨병은 신체의 여러 기관에 영향을 주어 다양한 합병증을 초래하는데 발기부전도 당뇨의 이차적 합병증으로 발병할 수 있다. 당뇨병에 의한 발기부전은 후기 미세혈관성병변(망막, 신장, 신경장애)과 거대혈관의 경화성 합병증으로 인하여 발생한다. 보고에 따르면 당뇨 남자환자의 적게는 35%에서 많게는 75%에서 발기부전이 발생한다고 한다. 따라서 발기부전은 당뇨의 합병증 중 가
김 성 래 가톨릭대 의대 성가병원 내분비내과 Sung-Rae Kim, M.D. Division of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Dept of Internal Medicine, Holy Family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대사증후군 비만한 사람은 내당능의 이상이 없어도 인슐린에 대한 저항성을 보여, 췌장 β세포에서 과잉의 인슐린이 분비되어 고인슐린혈증이 생긴다. 이 고인슐린혈증이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죽상경화증 등의 악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1988년에 Reaven은 관동맥질환을 일으키기 쉬운 일련의 요인, 즉 인슐린에 의한 조직에서의 당섭취량의 감소, 내당능 이상, 고인슐린혈증, 고VLDL혈증, 저HDL혈증, 고혈압 등이 같은 사람에서 나타나기 쉽다는 점에서 X 증후군이라는 개념을 제창하였다. 이 인슐린저항성의 정도는 개개인의 유전요인에 의해 결정될 가능성이 높지만, 비만이나 신체활동의 환
이 현 철 연세대 신촌세브란스병원 당뇨병센터 소장 Hyun Cheol Lee, M.D. Chairman of Severance Hospital Diabetes Center,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서 론 당뇨병은 절대적 혹은 상대적 인슐린 결핍과 인슐린 작용이상으로 고혈당을 초래하고 그로 인해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는 만성대사질환이다. 제1형 당뇨병은 자가면역기전에 의한 췌장의 베타세포 파괴를 특징으로 하는 반면에, 제2형 당뇨병은 베타세포의 기능장애 뿐만 아니라 인슐린 작용이상(인슐린저항성)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절대적 인슐린 결핍’이 원인인 제1형 당뇨병과 ‘인슐린저항성 및 인슐린 분비장애(상대적 인슐린 결핍)’를 특징으로 하는 제2형 당뇨병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제1형 당뇨병의 특징이 자가면역성 베타세포의 파괴라면 제2형 당뇨병의 특징은 대상장기(end organ)의 인슐린에
희귀한 근육 허약 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피리도스티그민 (Pyridostigmine)이 운동하면 심장 혈류가 저하되어 심근 허혈 증세가 나타나는 환자에게 운동량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운동성 심장 허혈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피리도스티그민과 맹약을 교대로 투여 전 후에 런닝 머신 시험을 실시하여 검사하였다. 피리도스티그민 투여 집단은 심장에 저하된 혈류를 지연시키는 유익한 변화를 나타내어 환자가 운동하는 능력을 증대시켰다 고 브라질 니테로이 소제 연방 후루미넨세 대학의 노브레가 (A. C. L. Nobrega) 박사 연구진이 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 피리도스티그민이 저 혈류 발생 증세가 있는 심장에 실제로 보호 작용이 있는 지 여부를 연구해야 한다 고 저자는 부언하고 있다. (자료: Heart, October 2004.) (2004.09.21.외신부 medienglish@medifonews.com)
비만한 사무실 근무 남성들은 활발한 운동과 소식으로 음식을 조절하면 당뇨병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고 호주 웨스턴 대학의 콕스 (Kay L. Cox) 박사 연구진이 주장하고 있다. 이들 연구진은 20-50세 60명의 비흡연자, 사무직 비만 남성을 대상으로 16주간 현재 음식을 유지하거나 열량을 감소시킬 것을 요청하였다. 당뇨가 없는 이들 남성들에게 활발한 운동과 가벼운 운동을 하게 하고 비교하였다. 전반적으로 주에 3회 이상 30분간 집중 운동을 할 경우 혈당이 13% 감소되고 경구 혈당 내성 시험에서 인슐린 농도가 20% 감소되었다. 공복 시 혈당이 강력한 운동 집단에게서 더 낮게 나타났다. 이는 운동이 정상인의 혈당과 인슐린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정기적인 운동이 당뇨 위험성을 감소시켜 당뇨병 예방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열량을 감소시킨 경우에도 효과를 보였다. 체중 감소이외에 체 지방도 거의 6% 감소시켰으며 인슐린 농도도 혈당 내성 시험에서 40% 감소 효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따라서 활발한 운동과 적절한 음식 조절이 인슐린 농도 감소에 매우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다. 비만한 사람은
