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2,670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보건복지부는 11일 자낙스정 등 7개 약제에 대해 상한금액을 개정·고시했다고 밝혔다. 복지부의 이번 조치에 따라 자낙스정0.25mg은 당초 상한금액이 131원이었으나 141원으로 조정됐으며 솔루메디롤주125mg는 5962원에서 7130원, 알닥타자이드정50mg은 69원에서 102원으로 각각 약가가 인상됐다.또, 프로베라정5mg은 165원에서 182원으로 인상됐으며 프로베라정2.5mg은 106원에서 117원, 플로베라정10mg은 262원에서 289원으로 상향 조정됐다. 한편 대법원은 지난달 22일, 복지부가 2002년 약가를 인하 시킨 파마시아코리아 8개 품목과 한미약품의 12품목에 대해 ‘약가인하 고시 무효’라는 판결을 내린 바 있으며 복지부의 이번 조치는 이 같은 대법원 판결에 대한 후속조치다. 일부본인부담약제급여목록및상한금액표 중 변경대비표 연번투여분류제품코드제품명업체명규격단위상한금액변경전변경후비고
머크 제약회사는 1일 1회 경구 투여 항암제 조린자(Zolinza)가 서서히 진행하는 희귀한 피부암 치료제로 FDA허가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이 신약은 기존 항암제로 치료받는 중이거나 후에도 말기 표피성 T-세포 임파종(CTCL)이 계속되거나 악화 혹은 재발하는 경우 사용하도록 허가되었다. CTCL은 미국에서는 100만명 당 3명 정도가 발생하는 희귀한 피부암으로 대부분 평균 50세 남성에 발생한다. 증세는 피부가 건조하고 발적과 소양증을 수반한다. 피부 종양이 이 질병 후반에 발생하여 감염된다. 감염 복합증세는 치명적일 수 있다. 질병 초기 환자는 20년 이상 생존이 가능하지만, 말기암 환자인 경우는 생존 기간이 5년 미만으로 추락한다. 조린자로 치료받은 환자 74명 가운데 30%가 피부 병변이 50% 정도 감소되며 평균 168일 정도 반응이 지속된다고 회사측은 설명하고 있다. 조린자를 다른 요법과 비교하지는 않았으나 이 피부 암 환자는 다른 약물로 실패한 경우 치료에서 효과를 보고 있다고 회사 임상연구 책임자인 후랭캘(St
금연정책에 있어서의 가격정책의 효과 및 정책방향
감 신(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I. 문제제기
우리나라 성인 남성 흡연율은 1990년대 중반까지 70%대를 유지하다가 1995년 국민건강증진법의 제정을 계기로 60%대에 진입하였고, 2005년 51.2%로 감소하는 추세이나 여전히 외국에 비해 높은 편이다.
우리나라에서 암에 의한 사망률(인구 10만명당 사망자)은 1990년 110.4명에서 2000년 122.1명으로 10.6% 증가했는데, 이 중 폐암에 의한 사망률은 1990년 14.4명에서 24.4명으로 69.4% 늘어나 암 사망률 1위를 차지했다.
90년에는 위암이 31.5명으로 1위를 기록했으나 10년 사이에 24.3명으로 줄어들면서 2위로 떨어졌다1). 우리나라 성인 남성의 흡연률이 매우 높고, 여성 흡연률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므로 우리나라의 폐암 발생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에 의한 어린이 아토피 예방기술이 개발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이경호)은 2일 “지난 2004년부터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비피도 지근억 박사팀이 개발한 비피더스 유산균을 복용한 유아들의 아토피가 삼성서울병원의 임상연구 결과 대조군에 비해 절반으로 감소했다”고 밝혔다.
지근억 박사 연구팀은 지난 2004년 5월부터 2006년 4월까지 4억 6200만원의 정부 및 민간 연구비를 투입해 의사, 임상영양사, 아토피 전문가 등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이 같은 성과를 거뒀다.
지 박사팀은 “면역 불균형이 아토피 발생과 관련이 있는 것에 근거해 어린아이의 장 면역을 자극하는 능력을 보유한 비피더스 유산균을 개발하게 됐다”고 연구배경을 설명했다.
