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3,785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발기부전 치료제를 불법유통 시킨 혐의로 의사 4명이 적발되고, 처방전 없이 발기부전 치료제를 판매한 약국 4곳이 단속됐다. 특히 일부 약국에서는 가짜 발기부전 치료제를 버젓이 판매하다 적발돼 충격을 주고 있다. 복지부 의약품정책팀이 박재완 의원(한나라당)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일부 의사들이 자신과 타인의 발기부전 치료를 위해 불법의료행위에 관여한 것으로 드러났다. J비뇨기과와 K비뇨기과의 경우 부정불량 의약품인 ‘레지틴주사’를 구입한 후 판매를 목적으로 저장하고 있다가 적발됐으며, I외과의원과 S의원의 경우에는 ‘시알리스’에 대한 처방전을 미작성·미교부 하고 타인(본인)에게 투여했으며, 진료기록부도 미작성 한 것으로 나타났다. 약국의 경우도 적발된 D약국은 처방전에 의하지 않고 ‘시알리스’를 판매했고, O약국은 처방전에 의하지 않고 ‘시알리스’와 ‘레비트라’를, S약국은 처방전에 의하지 않고 ‘레비트라’를 판매했으며, J약국은 ‘시알리스’를 조제한 후 처방전을 미보존 한 혐의를 받고 있다. 더구나 6곳의 약국에서는 무허가로 가짜 발기부전제를 수입, 제조한 후 이를 판매하다가 적발되기도 했다.&
아시아 흉부영상의학의 현재를 점검하고 미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아시아 최초의 국제학술대회가 서울에서 열린다. 대한흉부영상의학회는 오는 16일과 17일 양일간 잠실롯데호텔에서 ‘제1차 아시아 흉부영상의학회 국제학술대회(The 1st Asia Congress of Thoracic Radiology, 1st ACTR)’를 개최한다. 아시아 지역의 흉부영상 전문가들 350여명이 참가하는 이번 대회는 Thoracic Malignancy, New Imaging Techniques, HRCT of the Thorax, Airway Imaging Cardiovascular Imaging Lung Cancer Imaging, What’s New?(CR & DR, MDCT), Pulmonary Infections 등의 세션으로 구성됐다. 각 세션에 맞춰 아시아 각국에서 접수된 구연 19편과 포스터 44여편 등 총 73편의 연제가 발표될 예정이다. 또한 1st ACTR은 학술 뿐만 아니라 국·내외 관련 업체의 기술수준을 가늠해 보는 동시에 많은 전문가들과 교류할 수 있는 전시도 마련된다. 임정기 조직위원장(서울의대)는
윤승규 가톨릭의대 강남성모병원 소화기내과 Seung-Kew Yoon, M.D. & Ph.D. Dept. of Internal Medicine Kangnam St.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E-mail: yoonsk@catholic.ac.kr 서 론 전 세계적으로 약 3억 5천만 명이 B형 간염 바이러스(HBV)에 감염되어 있어 이들 중 다수가 장기적으로 만성간염이나 간경변증을 거쳐 문맥압 항진증에 의한 합병증이나 간세포암으로 사망하게 된다. 최근 국내의 연령별 호발질환에 대한 자료를 보면 30~40대에서 간경변증이 1위를 차지하고 있어, 만성 간질환이 사회ㆍ경제적으로 얼마나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B형 간
강원도 동해시에 소재한 한솔약품이 최종 부도처리 된 것으로 알려졌다. 유통업계에 따르면 강원도 동해시 천곡동 소재 한솔약품은 2일 S은행에 도래한 2억6천여만원의 어음을 막지 못해 최종 부도를 냄으로써 당좌거래가 중지됐다. 한솔약품의 부도는 지난 3월 부도 처리된 태동메디피아와 어음을 교환해 사용한 것이 원인으로 알려지고 있다. 특히 태동메디피아가 경영난으로 20억원대의 부도를 낸데 따른 피해 파장이 한솔약품의 자금난으로 이어져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한솔약품의 부도 규모는 현재 10억원대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 가운데 월 매출규모가 2억원대로 연간 매출외형이 25억원선의 소형도매업소로 분석된다. 한솔약품은 지난 2004년 12월 KGSP 허가를 받아 영업을 시작했으며, 전체 매출의 40% 가량을 S의료원 등에 납품한 병원 도매업소이다. 한편 이번 한솔약품의 부도처리로 금년들어 도매업소의 부도는 대전 송광약품, 서울 조명약품, 한국SPM텍, 대구 보람약품, 원주 호림약품, 창원 유림약품, 강릉 태동에 이은 8번째이다. 강희종 기자(hjkan
