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3,785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윤 호 중 가톨릭의대 성모병원 순환기 내과 Ho-Joong Youn, M.D. & Ph.D. Division of Cardiology, Dept. of Internal Medicine, S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서 론 중간 굵기 이상의 동맥벽은 내막, 중막 및 외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죽상 경화증은 이러한 혈관벽이 결절 모양으로 두꺼워지고 굳어지는 것을 말하는데 병변은 하복부 대동맥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며 그밖에 관상동맥, 슬와동맥, 흉부 대동맥, 경동맥순으로 발견된다. 죽상경화증은 전신적인 혈관에 발생하는 동맥경화증의 한 종류로서 비교적 큰 혈관에 국소적으로 생기며 내경의 협착이 진행하면 협심증, 심근경색 등의 관상동맥질환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뇌혈관의 경색 혹은 출혈, 그리고 말초동맥의 폐쇄를 일으킬 수 있다1). 동맥경화를 진단하는 방법으로서 동맥조영술이 있지만 관혈적이며 혈관내경의 변화를 그
김호연 가톨릭의대 강남성모병원 류마티스내과 Ho-Youn Kim, M.D.& Ph.D. Division of Rheumatology, Dept. of Internal Medicine, Kang-Nam S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서 론 관절염은 관절에 염증이 발생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병든 부위에 부종, 홍조, 발열 및 동통과 같은 병리학적인 반응이 동반된다. 그러므로 관절염은 그 자체가 병명이 아니고 류마티스 질환의 결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전체 인구의 약 10% 가량이 류마티스 질환으로 고통 받고 있으며 우리 나라에는 약 400만 명 가량의 환자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도 평균 수명이 길어짐에 따라 관절염 환자가 매년 크게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관절염을 일으키는 가장 대표적인 다섯가지 질환은 퇴행성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전신성 홍반 루푸스, 강직성 척추염 그리고 통풍이다. 그 밖에 다른 나라에 비해 특징적으로 드물지 않게 관찰되는 관절염으로 베체트씨 병과 결핵성 관절염 그리고 골다공증등을
윤 건 호 가톨릭의대 성모병원 내분비내과 Kun-Ho Yoon, M.D. & Ph.D. Division of endocrinology, Dept. of Internal Medicine, S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서 론 1980년대에 국내에서 제2형 당뇨병은 급격히 증가하여 일정 지역을 대상으로 한 역학 조사들은 이미 국내 당뇨병의 유병율은 선진국과 유사하거나 오히려 높을 수도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2000년도의 혈액투석 환자 등록사업에서 투석환자 중 당뇨병 환자가 40%에 이르는 것을 보면 이제 우리는 당뇨병 환자의 증가를 걱정할 단계가 아니라 이미 발생한 300~500만 명에 이르는 당뇨병 환자들을 어떻게 관리하여 만성합병증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하는 시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의미에서 당뇨병의 병인에 대한 최신 지견을 이해하고 이들의 임상적인 의미를 생각해 보는 것은 상당한 의미가 있는 일로 생각된다. 인슐린 저항성과 인슐린 분비결함
신 현 호 성균관의대 삼성제일병원 내과 Hyun-Ho Shin, M.D.&Ph.D. Dept. of Medicine, Samsung Cheil Hospital,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서 론 인슐린 저항성(insulin resistance)으로 인하여 유발되는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은 고혈압, 고혈당증(hyperglycemia), 이상지질혈증(dyslipidemia) 및 복부내장형 비만증(visceral obesity)으로 특색을 나타내지만 최근에 와서는 혈관내피기능의 장애(endothelial dysfunction), 혈관의 염증반응(vascular inflammation)과 혈액 응고 이상(blood coagulation abnormality)도 함께 동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able 1). 따라서 인슐린 저항성으로&n
