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3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2024년 보건산업 수출 $253억…전년比 15.8%↑

진흥원, 2024년 보건산업 수출 실적 발표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 이하 진흥원)은 2024년 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 등 보건산업 수출 실적을 발표했다.

2024년 보건산업 수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8% 증가한 252.6억달러를 기록했다. 분야별로는 화장품 101.8억달러(+20.3%), 의약품 92.7억달러(+22.7%), 의료기기 58.1억달러(+0.4%) 순으로 수출 실적이 높게 나타났다.

주요 특징으로, ‘바이오의약품’ 수출이 헝가리, 스위스, 벨기에 등 유럽과 북미(미국, 캐나다)로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기초화장용 제품류’ 수출이 미국, 일본, 홍콩을 중심으로 크게 증가함에 따라, 의약품과 화장품은 역대 수출 최대실적을 달성했다. 의료기기 수출은 ‘체외 진단기기’에서 감소했으나 ‘임플란트’ 수출이 증가해 전년도 대비 소폭 증가했다.

2024년 의약품 수출은 바이오의약품 수출 증가에힘입어 전년대비 22.7% 증가한 92.7억달러를 기록했다. 국가별로는 미국(14.9억달러, +45.1%), 헝가리(12.7억달러, +299.1%), 독일(6.2억달러, +4.0%) 등 순으로 수출이 높게 나타났으며, 상위 20개국 수출이 전체 의약품 수출의 86.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은 ‘바이오의약품’(11.6억달러, +46.3%)과 ‘독소류 및 톡소이드류’(0.8억 달러, +77.6%) 등의 수출이 증가해 지난해에 이어 의약품 수출 1위국을 유지했다. 헝가리(12.7억달러, +299.1%), 스위스(5.0억달러, +43.6%)는 바이오의약품의 수출 증가로 인해 전년도 보다 순위가 상승했다. ‘바이오의약품’(55.1억달러, +41.3%), ‘기타의 조제용약’(7.1억달러, +7.6%), ‘원료 기타’(5.4억달러, +1.6%) 순으로 수출액이 높게 나타났다.

전체 의약품 수출의 59.5%를 차지하는 ‘바이오의약품’ 수출은 헝가리(12.6억달러, +306.3%), 미국(11.6억달러, +46.3%), 독일(5.2억달러, +8.4%) 순으로 높았으며, 스위스(4.3억달러, +60.3%), 벨기에(4.0억달러, +27.2%), 네덜란드(2.0억달러, +97.1%) 등 유럽국가에서 큰 증가세를 보였다.

의약품 중 두 번째로 수출이 높은 ‘기타의 조제용약’은 베트남(1.0억달러, +28.1%), 일본(0.9억달러, +4.2%), 미국(0.5억달러, +4.7%) 순으로 수출이 높게 나타났다.

2024년 의료기기 수출은 ‘임플란트’와 ‘의료용 레이저 기기’의 수출 증가로 인해 전년대비 0.4% 증가한 58.1억달러를 기록했다.

미국(9.3억달러, △6.8%), 중국(6.4억달러, △1.0%), 일본(4.4억달러, +9.0%) 등 순으로 수출이 높게 나타났으며, 상위 20개국 수출이 전체 의료기기 수출의 75.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은 ‘체외진단기기’ 감소에도 불구하고 전년도에 이어 의료기기 수출 1위국을 유지하였으며, 일본은 ‘전기식 의료기기’ 수출 증가에 힘입어 의료기기 수출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임플란트’(8.8억달러, +11.2%), ‘초음파 영상진단기’(7.9억달러, +4.1%), ‘방사선 촬영기기’(7.3억달러, △3.6%) 순으로 수출액이 높게 나타났다. ‘임플란트’는 전체 의료기기 수출 중 15.1%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3.4억달러, +6.3%), 러시아(1.2억달러, +11.2%), 미국(0.6억달러, +64.6%), 순으로 수출이 높게 나타났다. 

두 번째로 수출 비중이 높은 ‘초음파 영상진단기’는 미국(1.8억달러, +19.0%), 오스트리아(0.5억달러, +15.8%)를 중심으로 수출이 증가했다. 전년도 의료기기 수출 1위 품목인 ‘체외 진단기기’(6.9억달러, △14.1%)는 미국(0.7억달러, △70.2%)의 수출 감소로 인해, 의료기기 수출 4위로 순위가 하락했다. 

진흥원 이병관 바이오헬스혁신기획단장은 “2024년 보건산업 수출은 엔데믹 전환 후 수출회복세를 유지하며,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실적을 기록했다. 산업별로는 의약품과 화장품에서 모두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으며, 특히 화장품은 처음으로 100억달러를 돌파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러한 성장세는 올해에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가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대외적인 무역 환경에 대한 면밀한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