미국 스탠포드의대병원 정형외과 크리스토퍼 모우(Christopher S. Mow) 교수가 6월 1일 건국대학교병원을 방문해 정형외과 오광준 교수가 집도하는 컴퓨터 네비게이션 (computer assisted navigation)을 이용한 무릎인공관절 전치환수술에 참여하여 최신의 인공관절 수술 기법을 소개했다. 또한 오후에는 모우 교수와 함께 방문한 수술실 쉘리 레이놀즈(Shelly Denise Reynolds) 수간호사가 수술실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수술실 감염관리’를 주제로 강좌를 개최했다. 모우 교수는 2일과 3일 부산에서 개최되는 대한고관절학회 창립 25주년 기념 학술대회에 초청연자로 한국을 방문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신언항)은 지난달 30일 심평원 서울지원 회의실에서 전국 청구소프트웨어 공급업체 약 100여명을 대상으로 입원환자의 식대 적용과 10월에 시범시행 예정인 병원급 이상 청구소프트웨어 검사제에 대한 교육을 실시했다. 이번에 실시한 입원환자의 식대적용 관련 교육은 2006년 6월 1일부터 적용되는 입원환자의 식대는 기본식대와 가산식대로 구분됐다. 이날 *기본 식대는 20%를 본인이 부담(단, 자연분만 및 만6세미만 입원 진료시 면제, 중증질환자는 10% 본인부담) 하고, 가산식대는 모든 환자가 50%를 부담하는 내용을 S/W에 적용 *입원환자식 운영현황통보서를 심사평가원에 제출하는 방법 *PET 장비의 요양급여비용 산정방법 *2007년 4월 11일부터 시행 예정인 ‘병원급 이상 청구S/W인증제’를 앞두고 10월부터 시범 실시하는 내용과 검사방법 등의 다양한 교육이 이뤄졌다. 심평원은 “특히 병원급 이상 청구S/W인증제 시행(보건복지부 고시 제2006-24호, ‘06.4.11)은 요양기관의 요양급여비용 청구권 보호와 적정가격 양질의 S/W구매로 병원정보화 비용 절감 및 청구S/W업체의 청구S/W에 대
보건복지부는 내달 7일부터 21일까지 11일 동안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대한 감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복지부는 30일 “국민건강보험법 제56조에 규정된 심평원 관장업무 전반에 대한 추진실태를 점검, 요양급여비용 심사 및 요양급여의 적정성 평가 업무 등의 효율성 제고 및 제도 개선 대책 마련을 위해 감시를 실시하게 됐다”고 전했다. 감사반은 감사팀장을 포함한 10명을 구성되며 감사범위는 2003년도 이후 추진한 업무 전반에 관한 사항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이번 감사의 중점 사항으로 *요양급여비용 심사, 재심사 조정청구 적정성 *요양급여비용 적정성 평가 계획수립 및 평가정보시스템 개발 운영, 적정성 평가대상 항목 및 지표 개발 관리 적정성 *요양기관 조사 및 급여비용 실사의 적정성 등을 꼽았다. 이와 함께 *요양급여항목 및 상대가치점수 관련업무 적정성 *청구 S/W검사 및 EDI검증업무 적정성 등 정보시스템 운영의 적정성 *고객만족도 및 성과관리 등 경영혁신 추진실태 등도 중점적으로 감사한다고 덧붙였다. 이상훈 기자(south4@medifonews.com) 2006-05-30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이경호)이 기술성·사업성 평가를 통해 보건산업분야 우수 벤처기업의 투자유치 지원에 적극 나서고 있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진흥원에 따르면 지난 3월, 진흥원으로부터 투자유치를 위한 기술성·사업성 평가결과 S등급을 획득한 천연물신약 개발 벤처기업 KMSI가 최근 KTB네트워크(10억원), 하나은행(5억원), 무한투자(5억원), 엔젤투자가(40억원) 등으로부터 총 60억원의 투자유치에 성공했다. 