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상반기 R&D 투자 비중 가장 높은 제약사는 ‘대웅제약’

동아에스티, 한미약품, JW중외제약 연구개발비 비중↑

 

전자공시를 통해 주요 국내 제약사들의 반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2025년 상반기 매출 상위 30개 제약사 중 29개 제약사들의 연구개발비용 현황이 확인됐다.

 

유한양행은 올 상반기 연구개발비가 매출의 10%1073억원으로 확인됐다. 2024년 연간 연구개발비는 매출의 13%2487억원, 2023년 연간 연구개발비는 매출의 10.5%1944억원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전년도 대비 달성률은 낮은 편이다.

 

녹십자는 상반기 연구개발비가 827억원으로 9.4%였다. 2024년에는 연간 연구개발비가 매출의 10.4%1746억원이었는데, 올 상반기 연구개발비는 작년 연구개발비의 47.4%였다. 2023년 연간 연구개발비는 매출의 12%1953억원이었다.

 

종근당의 연구개발비는 2025년 상반기 매출의 10%831억원 규모로 확인됐다. 2024년에는 매출의 9.9%1573억원, 2023년에는 매출의 9.1%1512억원이 연구개발비로 나타났다.

 

광동제약은 2025년 상반기 연구개발비가 매출의 1.4%71억원이었는데, 24년엔 매출의 1.6%157억원, 2023년에는 매출의 2.2%204억원으로 예년 대비 적은 비중을 보였다.

 

대웅제약은 매출의 23.9%183억원이 올 상반기 연구개발비로 확인되며 높은 비중을 투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에는 매출의 26.3%364억원, 2023년에는 매출의 24.4%329억원을 연구개발비로 사용했다.

 

대웅제약 다음으로 연구개발 투자 비용이 많았던 제약사는 동아에스티로, 2025년 상반기 매출의 16.1%603억원을 연구개발비로 투자했다. 다만 2024년 연간 연구개발비는 19.2%1340억원, 2023년 연간 연구개발비는 매출의 18.2%1208억원으로 비용 달성률은 저조한 편이다.

 

한미약품도 연구개발비에 투자를 많이 하고 있는 제약사 중 하나다. 매년 매출 대비 15%의 연구개발비 투자를 보이고 있는 한미약품은, 올 상반기에도 매출의 15.7%894억원을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JW중외제약의 상반기 연구개발비용은 13.1%487억원으로 확인됐다. 2024년 연간 연구개발비는 매출의 11.7%832억원, 2023년 연구개발비는 매출의 10.1%740억원으로 연구개발비 비율이 점점 확대되고 있는 모습이다.

 

광동제약을 비롯해, JW생명과학, 셀트리온제약 등은 연구개발비용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JW생명과학은 주요 제약사들 중 가장 연구개발비중이 낮았는데, 매출의 2.4%29억원이 상반기 연구개발비용으로 확인됐다. 2024년에는 매출의 2.3%50억원, 2023년에는 매출의 3.1%62억원이 연구개발비였다.

 

셀트리온제약은 상반기 연구개발비가 70억원으로 지난 해 연구개발비 비중과 동일한 2.9%의 비중을 보였다. 2024년에는 136억원을, 2023년에는 매출의 3.3%129억원을 연구개발비용을 사용했다.

 

휴젤도 연구개발비 비중이 높았다. 2023년에는 219억원으로 매출의 6.9%, 2024년에는 148억원으로 4%가 연간 연구개발비로 나타났다. 이어 2025년 상반기에는 72억원으로 3.6%가 연구개발비로 나타나면서 비율이 점점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