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s텔ErrorBased◎보험디비|II'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660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녹십자(대표 許日燮)는 19일 심장 질환 세포 치료제 개발 전문 바이오 회사 ㈜BHK (대표 崔鍾元)와 심장 근육 재생 세포치료제 분야 공동연구개발 및 상품화에 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녹십자 관계자는 “심장 근육 재생 세포치료제가 상품화에 성공한다면 혈전 용해제 등으로 막힌 혈관을 뚫어주는 수준에 머물러 있는 기존 치료법에서 나아가 심근 경색 등으로 손상된 근육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게 된다”며 “심장마비 등으로 사망에 이르기도 하는 심근 경색을 완치시키는 길을 열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BHK의 미국 본사인 Bioheart Inc.는 유럽 및 미국FDA에서 각각 임상 II/III상과 임상 II 상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 유럽에서 진행되고 있는 임상에 참여하고 있는 피험자들은 지난 11월까지 이식을 모두 완료했으며, 향후 6개월간의 추적조사를 거쳐 내년 상반기 임상시험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 함께 BHK는 지난 9월 한국내 임상 II상 허가(IND 승인)를 식약청으로부터 받은 상태다. 녹십자는 BHK와 MOU를 체결함으로써 BHK가 미국 Bioheart Inc.로부터
보령제약(대표 김상린)은 12월 14~15일 양일간 열리는 ‘2006보건산업기술대전’에 참가해 ARB(Angiotensin II Receptor Blocker)계열 고혈압치료제인 ‘피마살탄(Fimasartan)’개발현황에 대해 소개한다. 1998년 개발을 시작한 피마살탄은 지난 1월 세계보건기구(WHO)로부터 ‘피마살탄’이라는 물질명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으며, 세계 12개국에서 물질특허를 획득했다. 지난해 영국에서의 임상 1상 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친데 이어 현재 임상 2상 시험까지 마친 상태다. 보령제약은 지금까지의 피마살탄 연구결과 기존 항고혈압제에서 나타나는 마른기침이나 안면 홍조 등의 부작용이 현저하게 줄어든 것이 확인됐으며 본태성 고혈압의 효과 외에도 신부전, 뇌졸중, 당뇨성 부작용 등의 적응증이 추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한 이뇨제와의 복합제 등도 개발할 계획이다. 현재 국내에서 발매되고 있는 ARB 계열 약물 7종은 모두 외국 제약사들의 제품으로 국내 제약사의 참여는 전무한 실정이다. 국내 최초의 ARB 계열 고혈압 치료 신약 개발을 완료하고 제품을
임상욱 교수
포천중문의대 분당차병원 내과
오늘은 최근 많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고혈압 약제인 Angiotensin II Receptor Blockers(ARBs)의 항고혈압 이외의 역할에 대해 review를 하겠습니다. 고혈압을 조절함으로써 동맥 경화증을 예방 할 수 있다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사실인데 최근에는 혈압 약제가 단순히 혈압을 조절하는 목적이외의 다른 역할로도 동맥 경화증을 예방 할 수 있다고 알려지면서 이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이 되어 오고 있고 약제의 특성을 짖는 하나의 요소로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이는 최근 많이 발달된 혈압 약제와 치료에 대한 인식에도 불구하고 동맥 경화로 인한 사회적인, 경제적인 부담이 전혀 줄지 않고 있기 때문에 고혈압 이외의 다른 대사적 요소인 동맥 경화증 위험요소를 같이 조절하는 치료 방법이 당연시 되고 있습니다.
그것 중에 인슐린 저항성과 콜레스테
일시 2006년 11월 9일~11일
장소 경주현대호텔
올해로 창립 10주년을 맞이한 중독정신의학회가 국민건강을 위한 건강음주사회 10대 선언문을 선포한다.
한국중독정신의학회(이사장 오동렬∙관동의대)는 2일과 3일 양일간 1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대회의 심포지엄 I 에서는 알코올의 급만성 독성에 대하여 다양한 시각에서 살펴볼 수 있는 시간이 마련됐다.
심포지엄 II에서는 학술대회에서는 국제알코올리즘생의학연구학회 회장인 삿포로 대학의 사이토 교수를 비롯해 일본 알코올리즘 연구와 치료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연자들이 초청, 강연을 펼친다.
특히 세계적인 석학인 샌디에고 캘리포니아대학의 셔키트 교수가 참석해 ‘Searching for both genes and environmental events that impact on the alcoholism risk’를 주제로 강연을 할 예정이다.