어유에 함유된 오메가-3 불포화 지방산이 전립선 암 위험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나 다른 동물성 포화 지방산은 오히려 전립선암을 촉진한다 고 보스톤 소제 하버드 보건대학의 지오바누치 (Edward L. Giovannucci) 박사 연구진이 주장하고 있다. 이들 연구진은 40-75세 미국 남성 약 47,866 명을 대상으로 1986년 연구 시작 시에는 건강했었으나 지난 14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 어유에 함유된 지방산을 대량 섭취한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전립선암으로 진전될 위험이 26% 낮게 나타났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는 어유 지방산 ALA (alpha linolenic acid)는 소위 오메가-3 불포화 지방산으로 식물에도 존재하고 있다. 즉, 콩, 카놀라 유, 호도 및 아마인에 대량 함유되어있으나 육류나 유가공 제품에는 많지 않다. 특히 연어, 참치, 고등어 등에 대량 함유된 EPA 혹은 DHA는 대표적인 오메가-3 불포화 지방산으로 알려졌고 심장 질환 예방 등 건강 기능 보충제로 널리 애용되고 있다. ALA를 대량 섭취한 남성은 적게 섭취한 남성보다 전립선 위험이 두 배 낮게 나타났으나 육류나 포화 지
한국로슈진단(대표이사 리처드 유)은 자사의 임신중독증의 예측과 진단을 위한 'sFlt-1/PlGF' 테스트가 지난 8월 23일 선별 급여 항목으로 지정됨으로써, 9월 1일부터 건강보험급여 적용을 받게 됐다고 밝혔다. 급여 적용 대상은 임신 20~34 주 사이의 임신부 중 1) 전자간증 과거력 또는 가족력이 있거나, 2) 고혈압인 경우, 3) 단백뇨가 검출된 경우(dipstick 결과 1+이상 또는 24시간 요단백 검사 결과 300mg/L 이상), 4) 다태임신인 경우, 5) 태아성장 지연의 경우, 6) 간기능 검사 결과 간효소 증가를 보이는 경우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이다. 위 조건에 해당되는 임신부가 'sFlt-1/PlGF' 테스트를 받을 경우, 진단 비용의 50%만 지불하면 된다. 이번에 선별 급여 대상으로 지정된 'sFlt-1/PlGF' 테스트는 임신 20~34주 사이의 전자간증이 의심되는 임신부를 대상으로 효과적으로 전자간증 예측 및 진단이 가능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연구 결과, 'sFlt-1/PlGF' 테스트는 임신중독증 발생을 높은 확률로 예측(Rule-in, positive predictive value-38.6%) 또는 배제(R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이사장 홍성한, 이하 신약조합)은 2024년 2월 29일(목) 서울 삼정호텔 제라늄홀에서 제25회 대한민국신약개발상 시상식을 개최해 신약개발 및 기술수출 성과를 치하하는 자리를 가졌다고 밝혔다. 이번 시상식에서 △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렉라자정’을 개발한 유한양행, △ 면역질환 치료제 ‘알리글로’를 개발한 GC녹십자가 신약개발부문 대상을 수상했으며, △ 유방병변 제거 수술 보조제 ‘루미노마크주’를 개발한 한림제약이 신약개발부문 우수상을 수상했다. △ 비히드록삼산 HDAC6 저해제 ‘CKD-510’을 개발한 종근당, △ 알레르기 치료제 ‘GI-301’을 개발한 지아이이노베이션, △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자스타프라잔’을 개발한 온코닉테라퓨틱스는 기술수출부문 기술수출상을 수상했다. 유한양행이 개발한 ‘렉라자정’은 국내 기술로 개발한 비소세포폐암 치료제로 국산 31호 신약이다. 렉라자정은 3세대 EGFR 타이로신 키나아제 억제제(tyrosine kinase inhibitor, TKI) 계열의 신약으로 EGFR 돌연변이 양성 NSCLC의 1차 치료 및 1/2세대 EGFR TKI 치료 후 저항성 돌연변이인 T790M 돌연변이 양성 NSCLC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