개발된 균은 동물 실험에서 T 임파구와 사이토카인의 활성을 조절해 아토피 항체인 IgE를 감소시키고 아토피를 예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미래유망 신기술 분야(6T) 중 생명공학(BT)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확대에도 불구하고, 국내 총 R&D 예산규모 중 BT분야가 차지하는 비율은 9%에 그쳐 미국(25.8%), 일본(12%)에 크게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동구 교수(연세의대 약리학)교수는 ‘의과학 분야 연구비 현황’ 보고서에서 외국의 투자현황과 비교한 결과, BT분야에 대한 정부의 투자는 국내 전체 R&D 예산의 9%로 미국의 34%, 일본의 75% 수준이라고 밝혔다. 김 교수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총 R&D 예산은 5조5241억원으로 이중 4962억원이 생명공학기술(BT)에 투자됐다. 한 국 미 국 일 본 정보기술 5053(9.2) 24553(1.8) 27710(7.7) 생명공학기술 4962(9.0) 358332(25.8) 43160(12.0) 나노기술 1965(3.6) 9172(0.6) 14910(4.2) 환경에너지기술 2505(4.5) 42838(3.1) 81160(22.6) 우주항공기술 1840(3.3) 117587(8.4) 3569(
림프종 및 신경학적 질환, 면역억제를 유발하는 ‘인체 T 림프영양성 바이러스’ 양성 의심 헌혈자 1명이 발견돼 관계당국이 역학조사에 나섰다.인체 T 림프영양성 바이러스(Human T Lymphotrophic Virus, 이하 HTLV)는 보균자중 1% 미만에서 신경학적 질환이 유발되거나 극히 드물게 림프종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적십자사는 국내 헌혈자 1만5000명을 대상으로 HTLV 항체양성률을 조사한 결과 헌혈자 1명이 HTLV 항체검사(웨스턴블롯 및 라인검사법) 및 핵산증폭검사가 양성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이에 따라 복지부는 헌혈자의 보관혈액검체를 질병관리본부에 확진검사 의뢰하고, 최종적으로 확진될 경우 수혈자 추적조사를 실시한다는 방침이다.HTLV는 주로 일본 남서부(유병률 약 15%), 카리브해 지역(1~8%), 중부 및 남부 아프리카 등에서 주로 유행하며, 주로 감염자인 어머니의 모유수유를 통해 수직감염된다.감염된 혈액을 수혈시 전염될 수 있으며, 주로 전혈이나 혈구제제를 통해 감염되고 혈장제제를 통해서는 전염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김도환 기자(dhkim@medifonews.com)
담뱃값 미인상으로 건보재정 전망이 불투명한 가운데 복지부가 ‘건강보험 재정 안정화 T/F’를 구성, 운영에 들어갔다. 복지부, 건보공단, 심평원 실무자로 구성된 T/F 10월말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되며, 급여비 증가원인 분석 등을 통해 재정상황을 평가하고 안정화 대책을 마련한다. 또한 이미 착수에 들어간 보장성 강화 급여항목 모니터링을 포함, 올해 상반기 급여비 증가원인을 분석해 단기적 대책마련에 집중할 예정이다. 건보재정은 8월말 현재 누적수지 1조6590억원의 흑자를 기록하고 있으나 올해 상반기 급여비가 전년동기 대비 18.6%나 급증하고 담뱃값 미인상으로 당초 계획에서1466억원의 수입감소가 예상되고 있다. 김도환 기자(dhkim@medifonews.com)
<도표첨부> 민간 응급환자 이송업체들의 절반이 의료인력 확보율에서 ‘기준미달’인 것으로 밝혀져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부가 문 희 의원(한나라당)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전국 47개 민간 이송업체 중 23곳의 의료진과 응급구조사 수가 자체 보유 구급차 수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소방방채청 119구급대의 경우 작년 말 현재 구급차 1209대와 응급구조사 2876명을 보유하고 있어 응급환자 이송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문 의원은 “일부에서 운전자 홀로 응급환자를 이송하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구급차 관리주체가 지자체라 하더라도 복지부는 이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행 ‘응급의료에관한법률’ 제48조와 시행규칙 제39조에는 응급환자 이송시 운전자를 제외한 의사·간호사·응급구조사 중 1인이 반드시 탑승토록 규정돼 있다. 이를 위반시 행정당국은 영업허가 취소 또는 6개월 이내의 영업정지 조치를 내릴 수 있다. <민간이송업체 의사, 간호사, 응급구조사, 구급차 보유 현황> &n
13일 아산재단이 실시한 서울 및 금강아산병원 의약품 입찰에서 제신 신성 부림 이화약국 등 4개 도매상이 낙찰됐다. 아산재단에 의하면 이날 입찰에서 *제신은 9그룹 HLA-A DNA KIT / 25T 외 315종, 17그룹 CARTRIDGES (ASPIRIN) / 25SET/BOX 외 37종을, *신성은 10그룹 CETAPHIL / ea-4.5OZ 외 486종, 13그룹 GENTACIN INJ 20mg / amp-2ml 외 116종을, *부림은 12그룹 H-Lase inj. / amp-1500iu 외 236종을, *이화약국은 20그룹 Codeine tab. / tab-20mg 외 28종을 각각 낙찰시켰다고 밝혔다.. 공고번호 약품명 낙찰 도매 2006-09 HLA-A DNA KIT / 25T 외 315종 제신약품 2006-10 CETAPHIL / ea-4.5OZ 외 486종 신성약품 2006-12 H-Lase inj. / amp-1500iu 외 236종 부림약품 2006-13 GENTACIN INJ 20mg / amp-2ml 외 116종 신성약품 2006-17 CARTRIDGES
대한민국 소화제 대명사인 한독약품 ‘훼스탈 플러스’의 고객 사랑 실천이 깊이를 더해 가고 있다.
