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약국 환자안전사고 보고 내용 10건 중 8.5건이 ‘처방오류(84.9%)’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 처방오류의 77.5%가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같은 결과는 대한약사회(회장 권영희) 환자안전약물관리본부(본부장 이모세) 지역환자안전센터(센터장 성기현, 이하 센터)가 19일 발표한 ‘2024년도 대한약사회 환자안전사고보고 통계’를 통해 밝혀졌다.
센터는 지난 2024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전국 314개 약국에서 총 1만 1057건의 환자안전사고가 보고됐다고 설명했다.
약국 보고 건수는 2022년 4831건, 2023년 9135건, 2024년 1만 1057건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해 왔으며, 특히, 2024년 국가 환자안전보고학습시스템(KOPS)에 보고된 전체 환자안전사고 중 대한약사회를 통한 약국의 보고가 46% 이상을 차지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센터는 ‘약국 현장에서 환자안전에 대한 인식과 보고 문화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의미있는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 밖에 환자안전사고로 보고된 것으로는 약국 조제 과정에서 발생한 조제오류가 10.5%, 환자가 의약품 복용 또는 사용 중 발생한 복약오류가 2.0%로 보고됐다.
처방오류 가운데 처방전 발행기관이 분류된 6479건을 분석한 결과, 의원이 77.5%로 가장 많았고 종합병원 10.2%, 병원 6.2%, 치과병·의원 4.4%, 상급종합병원 1.3% 등으로 확인됐다.
센터는 “대부분의 처방오류는 약사의 중재 활동을 통해 실질적인 환자 위해가 발생하지 않아 환자안전을 지키는데 약사가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밝혔다.
주요 사고유형으로는 ‘잘못된 의약품’과 ‘잘못된 용량/용법/일수’가 전체의 76.2% 였고 처방오류에서도 두 가지 유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조제오류에서는 ‘잘못된 계량/계수’, 복약오류에서는 ‘잘못된 용량/용법/일수’ 유형이 가장 많이 보고됐다.
이모세 본부장은 “지속적인 홍보와 교육으로 약국 약사들의 환자안전 인식이 점차 높아지고 있고 이는 보고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환자안전사고 보고는 발생 가능성 있는 사고를 미리 학습하고 예방하는 조치로 이어져 환자와 약사 모두를 지키는 주요한 안전망이 된다.”며, “본부에서도 환자안전사고 보고 활성화와 사고 예방을 위한 실제적인 방안 마련에 모든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성기현 센터장은 “더 많은 약국이 참여할수록 환자안전은 강화된다”고 강조하며, 신규 약국 참여 확대 및 환자안전사고 보고 활성화를 위해 현재 진행 중인 ‘함께 보고, 함께 안전!’ 캠페인에 많은 관심과 참여를 요청했다.
‘2024년도 대한약사회 환자안전사고보고 통계’는 본부 홈페이지 ▷알림마당 ▷공지사항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대한약사회는 보건복지부 지정 지역환자안전센터로서 ‘대한약사회 이상사례(부작용) 및 환자안전사고 보고 시스템’을 통해 약국으로부터 수집된 환자안전사고 내용을 국가 환자안전보고학습시스템(이하 KOPS)에 보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