진흥원 관계자는 “또한 400억원 규모의 국민연금산은바이오펀드의 운용주체인 산은캐피탈과 지난해 9월 기술성 검토계약을 체결한 이후, 5월 현재 기술성 평가를 통해 메디프렉스, (주)지노믹트리, (주)제노텍 등 3개 기업에 총 50억원의 투자유치를 지원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진흥원 최건섭 벤처지원팀장은 “기술사업화와 연계한 금융지원, 전문투자조합의 결성 지원 및 투자유치 기업설명회(IR), 세미나 개최 등 실질적인 투자유치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더욱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최근 진흥원을 통해 투자유치 지원을 받은 유망 벤처기업은 다음과 같다.
<속보> 보훈병원 2차 입찰(24일)에서도 처방약 2위 품목인 ‘플라빅스’(사노피-신데라보)가 25% 정도 덤핑된 가격으로 낙찰된 것으로 알려 공급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품목의 경우 당초 국내 제약사의 S제품과 함께 등재 되었으나 해당 제약사의 사정으로 단독품목으로 되어 입찰이 진행됐다는 것. 유통업계는 최근 최악의 가로채기 덤핑사태를 연출한 보훈병원 입찰과 관련, 원가이하 낙찰품목에 대한 제약사들의 공급여부에 촉각을 곤두 세우고 있는 실정이다. 다국적 제약기업의 경우 기준가의 5%선만 인정하고 있는 시점에서 처방약 2위 품목인 ‘플라빅스’를 덤핑낙찰 했다는 점에서 사노피-아벤티스의 공급여부가 도매업계의 시선을 끌고 있다. 특히 보훈병원의 1차 덤핑낙찰에 대한 심각한 우려와 함께 경고가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용감하게 2차 입찰에서 ‘플라빅스’가 덤핑 낙찰 됨으로써 또다시 덤핑파문의 여진이 계속되고 있는 시점에서 공급여부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강희종 기자(hjkang@medifonews.com) 2006-05-27
처방약 시장의 거대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고혈압치료제 ‘암로디핀’(베실산 에스-암로디핀)제제를 둘러싼 특허분쟁이 본격화 되고 있는 가운데 화이자가 베실산 관련특허를 삭제청구가 안되자 자진삭제 한 것으로 알려져 그 배경에 시선이 모아지고 있다. 최근 제기된 국내 제약기업과 다국적 제약기업간 특허 분쟁은 화이자가 안국약품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사안으로 안국약품이 개발한 ‘레보텐션정’에 대해 특허권 침해를 이유로 제동을 걸고 나섰다. 안국약품의 ‘레보텐션정’(주성분:베실산 에스-암로디핀 )은 순수 S-이성질체 고혈압 치료제로 화이자의 ‘노바스크’에 비해 1/2 복용량으로 동등 이상의 혈압 강하효과와 부종 등의 부작용을 경감시키는 개량된 신약으로 평가되고 있다. 현재 안국약품은 국내 제약사와 함께 연합전선을 구축하여 화이자와의 특허 분쟁에 대비, 지난해부터 특허무효화 소송을 진행하고 있다. 화이자는 지난해 ‘노바스크’의 물질특허 청구항의 삭제·정정 청구를 했으나 최근 특허 심판원으로 부터 정정이 불인정 된다는 통지를 받은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특허 유지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1일 1회 복용하는 ADHD치료제 ‘콘서타’를 복용하는 환자의 44%가 증상을 완전히 해소하거나 경미한 상태로 유지하는 ‘증상소실’ 효과를 나타내 1일 3회 복용하는 ADHD치료제에 비해 20%포인트 이상 높은 치료 결과를 보여 주목된다.