또한 이슈가 되고 있는 도박중독과 니코틴중독 환자와의 면담시간과 함께 손봉숙 의원(민주당)과 보건복지부 이종구 보건정책관에게 감사패를 증정하 보스톤사이언티픽사의 ‘텍서스 스텐트’가 국제학술대회에서 안전성과 효능을 인정받았다.
그레그 W. 스톤 교수(Gregg W. Stone, M.D, 미 콜롬비아 의대, 미 심혈관연구재단 부회장)는 31일 미국심혈관연구재단(Cardiovascular Research Foundation)이 실시한 임상결과들에 대한 독립된 메타분석(META Analysis) 결과를 미국심혈관연구재단(CRF)의 경도관심혈관치료술(TCT) 심포지엄에서 발표했다.
이번 분석은 TAXUS 임상 실험 I, II, IV, V, VI의 총 3506명 환자가 참가했으며, 이와 동일한 조건에서 사이퍼(Cypher??) 스텐트의 메타분석 역시 실시됐다.
사이퍼(Cypher??) 스텐트 메타분석에는 임상실험 RAVEL, SIRIUS, E-SIRIUS, C-SIRIUS의 총 1748명 환자가 참가했다.
메타 분석에 따르면, 텍서스(TAXUS??)와 사이퍼(Cypher??) 스텐트에서 수술 1년 후 나타나는 후기스텐트혈전증(LST) 발병률은 비슷한 것으로 보고됐다.
결과를 보면, 4년 후 텍서스(TAXUS??)의 후기스텐트혈전증(LST) 세계 최대 규모의 2차 뇌졸중 예방 연구인 PRoFESS(Prevention Regimen For Effectively avoiding Second Strokes) 연구의 환자 모집이 완료됐다.
35개국 720 사이트로부터 모집된 2만 333명의 환자 baseline 데이터가 남아프리카 케이프타운에서 열린 Joint World Congress on Stroke에서 발표됐다.
PRoFESS는 베링거인겔하임에서 아그레녹스로 판매될 예정인 서방형디피리다몰과 아세틸살리실산 복합제제가 2차 뇌졸중 예방에 있어 클로피도그렐보다 우수함을 보여주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이 임상시험은 뇌졸중 발병 후에 일반적인 치료와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길항체(ARB)인 베링거인겔하임의 텔미사르탄(제품명: 미카르디스)을 병용하는 것이 위약과 비교해 향후 뇌졸중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평가할 계획이다.
미국 뉴욕의 콜럼비아 의과대학 신경연구소 신경학∙역학 교수이자 PRoFESS 운영위원회 멤버인 랄프 사코 교수(Ralph L. Sacco)는 “우리는 PRoFESS를 통해 최초로 아그레녹스와 클로피도그렐의 효능을 직
최낙규
한림의대 한강성심병원 비뇨기과
Nack -Gyu Choi, M.D. & Ph.D.
Dept. of Urology,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E-mail: ngchoi01@hallym.or.kr
서 론
전립선질환 중 가장 흔한 것이 전립선 비대증이고, 나이가 증가할수록 전립선질환에 의해 영향을 더 받는다. 50대 이상의 남성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양성종양으로서 정상 남자의 약 1/4이 잔여 생존기간 동안 전립선비대증으로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
전립선비대증의 주된 치료방법으로는 경요도전립선절제술이었으나, 최근에는 하부 요로 증상의 초기 치료로서 약물요법의 발달로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아직까지는 약물요법으로 치료가 되지 않아 수술을 필요로 하는 환자들도 있지만, 과거 10년 동안 미국에서 대략 60%의 전립선 비대증 수술이 줄어들고 있는 것을 보아도 약물요법의 적용대상이 더 넓어지고 있다는 독일 머크(대표 베른트 레크만)사의 베타1수용체에 대한 선택적 베타차단제인 Concor(성분명 bisoprolol)로 수술전후·처방시, 심장병 위험이 높은 환자를 구분하기 위한 수술전 부하 심초음파검사(echocardiographic cardiac stress-testing)를 생략해도 안전하다는 획기적인 연구 결과가 DECREASE II(Dutch Echocardiographic Cardiac Risk Evaluation Applying Stress Echo) 연구를 통해 나타났다.