박 승 철 고려의대 안암병원 감염내과 Seung-Chul Park, M.D. & Ph.D. Division of Infectious disease, Dept. of Internal Medicine, Anam Hospital, Korea Universiry College of Medicine 서 론 무더운 여름이다. 더위를 피해 산으로 바다로 여행을 다니다가 한두 번쯤은 갑자기 찾아오는 배앓이에 고생했던, 그리고 더군다나 온가족이 배를 움켜쥐고 길가에 세운 차 옆에서 동동거리는 모습은 즐거워야 할 피서에 좋지 않은 기억의 절편을 남기고는 한다. 또한 오랜만에 잔치집에서 만난 친지들이 복통과 설사로 응급실에 단체로 몰려들어 잔치가 난장
원 종 호 순천향대 의대 부속병원 혈액종양내과 Jong-Ho Won, M.D. & Ph.D. Section of Hematology-oncology, Dept. of Internal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SoonChunH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빈혈의 정의는 적혈구양의 감소나 혈액 산소운반능력이 감소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정상적으로 혈액양은 거의 일정한 수치를 유지하므로, 빈혈은 말초혈액에서 헤모글로빈이나 적혈구 농도가 감소됨을 의미한다. 나이에 따라 정상 혈액수치는 달라진다. 고지대에서는 높은 수치를 보이고 표고가 높아진 정도에 따른 비율은 일정치 않다. 빈혈은 성별에 따라 정상수치에서 10%이상 낮아진 것을 말한다. 그러나 정상범위를 결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으므로 일반적으로 WHO의 권장안에 따라 빈혈을 규정하고 있다(Table 1). 환자들은 어지러움증, 전신쇄약 등을 빈혈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아 이를 잘 감별하여야 한다. 또한 빈혈은 진단명이 아니고 단지 이학적 소견의 하나이며 때로는 원인에 대한 즉
강진형 가톨릭의대 강남성모병원 종양내과 Jin-Hyoung Kang, M.D. & Ph.D. Dept. of Medical Oncology, Kangnam S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진 단 대장암이 의심되면 1) 수지직장검사(digital rectal examination), 2) 대변잠혈검사, 3) 대장내시경검사, 4) 의심되는 병소부위의 생검이 일차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외과적 절제 전에는 정확한 병의 진행상태를 알기 위해 병기결정이 필요한데, 1) 흉부 X-선, 2) 복부 및 골반 CT scan, 3) 혈액검사, 4) 간·신장기능검사, 5) 소변검사, 6) 혈중 CEA(Carcinoembryonic antigen)를 측정하여야 한다. 그 외에 satunomab 펩타이드, CEA 항체를 이용한 Immuno-scint
홍 순 조 가톨릭대 의대 여의도성모병원 혈관센터소장 Soon-jo Hong, M. D. Director, Candiovascular center, S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심장의 심박수, 리듬에 변화가 오고, 심장흥분파의 시작부위가 바뀌며, 심장의 전기전도에 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통털어 부정맥이라고 한다. 심박수가 늦어지거나, 빨라지거나, 심방, 심실에서 조기 수축하거나, 심전도에서만 감별할 수 있는 이상소견이 있는 등의 변화가 온다. 이때 환자는 가슴이 뭉클하거나 두근거림을 느끼며 때로 가슴에서는 전혀 증상이 없이 갑자기 실신하는 등의 변화가 올 수도 있고, 전혀 증상이 없을 수도 있다. 그동안 부정맥에 대한 교육이 충분치 않았고, 간혹 부정맥은 심장 돌연사와 연결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임상의들에게 부정맥은 뜨거운 감자 같은 존재일 수 있다. 진단을 위한 접근방법 부정맥의 진단과 치료는 의용전자공학의 발전에 힘입어 최근 10여년 사이 괄목할만한 발전을 이룩하여 과거에는 명확치 않던
한 광 협 연세대 의대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서 론 진단과 치료분야에 광범위하게 의학이 발전되면서 인류의 평균 수명이 연장되고 질병에서 과거보다 자유로와 졌으며 삶의 질이 개선되고 있다. 제프리 A. 피셔의 ‘미래의학(김한중 편저)’에서 저자는 2000년대의 의료기술 캐린더에 2050년까지 그 동안의 미해결의 의학문제들이 차례차례 해결되어 인간 수명 200세 이상이 실현될 것이라는 많은 희망적 관측을 제시하면서 이러한 의학발전의 결실은 인류 모두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것이 아니고 경제력을 갖춘 사람에게 우선적으로 베풀어질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이미 인터넷으로 세계는 하나의 정보의 세계로 재편성되었고 지구 반대편에서 벌어진 새로운 소식이 사무실이나 집안의 컴퓨터로 확인되고 의학의 정보도 특권을 갖고 있는 의학도의 손에서 누구나 접할 수 있는 공유물로 바뀌어 자칫 정보가 뒤지면 환자