한독약품(대표이사 김영진)은 최근 시각 장애인의 편의를 돕기 위해 훼스탈 플러스 제품 포장에 점자 표기를 신규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시각 장애인이 촉각으로 제품을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돕기 위한 것으로, 고객들의 구입이 많은 10T 포장부터 회사명과 제품명을 점자로 표기해 오는 10월부터 시중에 판매할 계획이며, 추후 100T 포장까지 적용 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다.
한독약품은 이번 점자 표기를 통해 시각 장애인의 의약품 오용에 따른 약화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비장애인도 많이 구입하는 다량 판매 의약품에 점자 표기를 병기함으로써, 시각 장애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을 개선하는 데에도 효과가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한독약품 관계자는 “제작단가 상승 등의 현실적 어려움을 풀고 시각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인
자사 약품을 처방해주는 대가로 의사에게 제공되는 ‘제약회사 리베이트’는 어디까지 합당할까. 대한의사협회 중앙윤리위원회는 이에 대해 윤리적 측면에서는 의사의 품위를 손상시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지 않지만, 법적으로는 여러 판례들에 비춰볼 때 사안에 따라 달라 논의가 필요하다는 해석을 내려 주목된다. 위원회는 ‘개원의를 위한 의료윤리사례집’을 통해 신제품에 대한 처방을 요청하고 관련학회 부부동반 초청, 골프접대, 투어스케줄 등 경비와 함께 백화점 상품권을 제공한 사례를 소개했다. 사례에 따르면, 내과의원 P원장에게 제약회사 영업부장 K씨가 찾아와 그동안 처방해온 고지질혈증, 심장병 환자의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떨어뜨리는 M정을 대신하는 신제품 T정을 소개하고, T정을 처방해 주면 T정의 약효를 주로 다루는 학회에 P원장을 부부동반으로 초대해 주겠다고 제안했다. 신제품 T정은 M정과 약효 차이가 크게 나지 않지만 가격이 30%정도 비싸고 부작용이 조금 덜했다. P원장은 계속 M정을 처방하는 것이 낫겠다고 했으나 K부장은 여러 면에서 좋은 조건으로 해 줄 수 있는데다, 학회 공식일정이 끝나
유유는 최근 위염·위궤양 치료제 쏘롱이 제품 세미나 개최 등 활발한 마케팅 활동과 복합 소화제·제산제 비급여 전환 여파로 전년대비 30% 이상 판매액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고 7일 밝혔다.
이에 유유는 현재까지 CNS와 골다공증 치료제 시장에 집중시켜 왔던 역량을 위염·위궤양 치료제 시장에 영업 및 마케팅력을 집중할 계획이다.
쏘롱은 일본 Taisho에서 개발된 방어 인자 증강제로 위 점막 방어 인자 증강의 매개 물질인 내인성 PGE2(Prostaglandin E2) 증가 작용을 통해 점액 분비 증가, 중탄산 이온 분비 증가, 위점막 혈류 개선 등의 다면적 방어 인자 증강 작용을 통해 위점막의 재생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내인성 PGE2 증가 비교 연구에서 쏘롱은 타 방어 인자 증강제와 비교해서 월등한 PGE2 증가 효과를 보여 주고 있다.
또한 쏘롱은 약제성 위병변 및 위염에 대한 뛰어난 증상 개선 및 치료 효과가 입증되어 있다.