DECREASE II 연구에 따르면, 단순히 심장 위험인자를 1~2가지 파악하는 방식으로 식별된 수술전 환자에서 부하검사를 통해 선정된 환자와 비소프로롤의 효과가 거의 동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미국심장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에 게재됐으며, 세계심장학회/유럽심장학회(World Congress of Cardiology/Congress of 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에서 발표됐다.
본 연구의 총괄책임자를 맡은 네덜란
정해억
가톨릭의대 강남성모병원 심장내과
Hae -Ok Jung, M.D. & Ph.D.
Faculty of Cardiology,
Kangnam S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E-mail: hojheart@catholic.ac.kr
좌심실 비대(증)는 고혈압성 심질환(hyper-tensive heart disease)중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하는 질환이며 고혈압 환자에서 표적장기손상을 여부를 볼 때 제일 먼저 따져봐야 하는 중요한 질환이기도 하다. 이런 좌심실 비대는 고혈압뿐 아니라 여러 가지 판막질환과 빈혈, 만성 신부전, 당뇨병 등 전신질환에 의해서도 야기될 수 있다. 임상에서 간혹 혼동키 쉬운 비후성 심근증(hypertrophic cardiomyopathy)은 원인을 알 수 없는 혹은 유전적 소인을 지닌 원발성 즉 심근자체의 질환으로, 원인을 알 수 있는 좌심실 비대와는 임상시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를 점검하고, 임상시험의 발전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삼성서울병원(원장 이종철) 임상의학연구소에서는 오는 8일(금) 오후 2시 병원 대강당에서 ‘제9회 임상시험 사업설명회’를 개최한다.
이번 설명회는 ‘Research Integrity: 연구윤리의 다양한 관점’을 주제로 임상시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연구윤리 상황들을 소개한다.
또한 삼성서울병원의 임상시험센터의 현황 및 운영보고 등의 발표 등이 특강 및 Session I, II로 나눠 진행된다.
먼저 김호중 삼성서울병원 임상시험센터 부센터장이 ‘AAHRPP(美 임상연구 피험자보호 인증협회) 인증’을 주제로 특강을 가진다.
Session I 에서는 *연구 윤리와 진실성(삼성서울병원 임상시험센터 책임연구원 최병인 박사) *연구 부정행위와 조사위원회(삼성서울병원 임상의학연구소장 김성 교수) *이해의 상충(한독약품 김철준 부사장)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정책방향(보건복지부 생명윤리팀 김헌주 사무관)을 발표되며, Session II에서는 *삼성서울병원 임상시험센터의 활동 및 결과보고(임상시험 항고혈압제 시장에서 ARB(Angiotensin II Receptor Blocker)의 성장률이 무서운 속도로 급성장하고 있어 고혈압치료제 시장의 판도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매년 30%의 성장세를 보인 ARB 제제 고혈압치료제가 지난달에도 29.6%의 원외처방 성장률을 보이며 고혈압치료제 시장의 성장을 견인했다.
이에 반해 칼슘길항제(CCB)와 베타차단제는 각각 9.4%, 11.8%의 증가세를 보여 체면치레를 했을 정도.
또한 최근 5년간 CCB 계열 약물의 시장점유율은 53.3%에서 45.6%로 축소된 반면, ARB계열 약물의 시장점유율은 29.0%에서 38.2%로 대폭 확대돼 그 격차가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ARB 제제의 급성장 요인은 본태성 고혈압 강하 효과 이외에 신부전, 뇌졸중, 당뇨성 부작용 등의 적응증이 추가되고 있고 세계적으로 항고혈압제 시장에서 ARB가 차지하는 비율이 급성장하고 있는 추세가 국내에서도 반영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뇨제성분이 혼합된 콤보제제의 성장률이 매우 높아 ARB 제제 시장의 성장은 더욱 가속화 될 전망이다.
제약계에 따르면
이광현
한양의대 서울병원 정형외과
Kwang-Hyun Lee, M.D. & Ph.D.
Dept. of Orthopedic Surgery,
Hanyang University Hospital,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E-mail : leegh@hanyang.ac.kr
가능한 수술 분야
일반적으로 국소마취로서 수술이 가능한 질환이나 외상이 다른 곳에 비해 주관절(elbow) 이하로 많은 편이다. 수술시간이 약 20분 이내이면 국소마취로 대부분 가능하다. 시간상으로는 짧은 수술이지만 수술부위가 깊은 곳인 경우는 환자가 수술도중 통증을 느낄 수 있으므로 매우 주의를 요하며 국부 마취(regional block)나 전신마취를 고려해야 한다. 또한 수술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수지, 전완부 및 상완부에 지혈대를 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해부학적 구조에 친근해야 FDA는 헌터 증후군치료에 사람의 효소 대체 요법제 셔(Shire)회사의 에라프레이스 (Elaprase)에 대해 시판 허가했다.