이관호 영남대 의대 호흡기내과 Kwan-Ho Lee, M.D .& Ph.D Division of Pulmonology, Dept. of Internal Medicine, Yeungnam Medical Center, Yeungna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서 론 만성폐쇄성폐질환은 이환율과 사망률이 높은 질환으로 1990년 세계보건기구의 보고에 의하면 전세계 사망원인의 6위이며 2020년에는 5위가 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미국에서는 사망원인이 4위이고 국내에서는 1995년 보고에 의하면 인구 10만명당 14.9명이 사망하였다 한다. 최근 미국 국립 심폐혈액기구와 세계보건기구에서는 전반적인 만성폐쇄성폐질환에 대한 지침서인 GOLD(Global Initiative for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프로그램을 발족
신 호 철 성균관대 강북삼성병원 가정의학과 Ho Cheol Shin, M. D. Chairman, Dept. of Family Medicine, Kangbuk Samsung Hospital, Sungkyunkwa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피로는 매우 흔한 증상임에도 불구하고 이 피로 증상에 대한 임상적, 역학적 연구는 그리 흔하지 않다. 또 흔히 환자나 의사
김 찬 아주대학교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신경통증클리닉 Chan Kim, M.D. & Ph.D. Dept. of Anesthesia & Pain clinic, Ajou University Hospital, Ajou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요통의 증상과 치료 요통은 두통 다음으로 선진국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통증이며, 직장일을 쉬게 됨으로써 가장 심하게 사회에 지장을 주는 통증질환이다. 우리나라의 통계는 정확하지 않으나 미국의 통계로는 18세에서 55세 사이의 활동성 나이에서 10∼15%가 연중 직장에 결근을 하며, 요통을 예방한다는 다양한 일차 예방법이 난무하지만 그리 효과가 있지는 않다. 그렇기 때문에 흔하게 사회경제적 활동을 제한하는 요통환자를 정확히 진단하고 치료에 대한 바른 견해를 갖는 일은 중요하다. 요통은 대부분의 환자에서 반복되는 증상이며, 약 25%의 환자는 1년안에, 75% 환자는 평생을 두고 반복적으로 요통을 호소한다. 65%의 환자가 6주안에 회복되며, 85%의 환
민 용 기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대사 내과 Yong-Ki Min,M.D.& Ph.D. Division of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Dept.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골질(bone quality) 변화와 골다공증 골절 발생 골다공증은 골격강도(bone strength)의 약화로 골절의 위험이 증가된 골격질환으로 정의되며, 골격강도는 골밀도(bone mineral density)와 골질(bone quality)에 의해 결정 된다. 이중 골질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은 골격의 미세구조, 골교체율, 누적된 골조직 손상, 무기질화 등이 있다. 골다공증은 골밀도와 골질의 두 요소의 변화로 정의되어 있으나 임상에서 이용되는 세계보건기구의 골다공증 진단 기준은 골밀도 측정치로만 이루어져 있다.
김 성 래 가톨릭대 의대 성가병원 내분비내과 Sung-Rae Kim, M.D. Division of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Dept of Internal Medicine, Holy Family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대사증후군 비만한 사람은 내당능의 이상이 없어도 인슐린에 대한 저항성을 보여, 췌장 β세포에서 과잉의 인슐린이 분비되어 고인슐린혈증이 생긴다. 이 고인슐린혈증이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죽상경화증 등의 악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1988년에 Reaven은 관동맥질환을 일으키기 쉬운 일련의 요인, 즉 인슐린에 의한 조직에서의 당섭취량의 감소, 내당능 이상, 고인슐린혈증, 고VLDL혈증, 저HDL혈증, 고혈압 등이 같은 사람에서 나타나기 쉽다는 점에서 X 증후군이라는 개념을 제창하였다. 이 인슐린저항성의 정도는 개개인의 유전요인에 의해 결정될 가능성이 높지만, 비만이나 신체활동의 환
우 준 희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감염내과 Jun-Hee Woo, M.D, & Ph.D. Dep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lsa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감기 감기는 경미하고 자율적으로 회복되는 카타르성 증후군으로 가장 흔한 급성 질환이며, rhinovirus, parainfluenza virus, respiratory syncytial virus, coronavirus 및 enterovirus에 의한다. 기타 influenza virus 및 adenovirus는 상기도 증상 외에 하기도 증상을 같이 일으킨다. 감기는 콧물, 코막힘, 재채기, 인후통 및 기침이 주증상을 이루며, 발열은 소아에서 더 흔히 발생