&n
영남대학교병원(원장 김오룡)은 협력병의원 직원을 대상으로 병원CS아카데미를 개설,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대학병원측에서 3000여개의 협력병의원 직원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기는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교육내용은 *병원고객 만족론 *병원서비스 매너실무 *고객접점(M.O.T) 실무론 *병원업무Process설계작업 *병원서비스 마케팅 *병원리셉션 실무 *이미지 메이킹 *DISC *고객의 목소리와 불평고객 관리 등으로 병원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돼 있다. 영남대병원의 한 관계자는 “대학병원의 경우 고객의 유형을 크게 두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며 “첫 번째가 환자 및 보호자, 두 번째가 1, 2차 의료기관”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그 동안 대학병원으로서 지역의 1, 2차 의료기관에 실질적으로 도움을 주지 못했던 부분을 이러한 지식프로그램의 지속적 운영을 통해 지원할 계획”이라고 전하며 “경쟁의 시대일수록 의료기관간의 협력관계가 더욱 필요하고 혼자만 크는 경영방식이 아닌 함께 크는 상생의 의료문화가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최지현 기자
이강욱충남대학교병원 신장내과
Renin-angiotensin-aldosterone system(RAAS)은 신장질환을 비롯하여 고혈압, 심근비대와 심근경색 등 심혈관계 질환의 병태생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RAAS의 핵심물질은 angiotensin II(AII)이며 혈류역동학적 작용 이외에 proinflammatory effect, 다양한 endocrine, autocrine 그리고 paracrine effect들이 알려지면서 RAAS의 활성화는 신장질환의 진행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인들 중의 하나로 밝혀졌습니다. 전신적인 RAAS와는 별도로 신장을 비롯한 주요 장기에 국소적 RAS가 존재하고 질환의 진행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적절한 혈압조절과 더불어 이러한 RAAS의 억제는 신장조직손상을 억제하는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치료방법으
치명적인 피부암에 걸린 2명의 남자에게 유전적으로 변화시킨 면역세포가 종양을 제거하여 적어도 18개월 무병 생존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고 미국 암 연구소 (NCI)의 로젠버그(Steven Rosenberg)박사 연구진이 발표했다. 그러나 15명의 환자는 치료에 반응하지 못했고 앞으로 효과를 상승시키기 위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이들은 지적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관찰은 유전자 치료를 이용 성공적인 환자 치료를 보인 결과를 주목하고 있다. 지금까지 유전자 치료법은 안전성 문제로 접근을 꺼려왔다. 과학자들은 이 치료 접근을 다른 암에 적용될 가능성을 기대하고 있다. 이들 연구진은 17명의 말기 흑색종 피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백혈구를 뽑아 유전 공학적으로 조작하여 종양과 싸울 수 있도록 한 후 이를 환자에 다시 주입했다. 그 결과 2명의 남성에게서 암이 1년 반에 걸쳐 사라졌다. 치료 전 환자들은 표준 치료를 했으나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했고 3-6개월 수명만을 기대하고 있었다. 이 치료법은 백혈구를 T-수용체로 불리는 단백질 생산을 담당하는 유전자로 무장시켜 이룰 환자에 투
[사례분석]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지난 30일 ‘권리구제 제도 및 요양급여대상여부 확인’ 대외교육에서 요양급여비용 이의신청 사례를 공개해 관심을 끌고 있다.
요양급여비용 이의신청이란 심사평가처분에 대한 권리구제절차로서 요양급여비용 심사 및 요양급여의 적정성에 대한 평가 등에 관한 심평원의 처분에 불복해 법령에서 정한 서식에 의거, 처분의 취소나 변경을 신청하는 것을 말한다.
심평원의 처분에 이의가 있는 경우 국민건강보험법 제76조 제3항 및 의료급여법 제30조 제3항에 의거해 처분이 있은 날부터 90일 이내에 문서로 이의신청을 해야 한다.
이의신청이 접수되면 이의신청위원회는 신청을 받은 날부터 60일 이내에 결정을 하며 다만 부득이한 경우 30일의 범위 안에서 연장이 가능하다.
이번에 공개된 주요 이의신청 항목별 사례는 다음과 같다.