에라프레이스(idursulfase)는 희귀 질환이면서 생명에 위독한 유전병이며 다당 류 혈증 II (mucopolysaccharidosis II)으로 알려진 헌터 증후군(Hunter syndrome) 환자 치료에 유일하고도 최초 약물로 허가했다.
53주간 실시한 제II/III상 임상 실험에서 에라프레이스는 헌터 증후군 환자에게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한 효과를 제공하였음을 제시했다. 효과의 판정점은 두 가지 임상 측정 기본에서 변화의 구성 분석에 의해서 판단했다. 즉, 6분간의 도보 시험과 예상 주입 생명력 비율이 측정 지표이었다.
치료 1년 후 이 약물 투여 환자들은 맹약에 비하여 6분간 35미터 거리의 도보에 평균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 약물은 미국에서 앞으로 30일 이내에 시판 예정이며 유럽 의학청(EMEA)에도 시판 허가 신청(MAA)를 제출하여 금년 말이면 EMEA의 심사가 완료될 것으로 기대했다.
노스캐로라이나 대학의 뮌저(Joseph Muenzer) 박사는 “에라플이스 시판중독정신의학회, ‘건강음주 10대선언’ 선포
텍서스 스텐트, 국제학회서 ‘우수성’ 입증
베링거, 최대규모 2차 뇌졸중 예방 연구 실시
Role of PPARγ agonist in Chronic Kidney Disease
장윤경
대전성모병원 신장내과
저는 오늘 만성 신질환에서 PPAR-γ agonist의 역할에 대해 간단하게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PPARs 는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s의 약자입니다.
이런 PPARs의 종류가 3~4가지로 알려져 있는데 이것은 형태와 나타나는 기관, 그리고 encoding 하는 유전자나 리간드에 붙는 agonist 에 따라서 달라지겠습니다. 주로 PPAR-α는 간, 신장, 근육에 존재하는 세포의 핵 수용체로서 독특한 전사를 받습니다. 또한 PPAR-γ는 3가지 isoform 이 존재하는데 주로 지방세포나 골격근에 존재하나 그 외에도 간이나 신장에 존재합니다. 또 한 가지 종류로는 PPAR-δ입니다. 이것은 PPAR-β와 같은 역할을 하지만 모양이 달라서 델타로 분류를 하는데 대부분의 조직에 있지만 주로 뇌에 있고 이것의 밝혀지지 않은 역할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PPARs의 구조는 이렇게 12개의 알파헬릭스(α-Hel
휴대용 체성분 분석기 ‘인바디230’
체성분 분석기 전문기업 바이오스페이스(대표이사 차기철, www.biospace.co.kr)가 11일 포터블 체성분 분석기 인바디230(InBody230)를 출시했다.
인바디230은 기존의 고정관념에서 탈피, 3단 접이식 설계를 도입해 전용 가방에 넣고 직접 들고 다닐 수 있도록 제작됐다.
설치 또한 제품을 꺼내 펴기만 하면 손쉽게 끝나, 설치시간 단축과 설치의 편리함을 극대화 시켰다.
특히 포터블 체성분 분석기 특징에 맞게 감열식 인쇄기(Thermal Printer)[i] 및 USB[ii] 저장장치 기능을 탑재, 출력 및 데이터 저장도 편리하게 개선했다.
회사 관계자는 “인바디230은 보건소 등 공공기관의 지역주민 건강관리사업 및 일반기업의 건강서비스 사업이 확대되면서 이동하며 쉽게 설치하고 검사할 수 있도록 고안됐다”고 설명했다.
또한 “해외 판매 시에도 간편한 운송과 손쉬운 설치를 통해 판매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이와 같은 인바디23
바이오스페이스, 휴대용 인바디230 출시
체성분 분석기 전문기업 바이오스페이스(대표이사 차기철, www.biospace.co.kr)가 11일 포터블 체성분 분석기 인바디230(InBody230)를 출시했다.