김 경 수 한양대학교 서울병원 심장내과 Kyung-Soo Kim, M.D. & Ph.D. Division of Cardiology, Dept. of Internal Medicine, Hanyang University Hospital,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개원가에서 흉통(Chest pain)이나 흉부불쾌감(Chest discomfort)을 호소하는 환자를 접하는 경우
신 찬 수 서울대 의대 내과 Chan-soo Shin, M. D. Dept. of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서 론 여성이 폐경기를 넘어서면 관상동맥 질환과 뇌혈관 질환의 위험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연령 증가에 따라 지속적으로 위험이 증가하게 된다. 폐경이 자연적으로 온 경우 보다 수술에 의해 자궁과 난소를 모두 적출한 경우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이 더욱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폐경과 함께 내인성 에스트로겐이 부족한 것이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 증가로 이어진다고 하며 폐경과 뇌졸중 사이에도 이와 유사한 연관성이 관찰되어 왔다. 이러한 연관성은 폐경후 여성을 대상으로 에스트로겐 투여가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을 낮출 수 있다는 관찰연구의 결과가 나옴에 따라 더욱 설득력을 지니게 되었고 폐경후 증상의 개선과 골다공증의 치료와 함께 심혈관계 위험의 감소가 호르몬 대체요법의 주 적응증이 되어
미국과 일본의 연구자들이 18일 의학잡지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지를 통해 재조합 아데노-관련 바이러스 벡터를 사용한 경구용 백신이 쥐의 뇌에서 아밀로이드 베타의 생성량을 유의하게 감소하도록 촉진한다는 연구내용을 발표했다. 일본의 아이치에 위치한 국립 수명과학 협회의 하라 (Hideo Hara) 박사와 동료 연구자들은 “다른 연구자들에 의해 수행되었던 아밀로이드 베타 백신에 대한 임상 시험은 298명 중 18명에서 수막뇌염이 발생한 후에 중단되었다.”라고 말했다. 이것은 자가면역성 T-세포의 활성화에 의해 유도될 가능성이 가장 많다”고 밝혔다. 하라 박사는 발표에서 “재조합 아데노-관련 바이러스 벡터를 사용하여 만든 새로운 경구용 아밀로이드 백신이 강력한 T-세포 면역 반응을 유도하지 않으며 따라서 수막뇌염과 같은 부작용들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이 백신을 투여받은 트랜스제닉 (유전자 삽입 처리를 받은) 쥐는 뇌의 아밀로이드 베타의 함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염증성 변화나 T-세포의 증식성 반응은 없었음이 입증됐다고 덧붙였다. 연구진은 “새 백신이 알
노르웨이 벨겐 대학의 하네스타트 (Yngvild S. Hannestad) 박사 연구진은 엄마가 요실금이 있을 경우 딸에게서 약 30% 요실금이 발생할 위험이 높고 요실금이 있는 언니가 있을 경우 그 위험은 60%로 나타난다 고 조사 발표하였다. 임신 후에 흔히 요실금이 나타나는데 가족이 요실금이 있을 경우 분만 후 적극적으로 골반 운동을 실행함으로 요실금을 사전에 예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요실금 발생 요인을 일찍 알게 될 경우 의사가 적절히 대처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저자는 주장하고 있다. 요실금은 두 가지가 있는데 방광이 너무 과잉 운동으로 배뇨 조절이 안 되는 경우와 웃거나, 기침하거나, 근육이 약하여 긴장하거나 물건을 들 경우 발생하는 스트레스 성 요실금으로 나눈다. 기타 나이가 연만하거나 비만한 경우도 요실금 요인이 된다. 이들 연구진은 6,021명의 엄마와 7,629명의 딸, 332명의 손녀 및 2,426명의 여성 언니들 2,104명의 정보 자료를 검토하여 가족 유전 관계를 조사한 결과 위와 같은 가족 유전을 확인하게 된 것이다. 또한 엄마의 요실금 가운데 스트레스
당뇨병이나 심장 질환으로 진전되는 각종 대사 성 질환이 증가가 미국에서는 계속되고 있다. 대사 성 질환이란 고혈압, 고 혈당 및 콜레스테롤, 비만 등 심 혈관 질환과 제 2형 당뇨 병을 포함하고 있다. 미국 질병관리청 (CDC)의 포드 (Earl S. Ford) 박사 연구진은 국가 건강 영양 평가 조사 (NHANES) III (1988-1994)에 참여한 20대 남녀 6,436명과 1999-2000년 NHANES에 참여한 1,677명을 대상으로 역학 조사하였다. 대사 성 질환은 다음 3종의 질환이 있을 경우로 정의하였다. 즉, 비만, 트리그리세라이드 상승, LDL의 저하, 고혈압, 공복 시 혈당 증가. 나이를 고려하고서도 이들은 대사성 질환의 증가가 여성은 23.5% 남성은 2.2% 증가한 사실을 확인하였다. 여성의 증가는 고혈압, 비만 및 고 트리그리세라이드에 기인하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추세를 억제시키기 위해서는 영양을 개선하고 적절한 신체적 운동이 절대 필요하다 고 이들은 지적하고 있다. 또한 의료 관계자들이 이러한 질환 예방에 체중 조절이나 적절한 운동 실시 등에 적극적인 협조가 요망된다 (자료