<인정된 사례>
*자기공명 영상진단
청구내역 및 심사
남/16
내장 수술을 한 경우 비타민 A 흡수장애로 수술 수년 후 눈에 여러 가지 문제를 유발하고 특히 다른 질병이 있을 경우 더욱 두드러지게 안과 질환이 발생한다고 휴스턴 베일러 의과대학의 채(T. Chae) 및 포루잔(R. Foroozan) 박사 연구진이 주장하고 있다. 한 환자는 위 우회 수술을 받은 수개월 이내에 안 질환이 발생했고 다른 3명은 내장 수술 후 18년 동안 시각 증세가 없었다가 그 후 3명의 환자 중에 첫 번째 환자가 69세에서 4개월간 야맹증을 보고했다. 그는 20년 전에 내장 우회 수술을 받았었다. 두 번째 환자는 80세 노인으로 오른쪽 눈에 시력 감퇴가 40개월 후에 발생했고 특히 희미한 빛에서 더 좋지 않다고 호소했다. 그는 36년 전에 크론 질환으로 소장 일부와 대장 절제 수술을 받았었다. 3번째 환자는 두 눈의 시각 감퇴가 수개월 후에 발생했는데, 특히 밤에 심했다고 한다. 그녀의 의료 기록에 보면 18-20년 전에 담낭 수술 합병증으로 여러 복부 수술을 받았었다. 이들은 안 검사에서 모두 비타민 A 결핍증이 확인되었다. 두 남성 환자는 비타민 A 주사 치료로 1주 이내
면역조절 세포인 NKT 세포가 관절염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는 연구결과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발표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한국과학재단(이사장 권오갑)이 지원하고 있는 우수연구센터인 류마티스연구센터(SRC)의 정두현 교수(서울의대 병리학교실) 연구팀은 면역 조절세포인 NKT 세포의 표면에 발현돼 있는 FcgR를 통해 활성화 신호가 전달됐을 경우, NKT 세포가 염증 반응을 증가시켜 관절염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고 24일 전했다. NKT 세포는 생체 내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세포로 외부에서 침입한 바이러스를 제거하거나 암의 전이 또는 자가면역질환을 억제해 인체를 보호하는 작용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하지만 정두현 교수 연구팀은 2005년도에 지금까지 알려진 NKT 세포의 기능과 달리 NKT 세포가 관절염을 억제하지 않고, 오히려 유도한다는 결과를 J Exp Med에 발표했었고,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관절염 유도에 있어서 NKT 세포의 활성화되는 기전을 밝혀낸 것. 연구팀은 류마티스 관절염을 쥐에 유발한 뒤 병이 진행되는 정도를 관찰해 정상 NKT 세포를 가지고 있는 쥐와 유전자 조작에 의해
여드름 치료제로 널리 알려진 로슈 회사의 아큐테인(성분: isotretinoin)이 콜레스테롤 및 기타 지방 혈중 농도를 증대시키는 부작용을 유발한다는 보고가 나와 긴장하고 있다.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대학 의과대학 피부과의 제인(Lee T. Zane) 박사 연구진은 1995~2002년 사이에 이소트레치노인을 투여한 여드름 환자 13,772명의 의료 기록을 검토한 결과 이소트레티노인을 투여할 경우 이전에 정상이었던 환자 44%가 중성지방이 상승되었고 총 콜레스테롤도 환자의 31%에게서 높게 나타났고 약물 투여 기간은 평균 21주이고 환자의 평균 연령은 19세 이었다. 이러한 고 지방 혈중 농도는 이소트레티노인 투여를 중지할 경우 다시 원상 회복되었다. 아큐테인과 이 복제품들은 이 약물 부작용으로 기형아 출산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이 약물을 복용한 여성은 임신하지 않도록 엄격한 조치를 취했다. 또한 로슈 회사 대변인은 이미 의사들에게 이 약물 투여 전에 지질 농도를 측정하고 투여 기간 매 주 혹은 2주마다 지질 측정을 요구했다고 언급했다. (자료: (Archives of Dermatology Vol. 142 No. 8
여드름 치료제로 널리 알려진 로슈 회사의 아큐테인(성분: isotretinoin)이 콜레스테롤 및 기타 지방 혈중 농도를 증대시키는 부작용을 유발한다는 보고가 나와 긴장하고 있다.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대학 의과대학 피부과의 제인(Lee T. Zane) 박사 연구진은 1995~2002년 사이에 이소트레치노인을 투여한 여드름 환자 13,772명의 의료 기록을 검토한 결과 이소트레티노인을 투여할 경우 이전에 정상이었던 환자 44%가 중성지방이 상승되었고 총 콜레스테롤도 환자의 31%에게서 높게 나타났고 약물 투여 기간은 평균 21주이고 환자의 평균 연령은 19세 이었다. 이러한 고 지방 혈중 농도는 이소트레티노인 투여를 중지할 경우 다시 원상 회복되었다. 아큐테인과 이 복제품들은 이 약물 부작용으로 기형아 출산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이 약물을 복용한 여성은 임신하지 않도록 엄격한 조치를 취했다. 또한 로슈 회사 대변인은 이미 의사들에게 이 약물 투여 전에 지질 농도를 측정하고 투여 기간 매 주 혹은 2주마다 지질 측정을 요구했다고 언급했다. (자료: (Archives of Dermatology Vol.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