인바디230은 기존의 고정관념에서 탈피, 3단 접이식 설계를 도입해 전용 가방에 넣고 직접 들고 다닐 수 있도록 제작됐다.
설치 또한 제품을 꺼내 펴기만 하면 손쉽게 끝나, 설치시간 단축과 설치의 편리함을 극대화 시켰다.
특히 포터블 체성분 분석기 특징에 맞게 감열식 인쇄기(Thermal Printer)[i] 및 USB[ii] 저장장치 기능을 탑재, 출력 및 데이터 저장도 편리하게 개선했다.
회사 관계자는 “인바디230은 보건소 등 공공기관의 지역주민 건강관리사업 및 일반기업의 건강서비스 사업이 확대되면서 이동하며 쉽게 설치하고 검사할 수 있도록 고안됐다”고 설명했다.
또한 “해외 판매 시에도 간편한 운송과 손쉬운 설치를 통해 판매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는
금연정책에 있어서의 가격정책의 효과 및 정책방향
금연정책에 있어서의 가격정책의 효과 및 정책방향
감 신(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I. 문제제기
우리나라 성인 남성 흡연율은 1990년대 중반까지 70%대를 유지하다가 1995년 국민건강증진법의 제정을 계기로 60%대에 진입하였고, 2005년 51.2%로 감소하는 추세이나 여전히 외국에 비해 높은 편이다.
우리나라에서 암에 의한 사망률(인구 10만명당 사망자)은 1990년 110.4명에서 2000년 122.1명으로 10.6% 증가했는데, 이 중 폐암에 의한 사망률은 1990년 14.4명에서 24.4명으로 69.4% 늘어나 암 사망률 1위를 차지했다.
90년에는 위암이 31.5명으로 1위를 기록했으나 10년 사이에 24.3명으로 줄어들면서 2위로 떨어졌다1). 우리나라 성인 남성의 흡연률이 매우 높고, 여성 흡연률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므로 우리나라의 폐암 발생
[비뇨기과] 5 알파 환원요소 억제제와 병합요법의 장점
Concor로 비개심술 전 심장검사 ‘불필요’
[순환기내과] 좌심실 비대에 대한 임상적 고찰
Proteinurea, Risk factor of Chronic Kidney Disease Progression
나기량충남대학교병원 신장내과
만성 신질환의 3대 원인은 만성 사구체신염, 당뇨병성 신증, 고혈압성 신경화증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그 외에 원인 질환으로는 낭종성 신장 질환이나 신 결핵, 만성 신우신염, 만성 간질성 신염, 결체조직 질환 등의 여러가지 질환이 신부전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여러가지 원인을 신장이 원인이 된 원발성 신장질환과 전신질환이 원인이 되어 신기능의 이상을 초래하는 이차성 신질환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신기능의 악화를 초래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전신적 고혈압과 사구체내 고혈압이 중요 하며, 그 외 단백뇨나 여러 가지 요인들이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것들의 재미있는 것은 원발성 사구체 질환 이외에도 이차성 신질환에서도 신기능의 악화가 진행 되면서 단백뇨가 점진적으로 증가 하며 증가된 단백뇨가 사구체 및 세뇨관의 진행성 손상(progressive damage)을 유발합니다.
신기능의 점진적 악화를 초래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factor)중의 하나로 단백뇨
삼성서울병원, 8일 ‘임상시험 사업설명회’ 개최
RAAS system in Chronic Kidney Disease
이강욱충남대학교병원 신장내과
Renin-angiotensin-aldosterone system(RAAS)은 신장질환을 비롯하여 고혈압, 심근비대와 심근경색 등 심혈관계 질환의 병태생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RAAS의 핵심물질은 angiotensin II(AII)이며 혈류역동학적 작용 이외에 proinflammatory effect, 다양한 endocrine, autocrine 그리고 paracrine effect들이 알려지면서 RAAS의 활성화는 신장질환의 진행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인들 중의 하나로 밝혀졌습니다. 전신적인 RAAS와는 별도로 신장을 비롯한 주요 장기에 국소적 RAS가 존재하고 질환의 진행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적절한 혈압조절과 더불어 이러한 RAAS의 억제는 신장조직손상을 억제하는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치료방법으
ARB제제 ‘급성장’주목…매년 30% 이상↑
[정형외과] 외래에서 국소마취로 손쉽게 할 수 있는 상지 수술들
희귀병 헌터증후군 약물 에라프레이스 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