최근 방한한 마가렛 스틸(Margaret Mary Steele) 캐나다 온타리오대 정신과 교수는 이 같은 임상연구 결과를 소아청소년정신과 춘계학술대회에서 발표했다.
캐나다 소아청소년정신과학회 회장이기도 한 마가렛 스틸 박사는 학술대회에서 ‘콘서타’가 1일 3회 복용해야 하는 속방형 메칠페니데이트 제제 보다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환자에서 뛰어난 증상 소실 효과를 보인다고 밝혔다.
금년초 ‘캐나다 임상약리학(Canadian Society for Clinical Pharmacology)’에 실린 이번 임상연구 결과는 147명의 6~12세 ADHD환자를 대상으로 캐나다 13개 연구센터에서 8주간 진행됐다.
&nbs
정보통신부가 선정하는 ‘공개S/W 확대보급을 위한 보안강화 의료정보시스템 시범구축’ 시범사업기관으로 전국지방의료원연합회가 선정됐다. 전국지방의료원연합회는 지난 1988년부터 전국 34개 지방의료원 및 공공병원에 OCS, PACS, 원격화상진료시스템, 원격판독시스템 등을 개발, 공급해 왔다. 이번에 시범사업기관으로 선정된 전국지방의료원연합회는 5억원의 지원금을 받아 오는 6월부터 1개 지방의료원에 OCS, PACS, EMR을 통합한 차세대 통합의료정보시스템을 시범구축 할 예정이다. 문옥륜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는 “전국지방의료원연합회의 EMR 자체개발로 지방의료원 및 적십자병원 등 공공의료기관이 적은 비용으로 EMR을 구축할 수 있어 국가재정이 절감되고 유비쿼터스 기반의 보건의료 정보화가 조기에 실현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연합회 이상기 사무총장은 “이번에 개발된 차세대 통합의료정보시스템을 ‘K-HOPES’로 명하고, 시범구축을 통해 이미 안정성 검증을 마쳤다”고 소개하고 “향후 공공의료기관에 확대 보급할 계획이며,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시스템을 보완, 개발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버거씨병 환자에게 본인의 골수줄기세포를 직접 이식하는 치료법이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됐다. 삼성서울병원 혈관외과 김동수 교수팀은 2003년 3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버거씨병 환자 27명의 하지에 자가골수줄기세포를 근육에 이식하는 치료법을 시행한 결과, 73%에서 새로운 측부혈관이 발달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김 교수팀은 첫날부터 7일째까지 하루 1회씩 골수세포 활성약인 G-CSG(75μg)를 주사하고, 5일째에 골수줄기세포이식술을 시행했다. 치료 후 평균 19개월간 허혈증세개선 정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 환자의 자각증상으로 허혈성 통증의 개선정도는 22명(27하지), 79.4%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 22명을 대상으로 동맥조영검사를 통해 육안적으로 새로운 측부혈관이 발달된 정도를 검증한 결과, 16명에게서 치료 후 측부혈관이 증가된 것으로 보고됐다. 손이나 발의 작은 동맥이 막혀 손끝 또는 발끝이 섞어 들어가 결국 그 부위를 절단할 수도 있는 중중질환인 버거씨병은 주로 20~40대 젊은 남성에서 발병한다. 최근 이 질환 치료를 위해 측부혈관을 생성
팔목의 건과 손에 염증으로 통증이 반복되는 신경통의 일종인 "드 쿠엘바인 건 염(일명 새 엄마 증후군)의 치료는 초음파 검사로 부위를 찾아내어 여기에 코티손을 주사하면 치료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인다고 뉴욕 특수외과병원의 초음파 및 CT 책임자 애들러(Ronald Adler)박사 연구진이 주장하고 있다. 드 쿠엘바인 건 염(De Quervain's tendonitis)은 팔목의 엄지손가락 부위에 통증을 말하며 새 엄마가 아기 머리를 들 때 엄지손가락이 과잉 확대하여 발생한다고 인식하여 ‘새 엄마 증후군’으로 표현되고 있다. 이 질환은 나이 든 엄마에게서도 나타난다. 통증은 갑자기 혹은 점차적으로 나타나고 손과 엄지손가락을 정상으로 이용할 때 악화된다. 때로는 통증이 팔까지 번진다. 이 건 염 치료는 매우 어려우며 문제의 건 주위에 코티손을 주사하면 완화되나 정확한 부위를 찾는 것이 관건이다. 이 초음파검사는 건 부위를 구체적으로 가시화하여 주사기 주입의 최적 부위를 제시하여 건, 동맥, 신경 관련 부위에 의사가 정확하게 주입하도록 하고 주입하는 동안 이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nb
동화약품(대표:윤길준)은 지난 12일~13일 양일간 현대 성우 리조트에서 78기 경영목표인 ‘도전과 혁신을 통한 힘찬 도약’을 실천하기 위한 ‘2006 영업전진대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날 영업전진대회는 윤도준 부회장, 윤길준 사장을 비롯, 김동욱 영업본부장과 전국 지점장 및 영업사원, 마케팅부 등 34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려 윤길준 사장은 지난 1년간(77기) 목표달성을 위해 노력한 노고를 치하하고, “전략적 사고, 강하고 빠른 실행을 통한 78기 경영목표 달성 및 영업목표 2325억 초과달성을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해줄 것”을 당부했으며, 이를 위해, 강한 열정과 추진력, 지속적인 영업력 향상, 양적, 질적 시장확대 등 세가지 실천사항을 강조했다.
동화약품은 연초에 78기 경영목표로 ‘도전과 혁신을 통한 힘찬 도약’으로 설정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슬로건으로 ‘3S(Strategic thinking, Strong&Speedy action,
NSAID와 COX-2 저해제의 심혈관·위장관출혈 등 부작용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관절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표적치료제 개념의 관절염 신약이 국내에서 개발, 주목을 끌고 있다. 해외 2상임상에 돌입하는 이 제제는 관절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원리로 소염제(NSAID)의 위장관 출혈과 기존 COX-2 저해제의 심혈관 부작용을 획기적으로 줄인 이상적인 관절염 치료제로 앞으로 해외 임상을 거쳐 국내 대기업과 바이오 벤처에 의해 현실화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현재 관절염 환자들은 혁신적 신약으로 평가되던 바이옥스와 같은 COX-2 저해제들이 심혈관계 부작용 등으로 시장철수와 소송이 잇따르면서 이렇다 할 대체 치료제를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신약개발전문 바이오 벤처 크리스탈지노믹스(대표 조중명)와 태평양(대표 서경배)은 영국에서 진행된 차세대 관절염 치료제 ‘PAC10649’의 전임상과 임상 1상 결과를 발표하고, 공동개발을 통한 상품화를 위해 양사가 전략적 제휴를 맺는다고 발표했다. 임상2상은 6개월 이내에 유럽에서 진행될 예정이며, 5년 내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에 출시할 계획이며, 상품화될
송미연 경희대학교 동서신의학병원 한방비만체형클리닉 교수가 세계 3대 인명사전의 하나인 ‘마르퀴스 후즈후(Mariquis who's who in Medicine and Health Care)’ 2006-2007년(6판)판에 등재됐다. 송 교수는 비만과 한의학 분야의 연구에 대한 공로를 인정 받아 이번에 인명사전에 등재된 것으로, 한방 비만분야에서의 등재는 최초이면서 동시에 여성 한의사로서의 등재도 최초라고 병원측은 설명했다. 송미연 교수는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미국 콜럼비아대학 및 존스홉킨스대학과 지속적인 공동연구를 진행중이다. 또한 대한한방비만학회의 국제이사 겸 학술이사를 맡고 있다.
한림제약은 서울대병원등 국내 주요 의료기관과 공동으로 고혈압 신약의 임상시험 참가자를 모집한다. 참가 대상은 만 18세 이상 75세 이하의 고혈압 환자로, 임상시험은 기초검사 실시 후, 연구에 적합한 경우 10주간 이루어질 예정이다. 지원자는 참여기간 동안 고혈압 치료제와 각종 건강검진을 무료로 받을 수 있다. 신청기간은 5월 30일(화)까지 이다. 이번에 시험을 진행하는 물질은 현재 국내에서 고혈압 치료제로 가장 많이 처방되는 “암로디핀” 성분 중, 부작용을 나타내는 R-암로디핀을 제거하고 효능을 나타내는 S-암로디핀에 “니코티네이트염”을 적용한 암로디핀의 개량신약으로, 대규모 임상시험을 통해 안전성이 입증된 암로디핀의 장점은 그대로 유지하며, 부작용을 개선하고 순환기계 약제에 적합한 니코티네이트염을 부가하여 안정성과 생체이용성을 개선한 제제이다. 한림제약은 S-암로디핀 니코티네이트 성분과 그 제법에 관한 국내 특허를 획득했으며. PCT(국제특허)를 통하여 미국,유럽,일본 등 해외 다수 국가에 특허를 출원 중에 있다. 한림제약은 앞으로 국내 임상 3상을 통해 안전성, 유효성을 재검증 한
현대약품이 ‘미에로화이바’의 판촉을 강화하기 위해 ‘세상을 당당하게 아름답게’ 라는 슬로건을 가지고 해마다 테마를 가지고 세계적 유명한 관광지와 유적지를 중심으로 글로벌 캠프를 실시한다.
미에로 화이바의 글로벌 캠프는 이제 음료업계의 대표적인 문화 체험행사로 자리잡았다.
현대약품(대표 이한구) 식품사업부는 본격적인 여행철을 맞아 국내 대표적인 식이 섬유 음료 미에로 화이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2006 미에로 글로벌 캠프 유럽’ 행사를 실시한다.
이번 이벤트는 5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진행 되며, 총 160명에게 유럽 여행의 기회를 부여하고, 2,000명에게는 미에로 틴즈 티셔츠를, 또한 모든 구매자는 구입한 병뚜껑에 기재된 사항을 확인해 보면 미에로화이바 ‘한병 더’ 행운의 기회를 가질수 있도록 기획했다.
제품 병 뚜껑에서 ‘유럽 배낭 여행’ 메시지를 찾은 소비자 총 150명에게 프랑스, 이탈리아, 스위스
금년 5월말로 미국에서 특허가 만료되는 의약품이 19품목으로 밝혀져 곧 제네릭 제품의 등장이 치열해 질것으로 보인다. Bioportfolio 발표에 의하면 GSK의 Flolan을, Novo Nordisk의 Activella, 와이어스의 Prempro, Tap pharm의 Lupron Depot, Ballard Medcl의 Pytest등의 신약등이 포함되어 있다. 만료품목을 많이 보유한 업소는 *Tap pharm 4품목과 *Wyeth 4품목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GSK 2품목, * Adv Magnetics 2품목, * Ballard Medcl 2품목 등이다. 금년 5월로 특허가 만료되는 주요 의약품과 성분은 다음과 같다. *GSK: 상품명 Exosurf Neonatal: 성분: cetyl alcohol; colfosceril palmitate. tyloxapol. *Glaxosmithkline :: 상품명 FLOLAN : 성분: epoprostenol sodium *Novo Nordisk Inc :: 상품명 ACTIVELLA : 성분: estradiol; norethindrone acetate *Wyeth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